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7496

이천 창전동 문화의거리 이천향교 문화의 거리바닥분수 운영시간은 매일 2회(11시~오후 4시, 오후 7시~9시)로 운영된다.문화재자료 제22호 이천향교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이천향교는 조선 태종 원년(1401)에 처음 지었으나, 지금 있는 건물들은 조선 후기에 수리한 것이다.특히 동무는 1967년, 서무는 1980년에 새로 지었고 1991년과 1993년에는 명륜당과 담장을 수리하였다. 지대가 높은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고,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어 전학후묘의 배치를 따르고 있다.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반의 규모로,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 2024. 6. 14.
퇴역함점 전역함 초계함 울산급 ㅁ 울산함 FF-951ㅇ 최초의 호위함 ㅁ 경북함 FF-956 ㅁ 전남함 / FF-957 / 1989 - 2022.12.311,500톤급 호위함 전남함은 울산급 6번함으로 1989년 취역해 약 33년간 해역방어 핵심전력으로 활약했다. 전남함은 제1연평해전, 대청해전에 참전했다. ㅁ 제주함 FF-958 / 1989 - 2022.12.311,500톤급 호위함 제주함은 울산급 7번함으로 1989년 취역해 약 33년간 해역방어 핵심전력으로 활약했다. 환태평양훈련(’96 RIMPAC), 다섯 차례(’90, ’91, ’93, ’99, ’02) 사관생도 순항훈련 참가 등 실전적 교육훈련체계 정립에도 크게 기여했다. 2024. 6. 13.
이순신급 구축함 DDH-975 충무공이순신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忠武公李舜臣級 驅逐艦)은 대한민국해군이 운용하는 구축함이다. 이순신급 건조 배경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후속 구축함 사업인 KDX-2 하나로 개발되었다. 대한민국해군은 1990년대 대한민국 최초의 개함 방공 구축함인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을 건조하고 림팩훈련 등에서 운영해본 결과, 대양환경에서의 작전상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KDX -1 사업으로 만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원래 계획 12척에서 3척으로 축소되었고, 1996년 이러한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구축함 사업인 KDX-2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2001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건조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5월 초도함인 충무공이순신함이 진수되었다. 충무공이순신함은 최초의 함대 방공 구축함이라고 하였다. 이후 마지.. 2024. 6. 13.
강진 교촌리 보은산 강진군 강진읍 교촌리 산 52 / 보은산보은산 V-랜드 공원은 군민의 여가생활과 건강증진을 위한 힐링 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2020년 1월부터 총 2ha의 면적에 사계절 꽃단지, 생태연못, 산책로, 양묘(養苗)체험 온실 등을 국비 18억원을 포함해, 총 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조성해왔다.군은 이와 함께 보은산 V-랜드 공원을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들도 함께 둘러볼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두루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보완사업을 진행중이다.보완 사업을 통해 어린이들이 직접 체험하고 뛰어놀 수 있는 짚라인, 징검다리 건너기, 경사로 미끄럼틀 등 어린이 놀이시설물 6개소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디자인의 퍼걸러 3개소, 벤치 6개소 등 휴게공간을 조성해, 어린이들부.. 2024. 6. 13.
목포 고하도 용오름길 충무공 이순신의 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방직원료로 뛰어난 '육지면' 최초 재배지였던 섬용이 승천하는 모양새라 붙여진 이름, 용오름길[여행스케치=목포] 용이 하늘로 오르기 전 웅크리고 있는 모습이라 하여 ‘용오름’이라고 부르는 고하도는 이순신 장군이 걸었던 길이기도 하다. 명량해전 이후 이 섬에 머물며 수군재건을 이뤄내 왜란을 끝낼 수 있었던 매우 의미 있는 장소이다. 크고 강하고 곧은 기를 얻으려는 그대에게 고하도 여행을 권한다.목포 시내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 있는 고하도는 유달산(높은 산) 아래 있는 섬이라 하여 고하도(高下島)라 불렸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나주목(羅州牧)에 속했는데 비문에는 고화도(高和島), 난중일기에는 보화도(寶花島)라고 표기했고, 그밖에 고하도(高霞島), 칼섬이라고도 불리는.. 2024. 6. 11.
