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7496

126여단 부산여단 해안감시기동대대 해감대대 ㅁ 53보병사단 / 충렬부대ㅇ 126여단 코끼리여단 /  127여단 울산여단 /  2022년에는 125여단이 해체되면서 충렬대대로 사단직할대로 되고 양산시 지역위수임무가 제39보병사단(김해대대)에 인계되었다. ㅇ 2작사 예하의  지역방위사단으로 부산 울산 김해지역을 방어하는 부대로 지리적으로 가장 후방에 있는 부대일것 같으나 가장 최후방 부대는 전남의 31사단이다. 과거에는 부울경 출신 인원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70~80% 정도가 제53보병사단 신교대 출신이었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는 전국적으로 받아 부산 울산 사람들이 적고, 수도권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ㅁ 126여단 / 부산여단 (코끼리부대) / 해운대구 좌동여단이 주둔한 일대를 장산대라 부른다.ㅇ 백호대대 (남구 수영구) / 장산호랑이대대 (.. 2024. 4. 4.
고양 북한산성 ■ 경기 고양 ‘북한산성 서울 북쪽의 방어성으로 축성된 ‘북한산성(北漢山城)’은 화강암 바위산인 북한산의 울창하고 아름다운 산세와 어우러져 자연 속에 녹아 들어간 듯한 모습을 보여주는 한 폭의 그림 같은 산성이다. 산성의 둘레 또한 10km가 넘어 한양도성과 남한산성, 그리고 부산의 금정산성 등에 못지않은 큰 규모를 자랑한다. 특히 북한산성은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연결해 싸여있어 등산로가 성벽을 따라 이어진 곳이 많은데, 오르는 곳마다 절경이 펼쳐져 등산객들로 사랑받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북한산성에는 대문, 암문, 수문 등을 모두 합쳐 문이 16개나 되어 예전에는 성문을 종주하는 행사가 펼쳐지기도 했다. 자연 속에 역사가 살아 숨 쉬는 북한산성을 두 번에 나눠 소개한다. ■ 편집 = 이경하 기자 △.. 2024. 4. 4.
김포 문수산성 ■ 경기 김포 ‘문수산성(文殊山城)’ 경기도 김포시에서 강화도를 잇는 강화대교를 건너기 바로 전 염하수로를 따라 북쪽으로 조금만 가다 보면 문수산성을 만날 수 있다. 문수산의 정상에서 산줄기를 따라 해안지대로 이어지는 문수산성은 강화도의 갑곶진과 마주보고 있어 적으로부터 강화입구를 지키는 ‘수호성’으로서의 역할을 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금은 치열했던 역사의 현장이었음을 알려주듯 해안 쪽의 성벽과 문루는 파괴되어 없어졌지만 나머지 산성의 모습은 상당부분 복원되어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유유히 흐르는 한강과 멀리 북녘 땅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 산 정상에 올라 나라와 백성을 지키기 위해 싸웠던 호국선열들의 넋을 기려본다. ■ 편집 = 이경하 기자 △ 문수산 동쪽 가장 높은 곳에 세워진 장대. 완.. 2024. 4. 4.
동래 복천동 동래읍성 복천박물관 동래할매파전 ■ 동래읍성 신화에서 성은 국조나 영웅의 절대적 능력과 신성함의 표상이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대개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시설이고, 동래 옛읍성 또한 나라를 지키기 위한 호국의 의지가 서려있는 성지다. 성은 위엄과 권위를 상징하고, 이 성을 지키는 것은 나라를 지키는 일과 같다. 동래 읍성은 고려 현종 12년(1021)에 왜구의 노략을 방어하기 위하여, 현재의 부산지방 병무청을 중심으로 수영구 망미동 일대에 고쳐 쌓았던 성이다. 동래는 기원전 1세기, 삼한시대 독로국(또는 장산국, 거칠산국)으로 건국되어, 신라시대 경덕왕 16년 동래군이 되었다. 1731년 축성한 동래읍성의 둘레는 17,291척(약 3.8Km), 높이는 17척(약 5.1m)이다. 읍성 안에는 우물 10개와 못이 있었고, 자연 지.. 2024. 4. 4.
