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방방곡곡/경상남도500 함안 칠북-영동 회화나무 장춘사 칠북면사무소에서 창원시 북면 방면 지방도1004호선으로 우회전하여 200m정도 직진하다 칠원 방면 군도 12호선으로 우회전하여 영동마을로 진입하면 마을입구에 위치함 칠북면 영동리 901 회화나무 천연기념물 제319호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 자라왔으며, 문화적. 생물.. 2009. 6. 29. 산청 신안-3번국도-안봉리 외송리 수월마을 둔철산 수월마을 수월폭포 대나무와 소나무가 언제나 푸르름을 뽐내는 수월마을은 선녀가 놀다간 절경 아래 위치한 마을답게 소담스런 풍경을 하고 있다. 마을앞을 흐르는 계류따라 1km정도 가면 암벽 깊숙이 감춰져 있는 수월폭포가 보인다. 수량은 많지 않으나 높이 15여m에서 흘러내리는 폭포수의 모습이 여인의 단아한 치마폭 같이 조신해 보인다. 폭포수가 모이는 소(沼) 역시 명주 실타래를 세 개나 풀어도 끝이 닿지 않는다는 말처럼 깊은 데다가 주변에 소나무 숲이 울창해 신비감까지 자아낸다. 특히 폭포를 이루고 있는 바위 위쪽에는 용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용이 승천하면서 물 양쪽 바위를 걸어가며 천천히 하늘로 올랐는데 그 발자국이 이어져 두 줄로 길게 새겨져 있다는 것이다. 선유동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에.. 2009. 6. 27. 창원 동읍-신방리 음나무군락 동읍 신방리 652번지 음나무군락 천연기념물 제164호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이며 굵은 가지가 사방을 퍼진다. 크고 편평한 가시가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단풍잎처럼 5~9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엽병 길이가 10~30Cm. 간혹 50Cm에 달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2009. 6. 25. 사천 서금동-노산공원 서금동 101-1 노산공원 사천시는 1995년 5월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통합되어 탄생했으며 시내 중심부에 남해 바다인 사천만이 깊숙히 밀고 들어와 시내가 크게 둘로 나뉜다. 이처럼 사천시는 해안평야 지대인 만큼 청동기 시대의 유적,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고인돌이 많다. 노산공원은 사천.. 2009. 6. 23. 거제 장목-농소리 몽돌해변 농소몽돌해변 장목면 소재지에서 관포를 지나 7km 지점 해변에 위치하며 거제에서 가장 규모가 큰 몽돌해변이다. 해수욕장의 규모는 길이 2㎞, 폭 40m, 해변에 작고 고운 흑진주 빛깔의 몽돌이 깔려 있으며, 한여름에 맨발로 몽돌밭을 거닐면 발바닥을 지압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에 좋다고 .. 2009. 6. 12. 진주 내동-유수리 공룡화석산지 내동면 유수리 495 백악기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제390호 / 1997년 12월 30일 지정 진주 유수리의 백악기 고환경과 공룡화석산지(268,575㎡)는 진주 남강땜의사천만 방수로 바닥지층에서 발견되었다. 물줄기인 가화천 강바닥에서 발굴되었다. 약 1억년 전에 생성된 지층으로 넓이 150m, 길이 2㎞의 .. 2009. 6. 4. 남해 창선-1024번지방도-가인리 공룡발자국화석산지 가인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남해읍을 통하여 소재지 이동면 우측 도로를 따라 삼동면 지족리에 있는 창선대교를 건너서 8km쯤 가면 창선면 소재지가 나온다. 