태안 가의도 육쪽마늘 태안에 자리한 육쪽마늘의 원산지, 가의도마을을 가득 채운 육쪽마늘 밭과 다양한 들꽃남항에서는 솔섬도 관찰할 수 있어 [여행스케치=태안 김세원기자] 중국의 ‘가의’라는 사람이 이 섬에 피난을 왔었다고 해서 가의도라는 설과 신진도 가에 있어 가의도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이곳은 신진항에서 5km 남짓 떨어진 섬이다. 49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한두 시간이면 다 돌아볼 만큼 작은 섬이지만 항구에서 30분이면 갈 수 있어 트레킹 하러 온 관광객부터 낚시꾼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여행지이기도 하다. 신진항에 다다르자 바다향이 콧속으로 흠뻑 밀려든다. 사방에 날아다니는 갈매기를 보니 바다에 왔다는 게 실감 난다. 신진항에서 가의도로 가는 배는 하루에 세 번만 뜨기 때문에 시간을 잘 맞춰야 한다. .. 2024. 6. 11.
진도 가사군도 혈도 양덕도 주지도 가사도 광대도 가사도생태공원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산 395-1쉬미항을 출발하여 7 ~ 8놋트 속도로 10분정도 해상에 이르노라면 가사군도가 북에서 남으로 펼쳐져 있고, 동에서 서로 잔소나무로 위장한 듯 방카를 연상케하는 대소동도, 석벽으로 구축한 주지도(손가락섬), 양덕도(발가락섬), 구멍 뚫린 공도(혈도), 연병장 같은 가사백사, 좌우로 호송이라도 하는 듯 무장된 제도, 다공도, 접우도, 북송도, 불도 등이 일시에 사방으로 총 공진해 오는 듯 잿빛 하늘, 검푸른 파도, 절벽에 부딪혀 떨어지는 물보라가 장관이다.가사도가사도는 해상교통체계상 목포 생활 권역의 벽지 어촌이다. 조도면 해역중 유일하게 다도해 국립공원 지구에서 제외된 농어업이 발달된 섬이다. 조도해역에서 톳양식이 가장 많은 섬이다. 특히 이곳의 .. 2024. 6. 11.
사천 한려해상국립공원 신수도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정된 아름다운 섬반나절이면 섬 둘레길 걸을 수 있어염시개, 사천에서도 손꼽히는 일출 명소 [여행스케치=사천] 사천 끝의 삼천포에서 뱃길로 10분 거리에 있는 섬 신수도는 사천에서 크기가 가장 큰 유인도다. 작은 동산 세 개가 남북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 모양새를 가진 신수도에는 섬의 해안을 따라 둘레길이 조성돼 반나절 동안 쉬엄쉬엄 걷기 좋다.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신수도는 자연 환경이 잘 보존된 섬이다. 겨울의 신수도는 특히 더 눈이 부시다. 섬 곳곳에서는 겨울바람을 맞으며 자란 배추와 봄동이 진한 초록빛을 뽐내고 섬을 품은 남해는 겨울햇살에 반짝인다.초록길 따라 신수도 둘레길신수도 둘레길은 ‘스카이웨이 힐링로드’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편하게 ‘올레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선착장에.. 2024. 6. 11.
28보병사단 태풍부대 군악대 ㅁ 28보병사단 / 태풍부대ㅇ 국방개혁 2.0에 따라 2025년에 해체예정이며 1사단과 25사단이 담당구역을 이어 받는다.ㅇ 28사단이 담당하는 GOP 섹터의 경우 5사단 좌구간 섹터까지 이어지는 3군지역(경기도)에서 유일한 산악지형으로, 강원도 중/동부 섹터만큼은 아니지만 무릎 연골 망가지기 좋은 지형이다. ㅇ 외박은 동두천시 중에서도 지행역이나 양주고읍 쪽으로 많이 가는 편이고 외출은 연천군 전곡읍으로 나가는 편이다ㅁ 군악대 얼어붙은 취업시장과 치솟는 물가는 전역 이후를 준비하는 병사들이 당면한 근심거리다. ‘임기제 부사관’에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불확실성을 줄인 안정적인 선택이라는 입소문이 돌고 있는 것. 그 소문을 사실로 입증한 이들이 있다. 임기제 부사관으로 다시 군문을 밟은 육.. 2024. 6. 11.
