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7496

홍성 홍주읍성 홍주성 ㅁ 홍성 홍주읍성(洪州邑城) 충남 홍성의 홍주읍성은 현재 홍성군청을 둘러싸고 있어 다른 읍성에 비해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또 발굴과 조사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깨끗하게 복원됐을 뿐만 아니라 성 내부에 있는 여러 유적들도 제 모습을 찾은 상태다. 안타까운 것은 읍성의 성벽 반쪽이 소실된 것. 이미 소실된 쪽에는 크고 작은 건물들이 들어차 있어 성벽을 옛 모습으로 복원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다행히 소실된 쪽의 동문은 잘 보존된 상태로 한양도성의 숭례문과 흥인지문(동대문)처럼 홍성의 상징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홍주읍성이 처음으로 축조된 시기는 전해지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기 힘들다.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였던 주류성으로 추정되고 있다는 것과 고려 시대 백월산 중턱에 있던.. 2024. 3. 21.
지뢰탐지기 PRS-20K GPR 기술 적용… 비금속지뢰까지 탐지야전운용시험 등 군 운용성 검증 마쳐국내 기술 우수성 입증… 수출 전망 밝아 방위사업청(방사청)은 비금속지뢰까지 탐지할 수 있는 신형 지뢰탐지기 PRS-20K의 군 배치가 시작됐다고 30일 밝혔다.현재 우리 군이 운용 중인 지뢰탐지기 PRS-17K는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년 이상 운용 중이다. 목함지뢰와 같은 비금속지뢰가 탐지되지 않는 등의 제한사항이 있었다.신형 지뢰탐지기는 2015년 탐색 개발에 돌입해 2020년 국내 기술로 개발을 완료했다. 지표투과레이다(GPR) 기술을 적용해 금속지뢰뿐만 아니라 비금속지뢰까지 탐지할 수 있다. 지표투과레이다는 전파 특성을 이용해 표적을 탐지하고, 그 위치를 찾아내는 장치다.방사청과 체계개발업체인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양산.. 2024. 3. 21.
2024 봄축제 봄맞이축제 벚꽃축제 매화축제 전국 봄축제 정리3월 4월 5월북부동 봄의 눈꽃축제 / 영주 소백산 철쭉제 / 자라섬 꽃 페스타 / 퍼스트가든 봄꽃축제 / 베어트리파크 철쭉제 / 함평 나비대축제영암왕인문화축제 / 광주 양동통맥축제 / 대청호 벚꽃축제 / 한빛맥주축제 / 유성온천 문화축제 / 원동 매화축제부천 백만송이장미축제 / 원미산 진달래축제 / 에버랜드 튤립축제 /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 소죠마츠리축제 / 부천 도당산 벚꽃축제 / 삼척 장미축제ㅇ 진해 군항제 / 석촌호수 벚꽃축제 / 여의도 봄꽃축제 / 이월드블러썸피크닉 / 강을 경포벚꽃축제 / 광양 매화축제서울숲 튤립축제 / 반포한강 유채꽃축제 / 논산 딸리축제 / 고령 대가야축제 / 영취산 진달래축제 / 구례산수유축제뚜벅뚜벅축제 / 광화문푸드마켓 / 서울 장미축제 / 중랑천 장미.. 2024. 3. 21.
17여단 쌍호여단 2대대 백마촌대대 화령장대대 ㅁ 12보병사단 / 을지부대 / 인제 원통리 ㅁ 17보병여단 / 쌍호여단 / ㅇ한국전쟁중에 단 한번도 패한적이 없는 무적의 12보병사단(강원도 인제. 을지부대) 예하여단으로 국방경비대 시절부터 존재하고 있는 부대로 현재 강원도 동부전선을 담당하며 '1대대-인천상륙진격대대,신병교육대 2대대-백마촌대대 3대대-수도탈환대대'가 있다. ㅇ2사단이 해체될 때 12사단의 37연대는 작계지역과 병력을 17연대(독수리)로 넘기고 해체되었으며 17연대는 12사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는데 37연대가 17연대로 바뀐거나 마찬가지다. ㅇ2사단시절의 17연대는 연대본부 및 직할대, 예하대대가 모두 하나의 울타리 안에 주둔했다. 그래서 그 면적이 어지간한 지방의 대학교 캠퍼스와 비슷했다. 사단본부와 사격장을 비롯한 주요 시설이 양.. 2024. 3. 20.