포천 구읍리 반월성 ■ 경기도 포천시 반월성(半月城) 성의 형태가 반달과 비슷해 ‘반월성’으로 불리고 있다. 한강 지역 점령하기 위한 고구려와 신라의 전투지로 삼국시대 이후 몇 백 년간 방치, 성곽 절반만 남아있다. ■ 삼국시대의 산성 경기도 포천시 청성산(해발고도 283m) 정상에 위치한 반월성은 가벼운 산행으로, 혹은 차량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이다. 포천 지역은 물론 인근에서 가장 큰규모의 성 이다. 하지만 오랫동안 버려진 성이라는 것을 말해주듯 성곽의 절반 정도가 아직도 복원되지 못한 상태다. 복원된 성곽 또한 너무도 깨끗한 부분이 많아 약간의 이질감이 느껴지지만 그렇게나마 옛 성곽의 모습을 지금이라도 만날 수 있다는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삼국시대 치열한 격전장이었던 반월성. 조선시.. 2024. 4. 4.
여주 파사산 파사산성 경기도 여주 파사성 (驪州 婆娑城) 경기도 여주의 파사성은 남한강 동쪽에 있는 해발 230m인 파사산 능선을 따라 돌로 쌓은 고대산성(古代山城)이다. 길가에 있는 이정표를 따라 20여 분 정도 산길을 올라가다 보면 만날 수 있는 이 산성은 짧은 산행에 비해 남한강과 함께 남한강의 보(洑)인 독특한 모습의 이포보(梨浦洑)가 한눈에 들어와 많은 상춘객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고려 말 이색 선생과 조선 중기 유성룡 선생이 이곳 파사성 위에서 경치를 바라보다 아름다움에 취해 시를 남길 정도였으니 전망만큼은 어느 곳에도 뒤지지 않는다. 또한, 복원한 곳과 복원하지 않은 곳이 산성 입구인 남문터부터 확연하게 눈에 들어와 옛 모습과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롭다. 햇볕이 따스한 날 파사성에 올라 찾아온 봄을 만끽해.. 2024. 4. 4.
담양 24번국도 금성산성 송학랜드 중부지역에서 호남고속도로 타고 가다 백양사 나들목에서 나간다. 1번 국도 따라 가다 장성호 지나 백양사 들머리에서 15번 지방도 타고 월산·담양 쪽으로 직진한다. 서울~담양 고속버스 하루 2회. 담양읍~금성산성 시내버스(303번) 50분 간격 운행. 담양읍에서 24번 국도를 타고 순창 쪽으로 가다 원율삼거리에서 좌회전해 2㎞쯤 가면 담양온천리조트가 나온다. 리조트 직전에 우회전하면 매표소. 주차료 2000원을 내고 500m 가면 금성산성 주차장이 나온다. 주차장 매점과 산성 들머리 매점에서 오뎅·컵라면·음료수 등을 판다. 산성 안에 약수터도 있다. 문화유산 해설사는 없다. 주차장(매점) 관리인 송병주(018-617-4799)씨에게 문의하면 금성산성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다음은 먹을 만한 집들. .. 2024. 4. 4.
6보병사단 용문산여단 철원GOP 평화전망대 DMZ 155마일 중부전선을 지키는 육군6사단 용문산여단 △ 철원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철원평야 주변의 DMZ 일대는 울창한 숲으로 변화했다. 이른 아침에 피어오른 안개가 장관을 연출한다.  철원은 평야다. 평야의 DMZ는 산악의 그것과는 또 다른 풍경을 자아낸다. 평지의 철책은 가파름이 없다. 산악에 비해 시각적 긴박감도 덜하다. 철책만 지운다면 한가로운 농촌 풍경이다. 하지만 DMZ는 DMZ다. 아름다운 풍광이 분단의 긴장마저 지우진 못한다. 철책 너머 수풀을 바라보는 경계병의 시선은 순간의 방심을 허용하지 않는다. ● 새벽의 DMZ, 평화의 기운 가득DMZ의 새벽은 고요하다. 보이는 것은 철책을 밝히는 조명과 건너편의 암흑뿐이다. 6사단이 관리하는 평화전망대를 찾은 시간은 새벽 4시. 모두가 잠든 시간이다. 적막을 .. 2024. 4. 4.