1보병사단 임진각 GOP DMZ 전진수색대대 1946년 1월 15일 창립한 국방경비대는 동년 6월에 조선경비대로 명칭을 바꾸고서 1947년 12월 1일에 3개 여단을 창설하였는데 그중 서울의 '제1여단'이 1949년 5월 12일 '제1사단'으로 승격된 것이 제1보병사단의 시작이다.1978년에는 제3땅굴을 발견하기도 했다. 도라산 바로 밑에 있기에 도라산역 관광코스로 끼어있기도 한다. 또한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당시 작업반으로 위장한 특전사가 진입할 때 판문점을 둘러싸고 수색대대, 중대 병사들이 전투태세를 취한 채 수풀 안에 매복해있었다.사단예하에 11여단 12여단 15여단 포병여단이 있으며 임진강을 건너는 통일대교를 관리하고 있어서 각종 미디어에 출연 빈도가 아주 많은 부대다. △ 18일 오후 경기 파주시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내 남방한계선 .. 2024. 6. 11.
신채호함 SS086 ■ 해군잠수함사령부 / 진해 및 제주 93전대는 제주해군기지에 있고 그 이외는 진해에 주둔한다. 1개전대는 잠수함 3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손원일급 9척과 장보고급 9척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현재 6개의 잠수함전대가 있다. 해군잠수함사령부의 역사는 1990년 6월 1일 제57잠수함 전대 창설로 시작되었다. 이후 1992년 독일에서 우리나라 첫 번째 잠수함인 1,200톤급 장보고함을 인수하였으며, 1995년 10월 1일에는 제9잠수함전단으로 격상되었다.[방위산업전략포럼] 조현상 기자 = 28일 울산 현대중공업조선소에 진수한 잠수함은 독립운동가 신채호 선생의 성함을 세긴 3,000톤급 국산 잠수함이다. 해군과 방위사업청은 9월 28일 오후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장보고-Ⅲ Batch-I 3번함인 “신채호.. 2024. 6. 10.
21보병사단 31여단 백호여단전투단 ㅁ 21보병사단GOP부대중 가장 길고 넓은 철책을 경계하고 대부분이 산악지역으로 한국전쟁시 피의능선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3군단에서 근무여건이 가장 안좋다고 한다. 도솔대대는 대대병력주둔지중에 전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으며 1990년에 제4땅굴을 발견하였다.땅굴발견당시 내부를 수색하던 군견 헌트가 지뢰를 밟아 죽고 사후에 인헌무공훈장을 받고 소위로 추서되었으며 동상도 있다.인제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 아무렴 어떠리 양구보다는 나으리.... 암튼 근무조건이 최악인 21사단이다.ㅇ 21사단 백호여단전투단 3천 여 명의 장병들은 유래 없는 장기간의 폭염 속에서도 부여된 전투명령을 모두 완수 했다.부대는 전투원들의 체력보존을 위해 영양제, 수분보충제를 지급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는데, 특히 온도.. 2024. 6. 10.
마라도함 국군의날 문재인 대통령은 ‘국군의 날’인 1일 오전 해병대 제1사단 인근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만에서 열린 '제7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국군 최고통수권자의 첫 번째이자 가장 큰 책무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만들고,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6·25전쟁 당시 유엔군이 최초의 상륙전을 벌인 곳이자 낙동강 방어선 전투의 중요 거점 중 하나였던 포항에서 국군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 것은 창군 이래 최초의 일이다.특히, 이날 기념식의 본행사장은 올해 6월 취역한 해군의 최신 대형수송함(LPH)인 마라도함 함상에 마련되었고,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우리가 개발한 국산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을 이용해 바다 위의 마라도함에 도착했다. 이어진 국기에 대한 경례 때에는 해병대 1기 이봉식 옹이 맹세문을 낭독했다... 2024. 6. 10.