81여단 1대대 진격대대 GOP대대 ㅁ 28보병사단 / 태풍부대 / 동두천 상패동 국방개혁 2.0에 따라 2025년경에 해체예정이 예고되어 있다. ㅇ 80여단 쌍용여단 / 81여단 독수리여단 / 82여단 돌풍여단 / 포병여단 천둥포병 28사단은 동두천으로 되어 있으나 사단 본부대와 일부 사단 직할대만 동두천과 파주 및 양주시에 있고 대부분의 예하부대는 연천에 몰려 있다. 감악산 유격장도 연천군 전곡읍 늘목리에 있으며 파주시 적성면 경계에 있다. 예외가 있다면 신병교육대와 80여단 본부는 파주시 적성면에 위치하고 있다. 28사단이 담당하는 GOP 섹터의 경우 5사단 좌구간 섹터까지 이어지는 3군지역(경기도)에서 유일한 산악지형으로, 강원도 중/동부 섹터만큼은 아니지만 무릎 연골 망가지기 좋은 지형이다. 게다가 수색대로 자대배치받고 DMZ 작.. 2024. 3. 20.
9보병사단 29여단 1대대 황룡산대대 ■ 29보병여단 황금박쥐부대 / 고양시 및 파주 ㅇ9사단(백마부대) 예하여단으로 월남전에 전투병력으로 참전하였으며 종전후 미군이 철수한 자리에 주둔하여 현재 고양시 및 파주시 일부 임진강을 경계한다. ㅇ우편물 고양시 일산동구 풍동 사서함110-17호 00대대 00중대 0소대(관등성명) 1대대 붉은박쥐 황룡산대대 / 2대대 푸른박쥐 한강대대 / 3대대 검은박쥐 현달산대대 ㅇ12.12군사반란때 하나회의 주축인 노태우가 9사단장으로 있었는데 3야전군사령관인 이건영중장의 명령을 어기고 전방의 29연대(연대장.이필섭대령)를 구파발을 지나 광화문으로 이동시켰으며 중앙청, 총리실, 청와대를 접수하는 반란을 일으켰는데 진압군쪽에서는 전방의 전투부대를 이동시키리라고는 생각을 안했고 9공수여단이 진압군으로 서울을 향해 출.. 2024. 3. 19.
3군단 3포병여단 93포병대대 화룡대대 ㅁ 3포병여단 / 산악포병 / 인제 북1리1953년 3군단 포병단으로 창설되어 1982년 3포병여단으로 변경되었다. 여단 본부는 인제군에 있으며 예하 대대들은 인제와 양구에 있고 예하의 모든 대대들을 포병단없이 여단 직할로 거느리고 있다. ㅁ 93포병대대 / 화룡대대 / 천도리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사서함 100-29 제93포병대대 00포대 3포병여단 중 최초로 창설된 포병대대로 MBC에서 2013년도에 방영 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사나이 시즌 1기에서 촬영했다. 천도리에 위치 하고 있으며 원통터미널까지 차로 15분 정도 소요된다. 과거 KH-179 견인포를 운용 했지만, 2011년 부터 K-9 운용하다가 2023년 12월부터 K-9A1으로 개편됐다.  93포병대대가내뿜는   포탄속에   우리에 .. 2024. 3. 19.
거제 장목면 대금산 해수욕장 서울→경부고속도로→대전-통영고속도로→동통영 I.C →거제대교→신현읍→연초면 명동리 대금산 (437.5m) 신라 때 쇠를 생산했던 곳이라 하여 이름이 붙여진 대금산(大金山)은 거제의 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산세가 순하고 비단 같이 부드러운 풀들이 온 산을 뒤덮고 있어 비단을 두른 산이란 뜻으로 대금산(大錦山)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금산 정상 가까이까지 임도가 나 있어 자동차들이 자주 지나다녔다. 상쾌한 기분으로 산행을 나선 등산객으로선 꽤 성가신 일이지만, 부모를 따라온 어린 꼬마들이 쉽게 눈에 띈 이유가 아마 편한 임도 덕분인지도 모르겠다. 산 정상에 가까워지자 아래 비탈면에 흐드러지게 핀 연분홍 진달래꽃들에 끌려 여기저기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산이 활활 불타는 것 같았다. 팍팍한 우리 마음의 심지에.. 2024. 3. 19.