태안맛여행 봄철음식 식도락여행 게국지 [여행스케치=태안] 시장, 동네, 골목 할 것 없이 발길 닿는 곳마다 먹거리가 즐비한 충남 태안. 오직 이 시기에만 맛볼 수 있는 신선한 제철 해산물과 독특한 향토 음식, 그리고 달달한 디저트까지, 입에 착착 감기는 ‘봄 맛'이 여행자를 기다린다. 태안 봄맛 1 / 봄에는 역시 꽃게가 제맛! 간장 게장 & 게국지 태안의 명물 꽃게. 산란기를 앞둔 4월은 암꽃게가 가장 맛있는 시기다. 주로 봄에는 알이 가득 찬 암꽃게가, 가을에는 살 찌운 숫꽃게가 제철을 맞는다. 3~4월 태안에서는 육질이 단단하고 알과 살이 꽉 차오른 암꽃게를 손쉽게 만나 볼 수 있다. 조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찜통에 쪄서 먹어도 훌륭하지만, 탕을 끓이거나 게장, 튀김, 무침 등 다양한 방식으로 ‘봄 꽃게’를 즐길 수 있다. 그중 봄 꽃.. 2024. 4. 3.
순창 동계 장구목 섬진강 물길 따라 풍류가 흘러, 순창 동계 [여행스케치=순창] 풍류가 무엇인가! 멋과 운치를 알고 즐기는 일이다. 멋과 운치를 즐기는 일은 넉넉한 마음의 여유에서 온다. 또한 청정한 물과 바람과 하늘과 주위의 선한 기운들이 더해져야 가능한 일이다. 섬진강 물길따라 떠난 마음 치유 여행. 평화롭고 조용하고 따뜻한 순창군은 전형적인 농촌 지역이다. 그중에서 동계면은 순창의 동쪽에 있는데 옛날에는 남원부에 속했다. 호남정맥 지맥인 용궐산(645m)과 무량산(586m) 등이 솟아 있는 데다가 섬진강이 흐르고 있어 평화롭고 고즈넉한 산촌과 강촌의 이미지를 자랑하고 있다. 강변길이 아름다워 걷기 여행과 자전거 라이딩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걸어도 좋고 달려도 좋은 곳, 순창 동계다. 구준암에 전해지는 천하제일 .. 2024. 4. 3.
동대문 벼룩시장 풍물시장 [여행스케치=서울] 하루가 멀다하고 신상품이 쏟아지는 대량 소비사회에 살고 있다. 새롭고 좋은 것들도 많은데 오래된 낡은 것들에 관심 두는 사람들이 많다는 건 조금 아이러니한 일이다. 중고 거래 플랫폼도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진정한 마니아들은 손 안의 디지털 모바일 세상보다 발품을 팔아야 하는 아날로그 시장을 더 좋아한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찾은 보물같은 시장, 동묘 벼룩시장과 서울풍물시장에 대한 이야기다. 나라 안에서 가장 큰 벼룩시장이 서울 한복판에서 열린다. 주말에만 열리는 이벤트성 플리마켓이 아니라 일 년 열두 달 사시사철 열리는 자연발생적 시장이다. 동묘를 중심으로 그 일대에서 열린다는 이유로 동묘 벼룩시장이라고 불리지만 신설동역까지 골목골목마다 다 셀 수 없고 다 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은.. 2024. 4. 3.
21보병사단 양구 GOP DMZ 가칠봉중대 육군21사단, DMZ 최고도 전선을 가다 남북을 가른 녹슨 철책에도 봄 내음은 전달된다. 다만 그 속도가 더딜 뿐이다. 중동부전선은 DMZ 155마일 중 최고도 구간을 자랑한다. 육군21사단이 담당하는 중부전선엔 4월 하순에도 거센 눈보라가 몰아쳤다. 하지만 이 눈발도 계절의 흐름을 막을 순 없었다. 방문한 4월 막바지엔 이름 모를 새싹들이 회색 세상에 연두색을 덧칠하고 있었다. 한층 따스해진 햇살은 철책의 냉기를 녹이고 있었다. 바람과 하늘, 그리고 병사들의 얼굴엔 봄의 표정이 완연했다. 분홍빛으로 시작하는 DMZ 봄의 색채 DMZ 고지의 봄은 분홍빛으로 시작된다. 고지를 향해 돌진하던 녹음은 4월 하순에도 산 중턱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었다. 산 중턱 이후 정상까지는 여전히 거친 회색의 외투다. 간간이.. 2024. 4. 3.