소재지에서 우측도로를 따라 가인 마을에 도착하면 선착장이 있고 해안을 따라 튀어나온 반도에 공룡발자국과 여러 가지 백악.. 2009. 6. 4. 남해 이동-초음리 장평저수지 벚꽃 장평저수지 남해군청 농업기술센터 055-860-3941~3 남해읍에서 이동방면으로 가다 보면 농업기술센터 건물이 나오고 바로 앞에 저수지가 하나 있다. 유명한 벚나무가 있는 장평저수지다. 사방으로 휘늘어진 고목 가지에 눈꽃처럼 흐드러진 벚꽃들이 넘실거리는 장평저수지에 한폭의 수채화.. 2009. 6. 4. 사천 향촌동 남일대해수욕장 1995년 도농(都農)복합시 바람을 타고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합병해 탄생한 사천시는 인구 11만의 도시다. 이후 사천시는 두 지역의 산업적 특색을 고려해 사천공항과 KF-16 전투기 조립공장을 가진 구(舊)사천은 항공우주산업을 육성하고,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끼고 있는 구 삼천포는 수산 및 관광을 주력산업으로 키우기로 방침을 정했다.하지만 조선산업으로 인구가 늘고 도시 규모도 커진 거제도 등이 주목을 받자 사천뿐 아니라 통영, 고성, 마산 등 경남 해안의 상당수 자치단체가 현실적 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잇달아 대형 조선소 혹은 선박 블록공장 유치에 뛰어들어 주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남일대해수욕장남일대해수욕장은 시내에서 3.5㎞의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데다 통일신라 말 고운 최치원 선생이 빼어.. 2009. 6. 3. 거제 하청-칠천도 거북선 최초의 철갑선 거북선탐사 / 이순신프로젝트 1597년(선조 30년) 음력 7월 15일 거제도 칠천량(漆川梁). 현재 행정구역으로 따지면 경남 거제시 하청면 앞바다인 이곳에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은 당시 조선의 주력 수군을 이끌고 좁은 해역을 통과하다 왜군의 기습공격을 받았다. 결과는 처참했다. 왜선 600척과 맞서 1만여명의 조선 수군이 목숨을 잃었고 170여척 중 거북선 7~8척을 포함, 150척이 넘는 함선이 수장되는 치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그로부터 410년이 지났다. 지난 6월 2일 거제도 북쪽 끝, 12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작은 섬 칠천도에서는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순신 프로젝트: 거북선 탐사 출항식’이 열렸다. 바닷속 어딘가에 잠들어 있을 거북선을 반드시 찾아 이 충무공의 호국.. 2009. 6. 2. 창녕 대합-신당리 연꽃마을 우포마을 팜스테이 우포마을 055-532-8150 우포마을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내륙습지 우포늪이 자리하고 있는 마을이다. 워낙 유명한 생태계의 보고가 자리잡고 있는 곳이라 자연생태학습과 농촌체험을 함께 할 수 있는 곳으로 제격이며, 우포늪은 1998년 한국 최대 내륙습지로 인정돼 국제습지 보호.. 2009. 6. 1. 함양 휴천 송전리 용유담 엄천강 세동마을 물방아골 엄천강의 상류에 있는 용유담은 마천면과 휴천면의 경계인 송정리라는 마을에 속해 있다. 지리산의 아름다운 계곡들에서 흘러내린 맑은 물이 이 곳에서 합류된다. 깨끗한 물이 용유담에 이르러서는 해가 쨍쨍 내리쬐는 화창한 대낮에 우뢰소리같은 천지폭포의 쏟아지는 소리를 비롯하.. 2009. 5. 29. 