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방방곡곡/서울 한강337

서울 서대문구-신촌역 연세대학교 석란 포석정 산주풍 가케하시 신촌전철역에서 연세대학교까지 이어지는 연세로는 신촌의 중심거리이다. 이 길을 중심으로 사잇길이 뿌리처럼 뻗어 있다. 연세로는 1999년 서울시가 '걷고 싶은 거리'로 지정한 이후 가로수 정비, 신촌거리 지도 부착 등의 조성사업을 했다. 각종 음식점, 페스트푸드점, 커피숍, 상점 등.. 2009. 3. 5.
서울 은평구-응암동 대림시장주변 이화감자탕 응암4동602-31 감자골목 무한리필 이화감자국 02-307-4723 문을 열고 들어가자 여기저기서 이모를 부르는 소리가 끓이질 않는다. “이모 여기 감자탕 추가요” 한자리에서 감자탕을 팔아 온지 벌써 20년째. 자리 잡고 앉아 있는 사람들도 대부분 10년 이상 된 단골들이다. 이화 감자국에 발을 .. 2009. 3. 5.
서울 중구-을지로6가 평화시장 을지로6가 17번지 평화시장 02-2265-3531 평화시장은 한국전쟁 당시에 피난온 실향민들이 청계천 5,6가에 판자촌을 형성하고 재봉틀 한두 대로 옷을 만들어 팔면서 시작된 시장으로 40년을 단일품목으로 지탱해온 의류전문시장이다. 평화시장은 역사가 가장 오랜 구평화시장을 비롯하여 청계.. 2009. 3. 5.
서울 관악구-신림역 순대타운 신림역 5번 출구로 나와 남부 사거리로 계속 직진. 육교 지나서 횡단보도에서 300m 직진하면 대로변 2층. 오래도록 불지 않는 쫄깃한 면발 만리장성 24시 02-856-4029 접시 한 가득 해산물이 담겨 나오는 볶음짬뽕과 쟁반자장은 보기만 해도 배가 부르다. 보통 중국 음식점에서 가장 잘 팔리는 .. 2009. 3. 5.
서울 중구-소공동 서울광장 소공동 1번지 롯데호텔 호텔롯데 휘트니스클럽 02-317-7301/2 40년의 연륜이 빛나는 정통 일본식 복어 소공동 117번지 송원복집 02-755-3979 복요리집 송원은 40년 넘게 정통 일본 복요리를 선보이는 곳으로 유명하다. 중학교 시절부터 회 뜨는 법을 배운 김송원 사장(80세)이 복요리의 본고장인 일.. 2009. 2. 26.
서울 서대문구-사직공원 필운동 사직분식 소박한 맛의 청국장은 최근 웰빙 바람을 타고 슬로푸드이자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주재료인 콩은 ‘밭의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탄탄한 영양원.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있고 지방질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 또한 질 좋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청국장이 .. 2009. 2. 25.
서울 종로구-관철동 보신각 관철동 45-5 보신각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 10호 보신각지는 도성 안팎에 시간을 알리는 종루가 있던 곳이다. 조선 세조 13년(1468년)에 만들어 원각사에 설치했던 것을 광해군(1619년) 때 현재의 자리에 옮겨 오전 4시에 33번, 오후 10시에 28번 울려 도성의 문을 여닫고 하루의 시각을 알리는 .. 2009. 2. 19.
동대문구 제기동 약령시장 경동시장 서울약령시흥인문 밖 3리 지점(현재 안암동로터리) 선농단 서쪽에 보제원이 있었다. 조선시대 흥인문을 벗어나 동묘에 이르면 이곳에서 길이 둘로 갈라지는데 동북쪽 길을 따라 조금 더 가면 보제원이 닿게 된다. 이 곳에서 안암동천·제기현·고암을 거쳐 수유리를 지나 노원역에 이르며 이 도로는 강원도와 함경도와 연결되어 포목 등을 수송하는 도로이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도로의 발달과 함께 역과 원이 동시에 발달하였다. 역은 서울에서 각 지방에 이르는 30리마다 도로변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그 기능은 중앙과 지방과의 공문전달, 관물, 공세의 수송, 관료 행차시 마필의 급여와 숙식제공 등의 기능을 맡았다. 서울의 역에는 숭례문 밖 2리에 있는 청파역과 흥인문 밖 10리의 노원역이 있었다. 원은 공용여행.. 2009. 2. 18.