1함대 1해상전투단 ㅁ 1함대 / 선봉대 / 동해시 송정동동해가 파도가 높고 대잠활동을 하기에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척중에 광개토대왕함과 양만춘함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함정은 청해부대에 배치되고 있다. 특수전전단인 3특전대대와 해난구조대인 6구조작전중대가 배치되어 있다.  ㅁ 1해상전투단ㅇ 11전투전대 (구 11구축함전대) - 광개토함 DDH-971, 양만춘함 DDH-973, 인천급 호위함, 대구급 호위함이 배치FFG-815 강원함 / FFG-818 대구함 /  FFG- 825 포항함 / FF-926 경북함 / FF-959 부산함ㅇ 12전투전대 (구 12초계함전대) -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구형 호위함인 울산급이 배치PCC-718 속초함 / PCC-781 남원함 / PCC-782 광명함 (3함대 배치) / 원주함(2021.. 2024. 4. 3.
인천 봄꽃 벚꽃명소 ㅁ 인천의 봄꽃 벚꽃명소 ㅁ 인천 중구 벚꽃명소추천지 ㅇ 인천의 벚꽃 명소 - 인천대공원ㅇ 인천의 벚꽃 명소 - 인천자유공원 ㅇ 인천의 벚꽃 명소 - 월미공원 ㅇ 인천의 벚꽃 명소 - 장봉도 ㅇ 인천의 벚꽃 명소 - 송도센트럴파크ㅇ 인천의 벚꽃 명소 - 서부간선수로ㅇ 인천의 벚꽃 명소 - 미추홀구 수봉공원ㅇ 인천의 벚꽃 명소 - 강화 고려궁지 ㅇ 인천 중구 벚꽃명소ㅇ 인천 중구의 대표관광지 차이나타운ㅇ 벚꽃을 다양하게 즐기고 싶다면 자유공원ㅇ 인천벚꽃명소 - 굴포 누리길 ㅇ인천벚꽃의 명소 세계평화의 숲ㅇ인천의 벚꽂명소 영종진공원 2024. 4. 2.
공중급유기 ㅇ 공중급유기 시그너스 KC-330 2024. 4. 2.
인천대공원 어린이동물원 ㅁ 인천대공원 어린이동물원 관람료 무료 2024. 4. 2.
공중기동정찰사령부 공작사 기동정찰사 ㅁ 공군작전사령부 / 칠성대 / 오산공군기지 공군의 작전을 총괄하는 최상위 작전사령부로 군령권을 행사하는 부대로 육군의 지작사, 해군의 해작사에 해당하며 사령관은 중장이다. 사령부 예하로 공중전투사령부, 공중기동정찰사령부, 방공관제사령부, 미사일방어사령부를 두고 있는 공군의 전투전력을 총괄지휘한다. 전작권이 한국 측으로 환수된다고 하더라도 공군의 구성군사령관 직위는 미국이 갖으며 공군작전의 특성 및 중요성 때문에 평시에도 한미연합으로 운영되고 있다. 미7공군사령부와 공작사가 오산에 같이 있는 이유이다. ㅁ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 김해공군기지 공군작전사령부 예하부대로 사령관은 소장이다.  ㅇ 3훈련비행단, 5공중기동비행단, 15특수임무비행단, 39정찰비행단, 6탐색구조비행전대, 28비행전대, 51항공통.. 2024. 4. 2.
12보병사단 을지부대 GOP DMZ ㅁ 12보병사단 을지부대 한국전쟁중인 1952년 11월 창설되었고 동부전선 향로봉과 산악지역을 담당하는 산악부대로 원통에 사단본부가 있고 별칭은 이승만대통령이 을지문덕의 정신을 계승하라는 취지로 을지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ㅇ17여단 (쌍호) / 1대대가 신병교육대 - 인제군 북면 월학리501-2 / 네비는 월학쉼터 ㅇ 51여단 (향로봉) 2대대 단결대대 GOP근무 ㅇ 52여단 (쌍용) 2대대 을지대대 GOP근무 ㅇ 산악지대라 10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초까지 이틀에 한 번 꼴로 고된 제설작업을 해야 한다. 정말 시도 때도 없이 내리는 그 양이 또 어마어마하다. GOP에서는 보급로에 굴착기와 불도저를 배치하여 겨울 내내 운용한다. 2009년에서 2010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최악의 폭설이 있었는데, FEB.. 2024. 4. 1.