5공중기동비행단 259특수임무대대 항공특수통제사 ㅁ 5공중기동비행단 1966년 9월 5공수비행단으로 창설되어 작전범위 확대와 해외 임무의 증가에 맞춰 2013년 7월 5공중기동비행단으로 변경하였으며 전술공수 임무에 특화된 비행단으로, C-130J, CN235가 운용되고 있다. 복무병사들은 5비가 비행장중에서 제일 근무하기가 좋단다.ㅇ 항공작전대대 (251 258 259 261대대) / 항공정비전대 / 기지방호전대 / 작전지원전대ㅇ 259특수임무대대에 특수임무대 ( CCT )가 배치되어 있고, CN-235를 운용하는 제256전술공수비행대대가 있었으나 15특수임무비행단으로 예속되었다. ㅁ 259특수임무대대2020년 7월 1일 제259전술공수지원대대가 제259특수임무대대로 전환 창설되었고 공정화물의장대, 특수임무대(구. 공정통제중대)가 있다. ㅁ 특임대 /.. 2024. 3. 18.
5보병사단 포병여단 359포병대대 ㅁ 5보병사단  / 연천 백의리ㅇ 1948년 4월 29일 경기도 수색에서 제3, 4, 9연대를 기반으로 제5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창설 후 여단 주둔지가 전라남도 광주로 변경 되었고, 1949년 5월 12일, 제5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이때 제15, 20연대가 사단으로 배속되었다.ㅇ 주 임무로 중부전선 중심 연천지역 및 철원 일부의 GOP 경계를 담당한다. 사단 좌측에 28보병사단, 우측에 6보병사단이 있으며 사단에 신교대가 있다. 예하에  27여단(포범 GOP) 35여단(사자) 36여단(독수리 GOP) 포병여단(백곰)이 있다. ㅁ 5사단 포병여단 / 백곰포병 / 연천ㅇ 포병여단 본부에 다련장(천무)사격대가 있으며 예하에 359포병대대 (K55A1) / 822포병대대 (K55A1) / 988포병대대 (절.. 2024. 3. 18.
5공중기동비행단 259특임대 공정통제사 CCT 공중보급훈련 ㅁ 5공중기동비행단 / 김해공항 CCT Combat Control Team / 가장먼저 들어가서, 가장 늦게 나온다. 한때 공군 공정통제팀이라는 공식 명칭보다 1978년 4월 창설됐다는 뜻을 담은 784부대라는 애칭으로 더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육군엔 특전사, 해군엔 UDT. 그리고 대한민국 공군엔 이들이 있다.COMBAT CONTROL TEAM, C.C.T ㅇ ‘자유의 방패’(FS) 연합연습 일환으로 경남 창녕군 남지비상활주로에서 ‘한미연합 ATSP(항공추진보급기지) 개소 및 이·착륙 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에는 우리 공군 C-130·CN-235 수송기와 CH-47 헬기, 미 공군 A-10 공격기 등이 참여했다. 공군에게는 신속한 ATSP 구축 능력이 필요하다. 전시에 아무리 낯선 곳에서도 항공기 이.. 2024. 3. 18.
5기갑여단 39전차대대 번개대대 ㅁ 5기갑여단 / 철풍부대 / 양주 봉양동 ㅇ편성 ; 본부 - 수색 방공 공병 통신 보수 의무 / 38전차대대 - 불사조 / 39전차대대 - 번개 / 55전차대대 - 폭풍 / 113기보대대 - 북진 / 126기보대대 - 강병 / 665포병대대 - 불사조 / 866포병대대 - 청포 1990년 12월 1일에 대한민국 육군의 네 번째 독립 기갑여단으로서 창설되었으며 양주에 주둔하고 있는 5군단 예하의 독립전투여단으로 3기갑여단의 장비를 물려 받아 창설되었으며 연천평야 방어한다. 위수지역이 포천 파주 의정부에서 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성북구 중랑구로 확대되었다.  동두천 ~ 의정부 축선의 대전차 방어능력 보강 및 제6군단의 공세적 기갑전력 확보를 위해 1990년 12월, 경기도 양주에서 전차 2개 대대와 기계화.. 2024. 3. 17.