3군단 13항공단 501항공대대 ㅁ 13항공단 / 독수리부대 대대(대)와 전개중대 별로 일곱 군대로 나뉘어 주둔하고 있어, 각 기지마다 생활 여건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겨울엔 무진장 춥고 여름엔 무진장 덥다.병사보다는 조종사 및 헬기가 전투력의 근간이기 때문에 병사가 하는 일은 뒷바라지와 작업, 경계근무 로 근무가 굉장히 잦고 비번을 보기 힘들다. ㅁ 501항공대대  ㅇ 2023년 사격대회에서 우수 헬리건에는 501항공대대 최연태 준위(500MD)가 뽑혀 국방부 장관상을 받았다. ㅇ 이천 항공작전사령부 대연병장에서 권오성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2013 육군항공 사격대회’ 시상식을 개최했는데 2013년 탑 헬리건으로 501대대 윤승진 준위(40세, 회전익 130기)가 대통령상을 수상했다.ㅇ 2009년  육군 공격헬기부대 최우수 사수인.. 2024. 6. 10.
5공병여단 118공병대대 명문대대 ■ 5공병여단 / 포천5군단 예하부대로 1971년 창설되어 포천일대에 주둔하고 있으며 여단장(대령)은 대장진급코스라고 한다. 여단장에서 대장으로 진급을 못하면 대령으로 전역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 신병들은 랜덤으로 공병 후반기교육을 받고 자대배치받는다.국방개혁 2.0에 따라 6군단이 2022년 해체되어 6공병여단병력이 흡수되었다.ㅁ 118공병대대 / 명문대대 / 문암리본래 구형 건물이었으나, 지금은 리모델링을 해서 비교적 깨끗해졌다. 침상 생활관이긴 하지만 온돌기능도 있다.3개월 동기제이며 선.후임 통합 생활관을 사용하며 훈련은 그닥 빡세지 않은 편이다.영점사격장이 부대 내에 있어서 제5공병여단 부대들이 사격훈련을 하러 많이 방문한다.ㅇ 임기제부사관 11인 여단은 전시 군단의 결정적 작전을 위한 기동·대.. 2024. 6. 10.
5공중기동비행단 혜성대 항공정비전대 ㅁ 5공중기동비행단 / 혜성대 / 김해공항 ㅇ 항공작전대대 (251 258 259 261대대) / 항공정비전대 / 기지방호전대 / 작전지원전대 1966년 9월 5공수비행단으로 창설되어 작전범위 확대와 해외 임무의 증가에 맞춰 2013년 7월 5공중기동비행단으로 변경하였으며 전술공수 임무에 특화된 비행단으로, C-130J, CN235가 운용되고 있다.전투기가 없는 부대라 타부대에 비해 조용한 편이나 전투기 소리만 안들릴 뿐이지 수송기이동소음이나 이용량이 많은 민항기소리도 만만치 않은 곳이다. 김해공항이 이용량이 많기는 하지만 민항기 소리가 전투기 이륙할때 찢어지는 소리만 하겠나.복무병사들은 5비가 비행장중에서 제일 근무하기가 좋단다.ㅇ 파병을 위해서는 수송기가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파병한 대.. 2024. 6. 10.
수방사 군사경찰단 특임군사경찰대대 ㅁ 수방사 / 방패부대 / 남태령1974년 박정희 저격미수사건이후 경호처 차지철 경호실장이 수경사 예하에 경호실 지원부대를 창설했고 지휘권은 경호실에서 가져갔는데 현재까지 경호처장이 지휘한다.12.12군사반란때 수경사의 전투병력 대부분을 지휘하던 장세동 30경비단장, 김진영 33경비단장, 조홍 헌병단장 등이 직속상관인 장태완 수경사령관을 배신하고 총리공관을 장악하며 수방사의 흑역사를 남겼고 장태완 후임으로 반란의 주역인 노태우가 사령관이 된다. 예하에 52, 56보병사단이 있는데 위치가 수도권일 뿐 여타 지역방위사단과 별 차이가 없다. 수방사는 야전 대비 보다는 '서울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라는 상징성이 더 강하고 수방사는 전투부대이긴 한데, 그렇다고 전투부대의 주임무인 '전쟁을 대비한 훈련'이 핵심이 .. 2024. 6. 8.