5기뢰/상륙전대 53상륙전대 ■ 5기뢰 / 상륙전단 (구 5성분전단)-제52기뢰전대 : 기뢰부설함(남포함, 원산함), 소해함(강경급과 양양급)-제53상륙전대 : 해병대와 상륙작전수행 / 독도급 고준봉급 천왕봉급 향로봉함-제59기동건설전대 : 상륙작전 성공후에 지역안정화 작업을 하는 공병부대 7전단이 구성되기 이전까지 해군의 작전을 총괄하던 부대였다. ㅁ 53상륙전대 ㅇ 성인봉함(LST-686, 2600톤급)은 해군5성분전단(5전단) 소속으로 상륙작전 시 해상에서 목표지역으로 상륙전력을 수송하고 해외파병, 인도적 지원, 재난구조지원 등 국가 대외정책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함정 길이 112m, 항속거리 약 1만2000㎞, 승조원 120여 명으로 40mm와 20mm 함포를 보유하고 상륙병력과 전차, 헬기 등을 탑재할 수 있다.ㅇ 천자봉함.. 2024. 4. 1.
국방부 국방정신전력원 " 적과 싸워 이기는 군대! 적과 싸워 이기는 군인! 적을 압도하는 정신무장 함양! " ㅁ 국방정신전력원 / 대전 자운대 국방부 직할부대로 정신력강화를 위해 창설된 교육기관으로 준장급이 원장이다. 국군 장병의 정신전력 육성 및 함양을 총괄하는 부대로서, 1977년 9월 5일 창설된 국군정신전력학교를 모체로 하고 있다. 1990년 국방정신교육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98년 12월 육군종합행정학교 정훈학처로 개편(폐지)되었다. 천안함 사건이후 2013년 12월 합동군사대학교 예하의 국방정신전력원으로 16년만에 재창설되었고, 2016년 1월 1일부로 국방부 직할 부대로 개편되었다.국방정신전력원은 국군 장병의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 연구, 교육자료 개발과 제작을 주임무로 한다. 대표적인 교육과정은 공.. 2024. 3. 31.
육군종합정비창 항공기정비단 항정단 ㅁ 군수사령부군수사령부는 전군 군수지원 위계상 상위계층에서 계획하고 조달받으며 배분하는 역할을 맡는다면 군수지원사령부는 인접 야전부대와 밀착하여 현장에서 군수지원하는 역할을 맡는 군수사령부 지사나 대리점으로 보면 된다.군수사령부 직할대와 예하부대 모두 군복에 군수사 부대마크를 착용하며, 군수사령부가(부대가)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탄약창 등 예하부대 장병 및 전역자도 자신의 부대가 군수사 예하인 건 어느 정도 자각하는 편이며, 군수사 칠성대용사로서의 정체성이 일부 있다. ㅁ 육군종합정비창 / 창원'전군 지상공통장비 창 정비 지원'을 담당하는 육군 군수사령부 소속으로 창원시 의창구에 있다.창설된 각 분야별(총포, 차량, 화포, 통신기기, 화학기기, 의무기기 등)기지/공작창을 통합하여 1975년에 .. 2024. 3. 31.
11전투비행단 11전비 광성대 비행대대 '영공을 우리품에! 최강11비!'■11전투비행단 (광성대) / 대구공군기지공군 공중전투사령부 예하의 비행단으로 1958. 8월 창설 작전대대 / 102전투비행대대 / 110전투비행대대 / 122전투비행대대ㅁ 102전투비행대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전투비행대대다. 6ㆍ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8월 1일 제1전투비행단 예하 제12전투폭격대대로 창설됐다가  102전투비행대대로 개칭됐다.ㅁ 110전투비행대대ㅁ 122전투비행대대ㅇ 11전투비행단(11전비. 구상모준장)은 ‘24 자유의 방패(FS·Freedom Shield)’ 연습과 연계, 6일 ‘즉·강·끝(즉각, 강력히, 끝까지)‘ 태세 완비를 위한 ‘24-2차 비수(PISU) 훈련을 실시했다. 비수 훈련은 11전비에서 자체적으로 기획한 공중.. 2024. 3. 31.