후쿠시마 핵사고 13주기 에너지전환대회 을지로입구 2024. 3. 16. 오후2시 촛불집회를 안가고 청와대도 안가니 서울에 올라갈 일이 거의 없어 오랫만에 서울집회에 함께 했다. 2024. 3. 16.
군수사 육군종합정비창 ㅁ 군수사령부 군수사령부는 전군 군수지원 위계상 상위계층에서 계획하고 조달받으며 배분하는 역할을 맡는다면 군수지원사령부는 인접 야전부대와 밀착하여 현장에서 군수지원하는 역할을 맡는 군수사령부 지사나 대리점으로 보면 된다. 군수사령부 직할대와 예하부대 모두 군복에 군수사 부대마크를 착용하며, 군수사령부가(부대가)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탄약창 등 예하부대 장병 및 전역자도 자신의 부대가 군수사 예하인 건 어느 정도 자각하는 편이며, 군수사 칠성대용사로서의 정체성이 일부 있다. ㅁ 육군종합정비창 / 창원 '전군 지상공통장비 창 정비 지원'을 담당하는 육군 군수사령부 소속으로 창원시 의창구에 있다. 창설된 각 분야별(총포, 차량, 화포, 통신기기, 화학기기, 의무기기 등)기지/공작창을 통합하여 197.. 2024. 3. 15.
장보고-Ⅲ 배치(Batch)-Ⅱ 선도함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바탕으로 은밀 타격능력이 대폭 강화된 장보고-Ⅲ 배치(Batch)-Ⅱ 선도함이 본격적인 건조에 들어갔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30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에서 해군, 방사청, 조선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보고-Ⅲ 배치-Ⅱ 선도함 기공식을 개최했다.잠수함 선체를 구성하는 첫 번째 블록을 건조 선대에 거치하는 기공식은 함정 건조를 실질적으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행사다.행사는 배치-Ⅱ 선도함에 사용될 첫 블록 거치 기념 촛불 점화에 이어 건조 현장의 무사 안전을 기원하는 안전기원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배치-Ⅱ 선도함이 2세대 명품 거북선으로 탄생하기를 한마음으로 기원했다.배치-Ⅱ 선도함은 지난 2019년 10월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계.. 2024. 3. 15.
차륜형지휘소용차량 차륜형장갑차 K808 육군·해병대 사단 대대급 이상 배치기동 중 어디서나 유기적 전투 지휘 가능 달리는 첨단 지휘통제실이 야전에 배치된다.방위사업청(방사청)은 12일 “미래형 전투체계 핵심인 차륜형지휘소용차량의 최초 전력화를 공식 발표한다”며 “육군25보병사단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야전 배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차륜형지휘소용차량 사업은 우리 군이 추진하는 아미타이거(Army TIGER) 4.0의 핵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차륜형지휘소용차량을 육군·해병대 사단의 대대급 이상 부대에 전력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그동안 군이 운용해온 천막형 야전지휘소는 설치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적의 화기와 화생방 위협으로부터 방호가 불가한 상태로 작전을 수행하게 돼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왔다.이에 차륜형지휘소용차량은 적의 화기와 .. 2024. 3. 15.
중고도정찰용무인항공기 MUAV 적 전략 표적 영상정보 실시간 확인고난도 임무 무인화로 생존성 향상 우리 군의 감시·정찰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중고도정찰용무인항공기(MUAV·Medium Altitude Unmanned Aerial Vehicle)가 양산사업에 들어간다. 양산된 MUAV는 공군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방위사업청(방사청)은 “24·25일 부산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에서 합동참모본부, 공군, 국방과학연구소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MUAV 양산사업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며 25일 이같이 밝혔다. MUAV는 종심지역 표적 정보 수집 및 정찰 등의 임무 수행을 위해 원거리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전송하는 무인 항공기다.특히 적 전략 표적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작전지휘.. 2024. 3. 15.
남해 관음포 노량해전 이순신호국길 이순신의 마직막 바다 - 관음포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가 새해 극장가를 달구고 있다. 노량해전이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라는 건 전 국민이 아는 상식이다. 그런데 노량이 어디에 있는지는 모르는 사람이 많다.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 사이 좁은 해협이 노량 바다다. 남해군의 두 큰 섬 남해도와 창선도 곳곳에 이순신 장군과 노량해전을 기억하는 공간이 있다. 노량 바다는 어쩔 수 없이 슬픔을 동반한다. 승리의 영광을 기억하는 동시에, 이순신의 최후를 마주하는 장소다.‘그날의 바다’ 한눈에 보이는 전망대△ 이순신 순국공원에서 이순신 명언 쓰기, 갑옷 체험, 북 치기 등을 할 수 있다.‘사천·남해·고성에 있던 왜군의 배 300여 척이 노량에 도착하자, 통제사 이순신이 수군을 거느리고 나아갔다. (중략) 왜군의 .. 2024. 3. 14.