수방사 1경비단 수호신부대 특수임무대대 백호부대 태호부대 ㅁ 수방사 수방사는 제2작전사령부와 함께 전쟁이 일어나도 대통령이 지휘하는 부대이며 서울시내에서 전차를 움직일 수 있다. ㅁ 1경비단 / 수호신부대 1경비단 산하에는 부대개편으로 제2특수임무대대(백호부대), 제35특수임무대대(태호부대) 2개의 특임대대가 있다. ㅁ 2특수임무대대 / 백호부대ㅇ 2특수임무대대는 테러 상황 발생시 출동해 대테러 작전을 수행한다. 원래는 인왕산 경비를 담당했지만 현재는 도심 시가지 전투 임무의 비중이 강화되면서 지난해 4월 경비대대에서 특수임무대대로 개편이 완료됐다. 수방사에서 부르는 약칭은 ‘이특임’이다. 대대급이지만 다른 보병부대와 비교하면 규모는 중대급과 비슷하다. 중대장 장교 1명, 부사관 9명으로 구성된 10명이 한 개의 팀(중대)이다.ㅁ 35특수임무대대 / 태호부대 .. 2024. 6. 8.
수방사 1방공여단 방공대대 ㅁ 수도방위사령부 / 수방사서울 시민 옆에서 대한민국 수도 ‘서울특별시’ 수호를 위해 함께 살며 싸우고 있는 유일한 부대 ‘수도방위사령부’. 이달 1일 부대 창설 63주년을 맞았다. 수도 서울의 방패 임무를 맡는다고 ‘방패부대’로 불린다.국토 면적의 0.6%인 수도 서울은 군사분계선에서 불과 40~50여 ㎞ 떨어져 있지만 대통령실을 비롯해 국가 중요 시설 90여 개가 집중돼 있고 100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모여 사는 메가시티이자 국가의 명운을 좌우하는 전략적 중심지여서 수방사가 방위하고 있다. 수방사는 예하에 2개 사단(52보병사단·56보병사단)과 직할 부대로 1개 여단급(제1방공여단), 4개 단급(제1경비단·제122정보통신단·제113공병단·군사경찰단), 5개 대대급(제22화생방대대·군수지원대대·제1.. 2024. 6. 8.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현무 ㅁ 미사일전략사령부 / 원주육본직할 사령부로  2006년 유도탄사령부로 창설되어 전술무기를 운용하는 비공식부대(9715부대)였으며 육군미사일사령부로 확대된 후 2022년에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로 개편되었다. 국방부는 북한 미사일 위협 변화에 따라 증대된 임무 소요, 주요 전력 확충에 따른 우리 군의 능력 신장, 국방개혁 2.0 기본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육군 미사일사령부는 육군 미사일전략사령부로, 공군 방공유도탄사령부는 공군 미사일방어사령부로 각각 명칭을 변경하고 조직을 보강했다고 밝혔다.ㅇ 국회 국방위원회와 국방부는 2017년 국정감사 일정 공개자료에서 ‘충북 음성 미사일사령부에서 오전 11시부터 현장점검으로 실시한다’는 내용을 밝혀 그 동안 비밀로 붙여졌던 미사일사령부 위치를 공개했다. 사령부.. 2024. 6. 8.
해병 6여단 흑룡부대 65대대 최강대대 ㅁ 해병 6여단 / 흑룡부대 1955년 2월 1일부터 도서경비부대로서 활동을 개시하여, 1974년 도서방어부대로 확장되었다가, 1977년 1월 1일 단대호를 가진 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해병부대중에서 제일 열악한 부대이다. 61해병대대 / 용기원 / 백령도 동남방 방어62해병대대 / 번개대대 / 백령도 서북방 방어63해병대대 / 기습특공 / 백령도 후방에 위치한 상륙기습대대로 2사단의 상륙장갑차소대가 순회파견된다.65해병대대 / 최강대대 / 대청도 소청도 방어6해병포병대대 / 불사조대대 / 본부중대 및 1~3중대, 관측중대, 다연장중대ㅇ 위치상으로 격오지 근무지로 북한 4군단에 맞서는 백령도와 대청도, 소청도에 배치된 해병대 6여단에는 병력 4천여명, K-9 자주포 6문, 155㎜ 견인포 10여문, 105.. 2024. 6. 8.