블록-Ⅰ 레이저 대공무기 출력 20㎾급 레이저대공무기 하반기부터 전방부대 전력화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북한이 운용하는 소형 무인기와 드론이 우리 영공을 침범하면 군은 다양한 무기로 대응한다. 20㎜ 벌컨, 30㎜ 차륜형 대공포 등이 기본으로 동원되고, 중대형 무인기라면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 '신궁'이나 '천궁'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상당량의 소형 무인기를 운용하는 북한군은 최근에는 미국의 RQ-4 글로벌호크와 MQ-9 리퍼와 닮은 전략무인정찰기(샛별-4형)와 공격형 무인기(샛별-9형)를 개발해 공개하기도 했다.우리 영공을 침범했던 북한의 소형 무인기는 대체로 고도 2∼3㎞ 상공에서 시속 100여㎞로 비행했다. 이런 무인기를 1발당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에 달하는 신궁이나 천궁으로 대응하는 건 .. 2024. 3. 31.
15보병사단 공병대대 ㅁ 15보병사단 승리부대 / 철원 화천 38여단 - 번개 GOP / 39여단 - 을지 GOP / 50여단 - 독수리 본부는 화천에 있으며 철원의 철책을 방어한다. 좌측에는 3사단, 우측에는 7사단과 함께 중부전선을 담당하는 최전방 부대로, 휴전선 155마일 정중앙에 위치해 있기에 산골이며 산악전부대로 불린다. 1996년에는 수해로 사단 사령부를 포함한 거의 모든 지역이 초토화되었고 장병 18명이 사망하기도 하였다. 간부들 사이에서는 2군단 예하 최악의 부대로 손꼽힌다. 휴전선 정중앙인 중부전선 최전방부대로 산악지역이라 산악전부대로 분류되며 고성전투에서 승리하여 싸우면 반드시 승리한다는 의미로 프란체스카여사의 의견에 따라 이승만대통령이 부여했다. 사단이 어중간하게 화천과 철원에 걸쳐 있어 지원을 제대로 못.. 2024. 3. 31.
120mm 자주박격포 [방위산업전략포럼 2022.12 조현상 기자] 방위사업청(방사청)은 26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5,840억 원 규모의 120mm자주박격포와 사격지휘차량 후속양산 계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방사청 관계자에 따르면 120mm자주박격포는 기존의 4.2인치 박격포 대비 사거리가 최대 2.3배, 화력이 1.9배 늘어나고 차량의 회전 없이 박격포 자체가 360도 회전하면서 목표 변경에 대응할 수 있어 기동전투임무를 수행하는 기계화부대의 작전수행 능력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또한 기존 운용병이 수동으로 사격제원을 산출하던 방식에서 사격지휘차량이 자동으로 산출한 사격제원을 활용하도록 개선되어 정확도는 획기적으로 높인 반면 운용 병력 수는 중대 기준 32명에서 24명으로 줄어 미래 전장 환경 하에서 효과적인 화력지원이 가능.. 2024. 3. 30.
5공병여단 도하훈련 ■ 5공병여단 / 포천5군단 예하부대로 1971년 창설되어 포천일대에 주둔하고 있으며 여단장(대령)은 대장진급코스라고 한다. 여단장에서 대장으로 진급을 못하면 대령으로 전역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 신병들은 랜덤으로 공병 후반기교육을 받고 자대배치받는다.국방개혁 2.0에 따라 6군단이 해체수순을 밟고 있는데 직할부대인 6공병여단병력이 흡수된다고 한다. ㅇ 직할대 / 118공병대대 명문대대 / 121공병대대 국방봉대대 / 123공병대대 돌풍대대 ㅁ [방위산업전략포럼 장상호 기자] 한미 양국 군이 실전적 도하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2024 제병협동 도하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 20일 오전 경기 연천군 임진강에서 열린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에서 기갑장비 등을 건너기 위해 공병부대가 부교를 설치하고 있.. 2024. 3. 30.