완도 생일도 혼돈의 봄이다. 남녘에는 매화가 절정이고, 강원도에는 폭설이 내렸다. 꽃 소식을 들으면 마음이 달뜨기 마련이다. 봄을 찾아 멀고 먼 전남 완도 생일도로 달렸다. 소사나무 빽빽한 백운산은 이미 봄 기운이 가득했고, 생일도 둘레길의 ‘돌강(암괴류)’에는 동백꽃이 만개했다. 내 생일은 가을이지만, 생일도를 여행하니 마치 봄날에 생일을 맞은 듯한 기분이었다. 산일도에서 생일도로 바뀐 사연 완도군은 265개 섬으로 이뤄졌다. 강진·장흥·고흥 앞바다까지 완도의 섬들이 흩어져 있다. 생일도는 강진이 들머리다. 강진 마량에서 다리로 연결된 섬으로 들어가 배를 탄다. △ 완도 약산도에서 배 타고 가면서 바라본 생일도는 백운산이 우뚝하다. 차를 몰고 고금대교를 건넜다. 고금도에 들어서자 화사한 봄 풍경이 펼쳐진다. 완만한.. 2024. 3. 14.
한미연합훈련 수기사 육군수기사, 연합·합동통합화력 훈련 미 무인항공기, 적기 좌표 전송하자 K30 비호복합, 사격 30여 초 만에 격멸 지뢰·대전차장애물 기갑 기동 막자 양국 전투공병차량 출격 돌파구 확보 제병협동 연합전투단 일사불란 활약 전시 작전 수행 능력·상호운용성 향상 전쟁의 승패는 사소한 차이가 쌓이고 쌓여 결정된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말처럼 여러 병과와 동맹국이 힘을 합치면 승리는 더욱더 가시화된다. 특히 기계화부대는 특성상 신속한 기동에 앞서 각종 자산으로 적을 무력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국과 연합작전, 타군과 합동작전, 타병과와 협동작전이 불과분인 이유다. 육군7기동군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수기사)은 미2사단/한미연합사단 11공병대대와 ‘연합 통합화력훈련’을 하며 이 사실을 체감했다. 양국 부대와 각.. 2024. 3. 14.
서귀포 성읍리 정의성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30 / 정의읍성 정의현의 도읍지는 본래 성산읍 고성이었는데 왜구의 침범이 잦아 중심지로는 좋지 못하여 읍성의 중심을 지금의 성읍으로 옮겼다. 정의성 내에는 현감이 집무하였던 일관헌과 정의향교 및 여러 관서들이 들어서 있다. 제주도의 다공질현무암으로 쌓았다. △ 정의읍성의 주 출입문으로 사용되고 있는 남문. 남문을 지키듯 세워져 있는 돌하르방이 이곳이 제주도임을 알려주는 것 같다. ■ 성읍민속마을이 있는 곳 제주도 동남쪽 내륙 지역에 위치한 정의읍성은 제주도의 성 중에 유일하게 성곽과 함께 동문·서문·남문, 그리고 모든 문 위에 문루(門樓)가 복원돼 있다. 성 안에는 성읍민속마을이 있어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정의현성이라고도 불리는 정의읍성은 1416년(태종 1.. 2024. 3. 14.
5보병사단 27여단 3대대 통일대대 GOP대대 백마고지 ㅁ 5보병사단 / 열쇠부대 / 연천 백의리ㅇ 27여단 표범부대 / 35여단 사자부대 / 36여단 독수리부대 / 포병여단 백곰부대 ㅇ 1948년 수색에서 제3, 4, 9연대를 기반으로 제5여단으로 창설되었고 창설 후 여단 주둔지가 전라남도 광주로 변경 되었고, 1949년 5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이때 제15, 20연대가 사단으로 배속되었으며 20연대가 빨치산 토벌을 담당했다. 한국전쟁 초기에 괴멸정도라 해체되었다가 1950년 10월 대구의 27연대, 마산에 주둔 중인 35연대, 부산에 주둔 중인 36연대를 근간으로 대구에서 5보병사단을 재창설하였고, 이 연대들이 지금까지 이르게 된다. 재창설된 5사단은 이후 수많은 전투를 치르게 되는데, 그 중 36연대가 미 2사단 예속으로 양구에서 치른 피의능선전투와.. 2024. 3. 13.