해병 6여단 백령도 DMZ ㅁ 6여단 / 흑룡부대해병대 6여단은 독립여단으로  흑룡부대의 별칭을 갖고 있는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를 방어하는 부대이다. 1955년 2월 1일부터 도서경비부대로서 활동을 개시하여, 1974년 도서방어부대로 확장되었다가, 1977년 1월 1일 단대호를 가진 여단으로 개편되었다.61해병대대 (용기원) / 62해병대대 (번개) / 63해병대대 (기습특공) / 65해병대대 (최강) [국방일보 정전 70주년 특별기획]낮과 밤, 임무와 휴식. 군대의 삶은 루틴(Routine), 즉 반복이다. 마치 회전목마처럼 돌고 도는 삶을 반복하느라 우리는 일직선으로 향하는 시간의 물리적 속성을 잊기 마련이다. 매일 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반복을 거듭하는 루틴의 방향은 끝을 향하고 있다. 대한민국 비무장지대(DMZ.. 2024. 6. 7.
5보병사단 DMZ GOP 열쇠전망대 ㅁ 5보병사단 GOP 순간 눈을 의심했다. 쌍안경으로 바라본 남방한계선 일반전초(GOP) 철책 너머에서 펄럭이는 깃발. TV에서 봤던 북한의 인공기였다.인공기가 걸려 있는 게양대 옆엔 북한군이 쓰는 병영시설이 있었다. 낮은 지붕에 허름해보이는 이 시설을 북한군이 드나드는 모습, 인근 초소에서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도 보였다. 취재진이 지난 22일 방문한 이곳은 서울 도심에서 북쪽으로 80여㎞ 떨어진 경기 연천 육군 제5사단 일반전초(GOP) 대대 전방관측소(OP). 휴전선에서 2㎞ 정도 거리에 있다.서울에서 차로 2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장소에서 목격한 북한군의 모습에서 남북 군사적 대치 국면이 새삼 강하게 느껴졌다.6·25전쟁 당시 이곳을 사수한 선배 전우들의 뒤를 이어 5사단 장.. 2024. 6. 7.
19전투비행단 은성대 기지방호전대 ■19전비 / 은성대 / 중원비행장 중원기지는 크기가 굉장히 크면서도 잘 정돈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비행단에서는 각종 시설들이 활주로 주변 도로를 따라 쭉 나있는 데 반해 중원기지는 복지시설, 관사시설 등이 한곳에 모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병사들은 보통 이 근처 구역에서만 생활하기에 군사경찰대대나 수송대대가 아닌이상 기지 전체의 거대한 규모를 느끼기 힘들다. 제155전투비행대대 (KF-16C, KF-16D (Block 52) (KFP) 제161전투비행대대 (F-16C, F-16D (Block 32) (PBU)제162전투비행대대 (F-16C, F-16D (Block 32) (PBU)ㅇ 제39정찰비행전대 159전투비행대대(KF-16C,KF-16D) / 131정찰비행대대 운용기체로 PB.. 2024. 6. 7.
1함대 1해상전투단 양만춘함 ㅁ 1함대 / 선봉대 / 동해시동해가 파도가 높고 대잠활동을 하기에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척중에 광개토대왕함과 양만춘함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함정은 청해부대에 배치되고 있다.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 묵호기지로 처음 창설되어 1986년 1함대로 개편되었다. 모항은 동해항이며 사령부는 송정동에 있으며 고성 양양 삼척 울진 울릉도 포항 등에 전진기지나 방어전대가 있다.1함대는 소수의 대형 함정을 멀리 내보내서 오랜 시간을 맷집으로 버티는 구조이고, 2함대는 다수의 중소형 함정들을 교대로 투입해서 빠른 기동성으로 경계를 한다.1함대는 북한 러시아 일본의 잠수함을 상대하기에 대잠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음탐사들이 많이 배치되어 있고 특수전전단의 3특전대대, 해난구조전대의 6구조작전중대가 파견되어.. 2024. 6. 5.