부산 주례동 부산보훈병원 요양병원 ㅁ 사상구 주례동 235 / 부산요양병원 서울·광주 이어 세 번째…부울경 보훈가족 및 지역주민에 의료서비스 제공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게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21년 착공한 보훈공단 부산요양병원이 3년 동안의 공사를 마치고 본격적인 진료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부산요양병원은 서울요양병원과 광주요양병원에 이어 전국 보훈병원 중 3번째로 개원하는 요양병원이다. 보훈 가족을 비롯한 부산·울산·경남 지역주민에게 최적화된 요양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부산요양병원은 사업비 452억 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에 180병상(6인실)을 갖추고 병상 사이 공간을 1.5미터 이상 확보해 환자가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입원과 요양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재활에 필요한 전문시설과 장비를 .. 2024. 3. 30.
해군항공사 63해상항공전대 비행대대 ㅁ 해군항공사령부 / 포항해군기지61해상항공전대 / 62해상항공전대 / 63해상항공전대해군항공사령부는 부대 창설과 동시에 해군작전사령부로부터 해상 항공 작전 통제권을 위임받았으며 해군항공사는 준장급 지휘 부대인 제6항공전단을 모체로 소장급 부대로 확대개편됐으며, 초대 사령관은 제6항공전단장인 이상식 준장이다. 해군은 독자적인 항공기 보유를 위해 1951년 4월 1일 진해 해군공창에 ‘항공반’을 조직하고, 동년 8월 우리나라 최초의 수상항공기 ‘해취(海鷲)호’를 취역시켰다. 1957년 3월 쌍발 수상정찰기인 ‘제해(制海)호’를 제작하고, 동년 7월 15일 한국함대 예하 함대항공대로 창설됐으나 1963년 해체됐다. 함대항공대는 1973년 5월 1일 재창설됐고, 동년 10월 10일 해군과 해병대 항공대(U-6.. 2024. 3. 30.
담양 창평리 창평시장 창평국밥거리 ㅁ 창평면 사동길 14-24 / 창평시장 전남 담양군 창평면 사동길 12 / 창평국밥거리 창평을 전국에 알린 효자 국밥 담양군 창평면에는 100년도 더 된 전통시장이 있고, 시장에 나온 사람들의 입맛을 지켜온 돼지국밥 전문점이 7곳 있다. 한우 고깃집과 삼겹살 전문점을 합치면 고깃집이 10곳 남짓이다. 미식가들이 극찬하는 창평돼지국밥을 맛보고 왔다. 창평돼지국밥을 먹으러간 그날 마침 보슬비가 내렸다. 날이 궂은 날 국밥이 더 맛있을 거라는 예감이 확 들었다. 길바닥이 촉촉이 젖은 오전에 먼저 창평면사무소에 들렀다. 한옥으로 지어놓은 면사무소 건물이 ‘서울 촌놈’을 압도한다. 현판이 昌平縣廳(창평현청)이다! 아마도 전국 유일한 한옥면사무소가 아닐까. 마당에 서 있는 늠름한 느티나무는 수령이 수백 년쯤 되어.. 2024. 3. 29.
청주 청원 초정리 초정약수 장희도가 [여행스케치=청주] 세상이 뜻대로 돌아가지 않거나 세상사가 답답할 때, 때론 시원한 물 한 컵이 약이 되기도 한다. 땅에서 솟는 샘물들을 흔히 ‘약수’라고 말하는데 이는 몸에 유익한 성분들이 포함되었다는 과학적 근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특히 탄산 성분이 포함된 약수는 특유의 톡 쏘는 맛이 몸속을 깨워주는 느낌이다. 청주의 초정으로 떠나는 여행은 나를 깨우기 위한 여행이다.우리나라엔 탄산 성분이 있는 약수가 많다. 정선의 화암약수가 철분이 함유된 탄산수이고, 인제의 방동약수나 청송의 달기약수도 톡 쏘는 탄산 약수다. 그 외에도 탄산 성분이 함유된 약수는 여럿이지만 그중에서도 첫손 꼽는 건 역시 음료기업의 광고로 인해 ‘초정리 광천수’로 귀에 박힌 초정약수다. 세계 3대 광천수, 초정약수초정약수는 세계 .. 2024. 3.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