서울 금천구-가산동 패션타운 디지털단지역 구로 디지털단지역 구로디지털단지역은 9000여 업체, 11만 여명이 근무하는 구로디지털단지로 통하는 2호선 전철역이다. 하루 유동인구만 13만 여명에 달한다. 디지털단지역/아시아경제 박종일기자 가산동 패션타운 “창고같은 아웃렛은 가라.” 서울 금천구 가산동 서울디지털산업 2단지.. 2009. 2. 3.
서울 종로-종로4가 광장시장 빈대떡 서울 종로 4가와 5가 사이에 위치한 광장시장 1905년 한성부에 등록된 서울의 공식 재래시장 1호다. 등록된 이름은 광장시장이었지만 60년대 말까지 동대문시장으로 불렸다. 6·25전쟁 후 피란민들이 몰려들면서 동대문 일대까지 대규모 무허가시장을 형성했기 때문. 동대문 상권이 동대문.. 2009. 1. 16.
서울 성동구-행당동 왕십리역 살곶이체육공원 패션몰·영화관·광장… 복합 문화공간의 왕십리역사 8일 오후 서울 성동구 행당동에 위치한 왕십리역. 지하철 2·5호선과 국철 중앙선이 지나는 이곳 4번 출구로 나오자 지상 17층 높이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민간자본을 유치해 2004년 착공, 2008년 개장한 왕십리 역사(驛舍)다. 연면적 9.. 2009. 1. 7.
서울 송파구-신천역 뚜벅이거리 새마을시장 강남에서 제일 싸게 먹는 곳 ‘잠실 뚜벅이 거리’ 2004년 잠실주공아파트들이 재건축에 들어가면서 유동인구가 줄어 위축됐던 신천동 ‘먹자골목’이 서서히 살아나고 있다. 우선 인근에 롯데캐슬골드나 갤러리아팰리스와 같은 주상복합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다소 늘어났다. .. 2008. 12. 29.
서울 창신동 낙산공원 창신동에서 보는 낙산등잔 밑이 어둡다고, 남산은 알아도 낙산은 모르는 사람이 꽤 많다. 옛 사람들의 눈에는 이 산 모양이 낙타등처럼 보였나 보다. 산 정상에 올라가면 낙산공원과 서울성곽이 손님을 맞는다. ‘파리의 연인’에서 기주(박신양)와 태영(김정은)이 벽돌 벤치에 앉아 포카리스웨트를 마시던 곳. 로케이션 매니저들은 “‘야경’이 홍콩 뺨 친다”며 일람을 권했다.멀리 왼쪽 강남 삼성동 무역센터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시선을 옮겨가면서 동대문, 종로2가 종로타워, 교보문고, 63빌딩을 차례로 보는 ‘눈 호강’은 낙산에서만 할 수 있다.  낙산은 서울의 형국을 구성하던 '내사산'(남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의 하나로 풍수지리 상으로 주산(主山)인 '북악산'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이다. 이렇게 소중한 자연 환경.. 2008. 12. 12.
강남구 대치동 선릉역 래드치킨 스칼렛 고메홈 한국전통음식점 고메홈(GomeHome) 02-568-459512:00~22:00 구정당일 휴무/주차가능/지하철 2호선 선릉역 1번 출구 동부금융센터 우회전   항아리가 거꾸로 매달린 대문부터 눈길을 끄는 고메홈은 약선 한정식 전문점으로 많은 이들에게 유명세를 타는 곳이다. 홀이 따로 없이 10여 개의 방으로만 이뤄진 내부 구조에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 깊은 곳에 자리한 아담한 정원이 이색적인 곳이다.   세계적인 맛을 추구하는 미식가(gourmet)의 집(home)이란 이름 그대로 삼, 더덕, 도라지, 유자청, 매실청, 홍시 등 천연 재료를 이용한 소스와 양념을 이용해서 맛을 낸 은근한 맛의 약선 요리로 미식가들에게 찬사를 받고 있다. 세월의 향기를 머금은 듯한 고가구와 품격이 느껴지는 동양풍 소품들이 방.. 2008. 12. 12.