영월 예밀리 망경산사 운탄고도 영월 망경산사와 운탄고도황금폭포 ‘붉은 물’ 까마득한 절벽 아래로 흐르고… 강원도 영월에 해발 1088m의 망경대산이 있다. 이맘때면 망경대산 기슭으로 생강나무 노란꽃이 화들짝 핀다. 바람에 언뜻 실려 오는 그윽한 향기로 봄이 지나는 것을 안다. 망경대산 고봉의 능선들이 양팔을 벌려 지맥을 만들다 잠시 숨을 고르듯 남서쪽에 넓은 터를 만드니 그곳에 망경산사가 있다. 영월 김삿갓면 예밀리 마을에서 삭도길을 굽이굽이 올라 해발 800m지점이다.  온갖 희귀식물과 산야초 봄빛 가득이곳을 처음 찾은 것은 몇 년 전이다. 반대편 망경대산 자연휴양림에서 하룻밤을 지내고, 임도를 따라 두 시간을 걸었다. 자령치 넘어 잣나무 숲을 지나 만난 망경산사는 아늑한 숲속의 정원이었다. 낮고 채색 없는 한 칸 법당과 공양간 한.. 2024. 6. 5.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강원도의 섬강은 횡성군과 평창군의 경계인 태기산에서 발원해 횡성호를 이루고, 원주 간현에서 소금산과 간현산의 기암절벽 사이를 흐르는 삼산천과 합류해 남한강으로 흐른다. “한수(漢水)를 돌아드니 섬강(蟾江)이 어디메뇨, 치악(雉岳)은 여기로다.”관동별곡(關東別曲)도 그 절경을 예찬했다. 섬강의 푸른 강물과 넓은 백사장, 삼산천 계곡의 맑은 물에 기암 준봉이 병풍처럼 그림자를 띄우고 있어 더욱 운치를 더하고 있다. 간현관광지에서 간현교와 삼산천교를 지나면 소금산그랜드밸리가 있다. 소금산(343m)은 규모는 작지만 산세가 빼어나 ‘작은 금강산’ 같다는 의미로 ‘소금산’이라 부른다. 작은 산이지만 우벽, 하늘벽, 간현암, 좌벽, 숨은벽 등 병풍 같은 기암괴석 밑으로 푸른 강물이 평화롭게 흐르고 울창한 소나무 숲.. 2024. 6. 5.
칼로리를 높여주는 식품 2024. 6. 5.
방첩사 국군방첩학교 기무학교 ㅁ 국군방첩사령부 / 과천 주암동 DCC(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특무부대, 방첩부대, 보안사, 기무사, 안보지원사를 거쳐 2022.11월 국군방첩사로 개칭하였는데 부대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방첩사가 제일 많이 나왔다고 한다.방첩사는 국군의 정보공동체 중 하나로 해외/특수정보 및 군사보안을 담당하는 국방정보본부와 함께 군 정보기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2023년 여인형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이 중장 진급과 함께 방첩사령관에 임명됐다.(사진) 육사 48기 중 선두 그룹이지만, 군 경력보다 고등학교 학력이 더 주목받았다. 윤대통령 서울 충암고 9년 후배이다. 예하부대로 육군과 해병대는 사단급 이상, 공군은 비행단급 이상, 해군은 전단급 이상의 제대(.. 2024. 6. 5.
합참 핵·WMD대응본부 ㅁ 합동참모본부ㅁ 핵·WMD대응본부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향후 전략사령부로 발전하게 될 합동참모본부 산하 '핵·WMD대응본부'가 2023년 1월 2일 창설됐다. 합참은 오후 김승겸 합참의장 주관으로 핵·WMD대응본부 창설식을 열었다.핵·WMD대응본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등 다양한 위협에 대한 억제 대응능력과 태세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기존 합참 전략기획본부 예하 핵·WMD대응센터에 정보·작전·전력·전투발전 기능을 추가해 신설했다.정보본부, 작전본부, 전략기획본부, 군사지원본부에 이어 합참의 다섯 번째 본부로 창설했다.핵·WMD대응본부는 북한의 핵·WMD 사용 억제·대응뿐만 아니라 사이버·전자기·우주 영역 능력을 통합운용하는 임무도 수행하게 된다.합참은 핵·WMD대응본부가 "전략사령부의 모.. 2024. 6.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