하동 청암-평촌리 청암계곡 하동댐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 - 서진주IC - 남해고속도로 - 진교IC - 비파리 - 양보 방면 지방도(1003호) - 황천삼거리 - 하동호 호남고속도로 전주나들목 - 남원 - 구례 - 19번 국도 - 하동 읍내 - 황천면 방면 2번 국도 - 황천삼거리 - 하동호 청암계곡 청학동 계곡과 하동 계곡물이 합류하여 횡천면 삼.. 2009. 5. 28. 양산 웅상읍-7번국도-무지개폭포 천불사 수월사 부산, 양산, 울산 - 7번국도 경유 - 신명마을 - 무지개폭포 평산리 산 187번지 무지개폭포 양산시의 동부에 위치한 무지개폭포는 인근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경계를 이루고 울산광역시민의 식수원인 회야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계곡이 깊고 물이 깨끗하며, 기암괴석과 울창한 수목이 이루.. 2009. 5. 27. 거제 하청면-유계리 앵산 * 신거제대교-14번 국도로 16.8km-신현-연초-장목방향 1018번 지방도-5.5km- 하청리에서 좌회전-2.1km-유계초등교에서 좌회전-대성사 * 신거제대교-(14번 국도)-연사교 건너 좌회전-연사리-오비리-한내리 유계리 앵산 고현만의 북쪽에 우뚝 솟아 있는 앵산은 하청면과 연초면을 경계하고 있다. 산모양이 꾀꼬리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앵산(507.4m)이라고 한다. 연초면 한내 오비쪽이 뒤가 되고, 하청 유계 해안쪽이 앞이다. 뒤쪽은 천 길 낭떠러지 암벽산인데 비하여 앞은 새의 가슴처럼 산세가 절묘하고 토심이 깊고 나무가 무성하다. 칠천도에서 보면 앵산이 세 개의 봉우리가 높이 솟아 중간 산을 좌우로 하여 새 날개죽지같이 생겼고, 우백호는 하청과 성동 뒤로 길게 뻗어 있고,.. 2009. 5. 26. 창원 의창북면-신촌리 마산리 마금산온천 백월산 마금산 백월산(白月山) 중부내륙고속도로 내서JC - 남해고속도로 동마산IC - 창원역 - 태광주유소(좌회전) - 현대약국앞 사거리(좌회전 직진) - 마금산온천 - 마산리 백월산(창원역에서 13km 위치) 백월산(白月山) 창원시 북면에 위치한 백월산(白月山·428m)은 그리 높지 않지만 서기(瑞氣·상서로운 기운)를 뿜어내는 신비로운 전설과 역사의 향기가 감도는 유서 깊은 명산이다. 백월산은 세 개의 큰 봉우리가 있어 일명 ‘삼산’이라고도 하고, 삼산 동쪽 끝 봉우리의 커다란 바위 형세가 사자가 누워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사자암’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백월산의 당나라 궁궐 연못 전설과 ‘노힐부득·달달박박’ 두 승려의 득도 이야기는 창원 최초의 불교 성지인 백월산 남사를 탄생하게 할 정도로 .. 2009. 5. 26. 고성 이당리 갈모봉휴양림 문수암 쭉~, 혹은 꼬불꼬불 끝 모를 녹색터널 경남 고성 갈모봉 편백나무 숲길 낙엽·흙 냄새 더불어 ‘향기 샤워’, 마음이 쏴~ 쉬엄쉬엄 정상 오르면 탁 틘 바다, 점점이 섬 편백나무는 측백나무과의 상록수다. 피톤치드를 다량 방출하는 속성수의 하나로, 일본 특산종이다. 일제 강점기 이후 삼나무와 함께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심어졌다. 1960~70년대엔 뜻있는 이들에 의해 곳곳에 대량 식재가 이뤄졌다. 국토를 푸르게 하면서 뒷날 목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뜻이 있었다. 이들의 노력은 수십 년이 지난 지금, 사철 푸른 숲으로 우거져 빛을 발하고 있다. 전남·경남 지역의 크고 작은 편백숲들이 이런 곳이다. 요즘 피톤치드가 주목받으며 ‘편백 정유’를 이용한 방향제·아토피완화제·화장품 등이 각광받고, 가구나.. 2009. 5. 15. 의령 부림-입산마을 안희제생가 유학사 미타산 의령읍에서 20번 국도를 따라 창녕으로 가다 보면 도중에 북쪽으로 달려 낙동강에 합류하는 유곡천과 만난다. 