서울 한성백제문화제 풍납토성 고대 백제로 떠나는 '역사여행' 올해 서울의 축제 중 유일하게 문화체육관광부 '2008년 문화관광축제'에 선정된 '한성백제문화제'가 올림픽공원·석촌동·위례성길 등 백제 고도(古都)의 숨결이 스며있는 송파구 일대에서 막을 올린다. 9회째 맞는 '한성백제문화제'가 서울의 대표적 축제.. 2008. 12. 12.
서울 종로구-창신동맛집 깃대봉냉면 창신초등학교 건너편 깃대봉냉면 02-762-4407 메뉴판에는 ‘저희 비빔·물냉면은 맵습니다. 주문시 참고 바랍니다’라고 크게 적혀있다. 그 밑으로 ‘매운 맛’부터 ‘보통 맛’ ‘덜 매운 맛’ ‘안 매운 맛’ ‘거의 안 매운 맛’ ‘하얀 맛’까지, 6가지 매운 정도에 따라 주문하란다. 메.. 2008. 12. 12.
서울 강남구-차병원사거리맛집 역삼동 차병원 뒤 장도리곰탕 얼음냉면 02-569-3032~3 음식을 눈으로만 즐긴다면, 장도리곰탕 ‘얼음냉면’(8000원)은 100점 만점이다. 물냉면은 투명하게 깍아낸 얼음그릇에 찰랑찰랑 육수를 붓고 국수를 도로록 말아 낸다. 먹는 동안 얼음그릇이 녹아 섞이면서 국물은 더욱 차가워진다. 물론.. 2008. 12. 12.
서울 서대문구-서대문역맛집 뚜껑집 원조통술집 오키도키 서대문 경찰청 뒤편 27년전통의 '뚜껑집' 02)392-0405 토요일 저녁과 일요일 휴무/주차 절대불가 30분 2000원/모둠구이(베이컨·소시지·스테이크)와 부대찌개 우선 뚜껑집의 매력은 철판에 올린 모둠의 질서정연함. '부대'찌개집이니만큼 군대 용어를 빌리자면, 오(伍)와 열(列)을 맞춰 정연하.. 2008. 12. 9.
서울 을지로입구맛집 칠칠복집 원당 황태촌 철철복집 02-776-2418 이 집에 갈 때면 레드와인을 1~2병 가져간다. 살짝 양념해 숯불에 굽는 복불고기(2만6000원)와 찰떡 궁합이기 때문이다.고추장과 각종 소스로 양념한 복불고기 한 점을 불판에 올려놓고 앞 뒤로 살짝 한 번씩만 굽는다. 숯 향이 배인 복 불고기는 입안에서 눈 녹듯 사라진다.4명이서 최소 6인분은 시켜야 좀 먹은 듯 하다. 까치복만 사용한다. 복불고기에 레드와인을 비우고 복지리(1만9000원)를 시켜 먹으면 좋다. 테이블도 다닥다닥 붙어있고 점심시간에는 늘 손님으로 북적인다. 다동 삼성화재 뒷편 대우조선 건물 옆에 있다.원당 뼈해장국 02-775-8262 다동 효광빌딩 1층에 위치한 원당 뼈해장국,감자탕집은 해장국을 주문하면 살이 두툼하게 붙은 뼈다귀와 우거지, 감자 등을 한.. 2008. 12. 9.
서울 중구-충무로 우표문화누리 충무로1가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문화누리 02-6450-5600 우표문화누리는 우표에 관한 모든 것을 만나고 배울 수 있으며, 우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우취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새로운 우표문화공간이다. 총 면적 540㎡으로 우정역사마당, 우표체험마당, 우표정보마당, 우표문화교실로 구성돼 .. 2008. 12. 9.