제주 명월리 명월성지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2237 / 명월성지 전형적인 조선시대 성문의 모습 제주도 동쪽 한림읍 동명리에 있는 명월진성은 바닷가에 접해 있지 않고 약간 내륙 쪽에 쌓은 석성이다. 타원형인 성의 규모는 둘레 1,360m, 높이가 4.2m며 동·서·남쪽에 성문이 있었는데 현재는 남문과 문 위의 누각, 일부 성벽이 복원된 상태다. 남문 앞쪽으로 옹성이 둘러져 있는 등 전형적인 조선 시대 성문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운 성 명월진성은 처음 1510년(중종 5) 제주 목사 장림이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명월포에 나무로 쌓은 목성(木城)이었다. 이후 1592년(선조 25) 제주 목사 이경록이 석성으로 개축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성내에 역대 만호(萬戶)의 이름이 새겨진 비석이 있다. 성.. 2024. 3. 13.
제주 하도리 별방진 왜적에게서 우도 지키던 동쪽 큰 성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3354 / 별방진 / 064-728-8662 별방진(성)은 제주시 동쪽으로 우도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옛날 이곳에 출몰하는 왜적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전해진다. 바닷가에 있는 이 성은 타원형으로 성곽 둘레는 1008m, 높이는 3.5m 정도며 내부에 보축벽이 쌓여 있는 등 제주도 동쪽 지역에서는 가장 큰 진성이다. 동·서·남쪽으로 문 3개와 7개소의 치성이 있는데 성곽과 치성은 잘 보존된 편이지만 문과 문루는 볼 수 없다. ■ 옛 문헌에 기록된 별방성 '별방성'에 대해 ‘동국여지승람’ 따르면 1510년(중종 5) 제주 목사 장림이 처음 성을 쌓았으며 1848년(헌종 14)에 제주 목사 장인식이 다시 손질하여 고쳤다고 알려.. 2024. 3. 13.
육군정보학교 ㅁ 육군교육사령부 ㅁ 육군정보학교 / 이천시 상승대육군교육사 예하의 정보병과 교육을 담당하는 병과학교 1949년 5월 20일 수색에서 창설되어 6월에 남산동으로 이전했고, 7월에 남산학교로 개칭되었으며 한국전쟁으로 임시로 해체되기도 했다. 재창설되어 1951년 1월 27일에 육군본부 정보국 소속으로 이전되었고, 학교 명칭은 '제7훈련소'로 개칭되고 1952년 다시 육군정보학교라는 이름으로 환원되었다. 핵심 군부대들이 정보학교 인근에 집결해 있는데 특전사, 7기동군단, 육군항작사 등 굵직굵직한 군부대들은 이곳에 몰려있으며 각 부대의 정보 요원들이 정보학교에서 훈련과 교육을 받는다. ㅇ 정보교육단에 정보교육대대, 전자전교육대대, 드론교육센터가 구분되어 교육을 시킨다.ㅇ 학교에서 근무하는 장교들은 모든 정보인.. 2024. 3. 13.
102기갑여단 일출부대 536포병대대 위풍당당 정예기갑! 동해선봉! 일출부대! ㅁ 102기갑여단 / 일출부대 / 양양 간리3군단 기갑지원부대로 여단장은 준장으로 1988년 삼척에서 102여단으로 창설되어 2008년 다섯번재 기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보병여단 시절에는 해안경계를 담당했으나 기갑여단으로 개편되면서 수많은 K-1 전차를 필두로 하는 영동 최대의 기계화 부대가 되었고 8군단이 해체되면서 충용대로 사령부가 이전하였다.ㅇ 충용대(양양 손양면. 8군단사령부) : 여단본부 본청, 본부(근무)대, 정보통신대, 화생방중대, 기갑수색중대[5], 전투근무지원대대 본부중대, 전투근무지원대대 보급수송중대, 전투근무지원대대 의무중대ㅇ 일출대(양양 강현면) : 제536포병대대, 방공대, 정보중대, 여단교육대ㅇ 설악대(고성 토성면) : 공병대, 전투근무.. 2024. 3. 12.