세간교를 건너 오른쪽으로 가면 유곡천과 접한 부림면 입산리 입산마을이 나온다. 마을 입구에는 도로 양쪽으로 굵은 느티나무 두 그루가 방문객을 맞는다. 도로 오른쪽에는 ‘입산마을을 빛내신 인물들’ 일곱 분의 이름과 업적을 새겨 두었다. 백산 선생과 함께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을 한 안기종, 독립운동가 안준상 등의 이름이 나란히 있다. 마을은 해발 200m를 살짝 넘는 장백산을 서쪽에 병풍처럼 두고 동쪽으로는 논과 도로를 지나 유곡천을 바라본다. 17세기 초에 이주해와 10대를 이어온 탐진 안씨 집성촌인 입산마을에는 40가구 정도가 있는데 남북으로 긴 마을의 북쪽에 백산 안희제 생가와 탐진 안씨 종택을.. 2009. 4. 10. 사천 삼천포로-삼천포대교 대방동 선구동 실안해안도로 서울 - (경부고속도로) - 진주(대전~진주간고속도로)분기점 - 사천(남해안고속도로) - 사천I.C. - (3번국도) - 선진리성 입구 - 송포동 - 실안동 - 삼천포 실안해안도로(대방동~실안동)경남 하동군과 진주시, 고성군에 둘러싸인 사천시는 서남쪽으로 사천만 바다에 접해 있다. 따라서 영남 내륙에서 회를 먹을려면 삼천포로가야 한다는 삼천포어항과 영남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바다 일몰장면을 감상할 수 있는 대방동과 실안동을 잇는 해안관광도로(일명 일몰이 아름다운 해안도로)를 안고 있다. 사천공항에서 삼천포 방면으로 내려가다가 모충공원 방향으로 일주관광도로로 우회전, 실안소공원을 지나면 대방동까지 이어진 해안은 일몰 감상에 좋은 해안도로가 이어진다. 실안동 앞바다에는 저도, 마도, 둥근섬, 신섬, .. 2009. 3. 24. 진주 신안동-천수교주변 가마솥설렁탕 식당촌이 따로 형성돼 있지 않은 진주교대주변 이게 바로 어머니 손맛 - 가마솥 설렁탕 집에서 먹던 밥이 그립다면 이곳을 찾자. 1인분에 6000원인 고추장 불고기를 시키면, 된장뚝배기, 상추·깻잎쌈, 각종 반찬 등이 함께 나온다. 깔끔하고 정갈한 주인장의 손맛이 학생뿐만 아니라 교직.. 2009. 3. 18. 창원 마산합포구-산호동 산호공원 산호2동 산호공원 마산시는 수려한 용모를 지닌 무학산의 정기와 호수같이 잔잔한 바다 합포만에서 솟아나는 영기를 함께 받아 굳센 기상과 너그러운 품성을 두루 갖춘 곳이다. 마산시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항구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했다. 현대사에서는 3.15의거의 발상.. 2009. 3. 18. 마산 추산동-정법사 문신미술관 성덕암 마산시립박물관 추산동 51-1(문신 1길 71) 문신미술관 055-220-6550 서마산 I.C에서 빠져 나와 우측으로 약 200m정도 내려오면 산복도로가 나온다. 산복도로를 따라 합포고등학교를 지나서 오른편에 있는 자산약수터가 있는 육교에 못 미쳐 좌회전한 뒤 조금 더 내려오면 왼편에 미술관 위치 1992년 예술의 나라 .. 2009. 3. 18. 밀양 가곡동-밀양역 용두연유원지 가곡동 용두연유원지 경남 동북부에 위치한 밀양시는 일찍부터 교통이 발달하여 부산, 대구, 마산, 울산 등 인근도시와 교류가 활발했다. 또 밀양은 3대 아리랑 중 하나인 밀양아리랑의 본고장이다. 태백산 줄기가 남으로 뻗어내려오다가 재약산과 가지산 등을 낳았는데 밀양아리랑의 시.. 2009. 3. 18. 구미 송곡리 태조산 도리사 송곡리 403 지방 문화재자료 제318호 도리사 도리사는 도로변에서 약 10분 거리이며, 태조산 중턱에 위치함.신라에 불교를 전한 아도화상이 겨울인데도 복숭아꽃과 오얏꽃이 만발한 곳에 지었다는 절이다. 원래의 절터는 냉산기슭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숙종3년(1677) 화재로 모든 건물이 소실된 후, 영조5년(1729) 대인이 아미타불상에 금을 입히고 금당암 자리로 옮겨 봉안하고 도리사로 개칭하였다.극락전은 고종13년(1876) 중건한 건물이다.