서울 성동구 상왕십리역 유래회관 전철 2호선 상왕십리역 2번 출구~청계방면 양지사거리~우회전단골들 "37년 전통 한결 같은 맛"…시원한 국물 된장국수도 별미 '유래회관' 02-2293-8866   고기를 먹을 줄 아는 사람들은 두툼하게 썬 고기를 센불에 딱 한번 뒤집어 우물거린다. 물론 생등심의 경우다. 살짝 익은 살코기의 육즙이 설화처럼 피어오른 마블링의 고소함과 어우러져 몇번 씹지 않고도 금세 혀끝에서 사라지고 만다.서울 왕십리-마장동 주변은 예로부터 고기집으로 유명한 거리다. 요즘에야 강남의 대형 갈빗집에 밀리는 감이 없지 않지만 그래도 고기 맛을 아는 이들은 꾸준히 이들 골목을 누빈다.청계 9가 양지사거리 인근 성동보건소(옛 경찰병원) 건너에 자리한 유래회관은 제대로 된 고기 맛을 느끼기에 꽤 괜찮은 집이다. 37년 전통(2대째.. 2008. 12. 9.
서울 서초구-서초동 외교센터 황금온천 한전아트센터 구엔구 서초2동 1332-4 황금온천 02-545-4777 / 581-4888 황금온천은 서울 강남의 한복판에서 온천욕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최고의 수질은 물론 찜질방과 한증막, 사우나, 영화관 등 시설 또한 최고급으로 갖추었다. 순금으로 장식된 인테리어가 고급스러움을 더한다. 황금온천의 온천수는 게르마늄과 .. 2008. 12. 5.
서울 황학동 왕십리곱창 아는 사람이야 다 알겠지만 택시를 타지 않는 이상 신당역 중앙시장 근처라는 어설픈 정보만으론 찾기가 쉽진 않다. 자가운전이라면 황학사거리를 향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신당역에 내려 중앙시장을 찾는 것이 첫번째다. 평소 재래시장을 자주 보지 못했다면 신당역의 중앙시장 자체도 하나의 볼거리다. 특히 시골장터에 서나 볼 수 있는 "진도산 개고기"도 떡~하니 한자리 차지하고 있다. 견육(犬肉)에 대한 찬반논란이야 차치하고 날닭도 아닌 희안한 날개고기 광경에 눈이 휘둥그레 진다. 중앙시장과 견고기 구경이 끝날 즈음. 잊지말고 묻자. "이모님 황학동 곱창골목이 어디예요?" 파 다듬고 계시던 상인아주머니 “시장통 끝까지 나가! 그런 다음 오른쪽 위로 쭉~올라가. 고목나무 나올 때까지 위로 올라가. 거기서부터가 시.. 2008. 11. 25.
서울 노원구-상계동 앵고개 수락산 학림사 송암사 도안사 아기자기한 기암들 조화가 아름다운 수락산 서울 노원구 상계동과 경기도 의정부시·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수락산(水落山·640.6m)은 아기자기한 기암들이 빚어내는 조화가 아름다운 산이다. 이웃한 불암산과 함께 서울에 고개를 돌린 형국이어서 조선 건국 당시 이성계는 ‘반역의 산’으로 부르기도 했다. 예전에는 근처의 북한산과 도봉산의 그늘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으나 최근에는 세미 리지를 즐기는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완만한 슬랩 지대가 많아 초보자도 부담 없이 바위맛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수락이란 이름은 주능선상의 암봉이 장수가 목이 잘린 것처럼 보인다 해서 수락(首落)으로 했다는 설과 산 동쪽 내원암 일대 계곡에 바위가 벽을 둘러치고 있어 물이 굴러떨어지므로 수락(水落).. 2008. 11. 4.