1군단 2기갑여단 기계화보병대대 ㅁ 1군단 / 광개토부대 / 고양 선유동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6월 당시 경기 시흥군 동면 독산리 (현재 서울 독산동)에서 김홍일 소장에 의해 '시흥지구전투사령부'로 창설되었다. 시흥사는 국군 최초의 군단급 제대였으며 같은해 7월에 1군단으로 되었다. 1이라는 숫자에 군단이 애착이 강한데,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군단이자 한국전쟁 당시에도 군단 중에 제일 큰 활약을 해서인지 1을 상당히 강조한다. 광개토부대라는 애칭 외에도 2000년까지 쓰이던 애칭인 천하제일1군단도 꽤 쓰이는 편이다. 예하에 1보병사단 9보병사단 25보병사단 1포병여단 1공병여단 1군수지원여단 2기갑여단 30기갑여단 ㅁ 2기갑여단 / 충성부대 / 파주 아동동 6전차대대 맹호 / 16전차대대 백호 / 29전차대대 야생마 106기계화.. 2024. 3. 12.
공중전투사령부 20전비 항공작전전대 비행대대 ㅁ 공군공중전투사령부 / 대구기지공군남부전투사령부란 명칭으로 2003.7월 창설되어 남부 전투비행단을 총괄하는 부대였다. 2015년 하반기부터 공중기동정찰사령부(舊 북부사)와 더불어, 공중전투사령부로 개편되었고, 이후 공중기동사와 상호 부대 재배치를 통해 현재 공군의 모든 전투비행단을 예하에 둔 전투사령부가 되었다.사령관은 소장이 임명되며 공군의 기능사령관 중에서 가장 핵심 보직에 해당되며 진급에 있어 공군 감찰실장과 더불어 중요 요직 중 하나이며 예하 전투비행단을 관할하고, 국군의 공중 작전 상황(공중 무장 능력)과 훈련 상황을 밀착 관리하는 중요한 임무를 지닌 현장 지휘 부대이다. ㅁ 20전투비행단 / 서산 해미면  비행단중에 규모가 제일 크고 풀이 많아 사병은 제초작업하다 시간 다 보낸다. 부대가 .. 2024. 3. 11.
21사단 65여단 65포병대 183포병대대 두메산골펜션 ㅁ 21사단 / 백두산부대 / 양구 안대리 1953년 20보병사단과 함께 창설되어 이승만이 백두산에 깃발을 꽂으라고 백두산부대로 명명했다. 양구 일대를 21사단이 담당하기에 동부전선 중 가장 긴 섹터를 경계하고 있으며, 일부 부지가 삼청교육대로도 쓰였으며 평화의 댐 일부가 관할지역에 있다. ​1990년 3월 3일에 북의 4땅굴을 발견하여 발견하여 북한의 남침도발을 선제적으로 차단하였다. 제4땅굴은 안보교육의 일환으로 민간인에게도 부분 개방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학생들이 분단현실을 체감할 수 있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써 좋은 본보기 역할을 하고 있다. ■ 65보병여단 / 백석산부대(구. 맥진부대) / 양구 백석산 부대명이 맥진이었으나 기진맥진의 이미지가 있기에 1990년대에 백석산으로 바뀌었다. 양구의 .. 2024. 3. 11.
합천 금평리 왕버들 합천군 야로면 금평리 738 / 왕버들 (보호수 지정번호 제12-27-5-12-1) 1982. 11. 10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며 수령은 보호수 지정당시에 270년이었으니 지금은 300년쯤 되겠다. 수고 25m, 둘레 4.8m로 마을입구에 있다. ㅇ 합천은 역사적으로 본디 대가야 지역이었다. 가야산을 정점으로 하는 불교신앙이 두드러진 고장이다. 아울러 야로(冶爐)를 중심으로 하는 철기문화의 모꼬지라고 할 수 있다. 마을 뒷편으로 청계로 넘어가는 고개이름이 사리이재인데 이곳이 쇠피이로 대가야국 당시 철을 생산하였던 곳이다. 쉬피이에서 나는 쇠로 무기와 농기구를 만들었다고 한다. 달리 금굴동이라고 한다. 2024. 3.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