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으로 도리사 우측 끝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화강암을 다듬어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막돌 주춧돌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워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구성했다. 벽체를 모두 판벽으로 구성하고 바깥 벽면에는 벽화를 그렸다. 전체적인.. 2009. 3. 7. 구미 황산동-천생산 천룡사 구미역(구미버스터미널)에서 인동방향, 구미대교를 지나 계속 직진 후 6번째 신호등에서 좌회전하여 황상동 이주단지, 구미정보고등학교, 검성지를 경유해 가는길과 구미대교를 지나 계속 직진 후 4번째 신호등에서 우회전하여 천평방향으로 가다가 구평동의 세월지 (저수지)아래, 천용사(天龍寺) 또는 천생산 산림욕장을 통해 올라가는 길이 있으며, 또한, 장천면 신장리 쌍용사(雙龍寺)를 거쳐 올라가는 길도 있다. 신장리 산42-2 천생산 해발 407m로 높지 않은 산세지만 정상부의 미득암에서 통신바위로 이어지는 장대한 천연절벽이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하늘이 만들지 않고는 이렇듯 깎아낼 수 없다 하여 천생산(天生山)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박혁거세가 축성했다는 천생산성의 볼거리도 더해진다. 특히 소나무 숲길이 등반길 내.. 2009. 3. 4. 진주 집현면-정평리 응석사 정평리 734 전통사찰 제61호 응석사 신라 24대 진흥왕 15년(554)에 창건한 사찰로 무학,뇌옹, 지공대사등이 거쳐갔으며 상량문에는 조선 건융원년(1736년) 에 상량했고, 광무 3년(1899)에 중수한 기록이 있다. 현재는 일주문과 요사채등 부속건물을 갖추고 사찰 주변을 정비하여 전통사찰로서의 .. 2009. 3. 3. 사천 사천읍-구암리 만죽산 구계서원 구암리 산43번지 구계서원 구계서원은 사천읍 구암리 만죽산(萬竹山)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향교가 고려시대부터 조선에 계승된 지방의 공공교육기관이라 한다면 서원은 조선중기에 보급된 지방의 사학기관(私學機關)으로서 유현의 위패를 모시고 유림들의 학문을 장려한 기관이라 하.. 2009. 3. 3. 진해 대장동-성흥사 대장동 산 180 성흥사 성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원래 신라시대 무염국사가 웅동지방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친 것을 보은하는 뜻으로 구천동 관남리에 지었다고 전해온다. 그 뒤 장유화상이 중건하였으나 잦은 화재로 몇 차례 이건하였는데 창건한지.. 2009. 3. 3. 진주 금산면-용아리 금호저수지 용아리 1102-1번지 금호저수지 금산면사무소로부터 약 400m 지점의 금산면 용아리 1102-1번지에 소재한 금호지는 전체구역면적이 204,937m² 규모의 큰 저수지이다. 금호지의 전설은 무척 흥미롭다. 옛날 옛적에 황룡과 청룡(혹은 흑룡)이 하늘에서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었다. 이것을 본 어.. 2009. 3. 3. 통영 67번국지도-당동 통영운하 해저터널 착량묘 남해고속도로 사천IC →사천 → 국도33호선 → 고성 → 국도14호선 → 통영 통영대교 통영시내는 뭍의 끝과 섬의 일부분으로 이뤄진 도시다. 중앙동에서 거의 일자로 뻗어있는 길을 따라 내려가다보면 일방통행으로 만들어 별 어려움 없이 통영대교에 닿을 수 있다. 통영대교와 그 부근에 .. 2009. 3. 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