서울 서대문구-서대문로타리 황해동태찜 촌스럽지만 푸근하던…할머니 손 맛 그리울 때 '황해동태찜' 02-313-0190 서대문 ‘황해 동태찜’의 동태찜과 동태탕에는 비록 촌스럽지만, 잊고 있었던 맛이 묻어있다. 눈이 휘둥그레질 만큼 놀라운 맛은 아니지만, 구수하면서도 푸근한 할머니의 손 맛 같은. 이제는 웬만한 가정집에서도 .. 2008. 10. 28.
서울 서초구-서초남부터미널 현풍할매집 서초아구찜 서초1동 1674-5번지 원조현풍박소선할매집곰탕 02-521-7722 지하철 - 2,3호선 교대역 1번출구 강남역 방향 /서울의 자랑스런 한국음식점으로 선정된 곰탕집이다. 1945년 박소선 할머니가 문을 연 이래 60년간 대를 이어 참 맛을 내고 있는 진정한 원조집이다. 진한 국물에 어우러진 쫄깃쫄깃한 육.. 2008. 10. 9.
서울 도봉-초안산공원 창동시장 신창시장 3만5000㎡ 규모의 초안산공원 창동 산 48번지에 조성된 공원은 2006년 인조잔디 축구장과 조깅트랙을 만든 데 이어 생태연못, 야생초화원, 농구장, 풋살경기장, 잔디마당, 배드민턴장 등을 들여 공원 전체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창동 산129번지 일대의 1만7650㎡도 자연학습장, 어린이 놀이시설 등을 갖춘 공원으로 바뀌었고 창북중학교와 주공아파트주변도 모두 공원으로 전환되어 총 8만4547㎡ 규모의 공원이 초안산에 들어서게 됬다. 노원구 월계동과 도봉구 창동 사이, 전철 1호선 월계역과 녹천역 부근 한옆으로 완만하게 솟은 산이 초안산이다. 해발 114m. 산은 낮아도 아기자기한 숲길이 곳곳으로 뻗어 있어 걷고 쉬며 초가을 산책을 즐기기 좋은 곳이다. 주변에선 오래전부터 이 산을 ‘내시 산’으로 불러왔.. 2008. 9. 29.
서울 송파구-성내천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100선 성내천은 청량산에서 발원해 송파구 마천동~오금동~오륜동을 지나 한강으로 유입되는 길이 7.7㎞ 하천으로, 2002년 시작된 복원사업으로 건천(乾川)에서 생태하천으로 거듭났다. 하천폭이 넉넉한데다 나무와 풀이 잘 가꿔져 있어 주민들의 피로를 씻어주는 청량.. 2008. 9. 24.
서울 우이동 솔밭공원 덕성여대 -->◆우이동 솔밭공원소나무 숲에서 은은한 솔 향기를 맡으며 바둑 삼매경에 빠지는 것은 어떨까. 올봄 재단장한 강북구 우이동 솔밭공원은 1만여 평에 100년생 소나무 10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도시속 평지에 형성된 보기드문 소나무 군락지로, 삼각산의 만경봉·인수봉·백운봉 등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어 경관도 좋다.  소나무 주위에는 화려한 자줏빛 맥문동(麥門冬)을 심었고, 곳곳에 돌 화단도 만들었다. 최근영(44)씨는 “솔 향기가 퍼져 나오는 소나무숲에서 아이들과 산책하는 기분이 최고”라고 말했다. 공원 노송(老松)마당 옆에 있는 장기·바둑 쉼터도 인기다. 소나무 그늘 아래 마련된 6개의 돌 위에 바둑판과 장기판이 새겨져 있고, 장기·바둑알도 갖춰져 있어 언제든지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지하철 4호선.. 2008. 9. 23.
서울 동대문구-답신리 중량천 고미술거리 답신리 고미술거리 골동품점, 도자기점 등이 즐비한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거리 자체가 살아있는 문화재이며, 박물관이다. 청계천8가, 이태원, 아현동 등지에 흩어져 있던 고서화, 고가구, 도자기 상점들이 1980년대 중반부터 하나둘 모이기 시작하여 현재 139개 점포가 50만점의 골동품을 .. 2008. 9.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