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군사 안보/육군617

6보병사단 용문산여단 철원GOP 평화전망대 DMZ 155마일 중부전선을 지키는 육군6사단 용문산여단 △ 철원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철원평야 주변의 DMZ 일대는 울창한 숲으로 변화했다. 이른 아침에 피어오른 안개가 장관을 연출한다.  철원은 평야다. 평야의 DMZ는 산악의 그것과는 또 다른 풍경을 자아낸다. 평지의 철책은 가파름이 없다. 산악에 비해 시각적 긴박감도 덜하다. 철책만 지운다면 한가로운 농촌 풍경이다. 하지만 DMZ는 DMZ다. 아름다운 풍광이 분단의 긴장마저 지우진 못한다. 철책 너머 수풀을 바라보는 경계병의 시선은 순간의 방심을 허용하지 않는다. ● 새벽의 DMZ, 평화의 기운 가득DMZ의 새벽은 고요하다. 보이는 것은 철책을 밝히는 조명과 건너편의 암흑뿐이다. 6사단이 관리하는 평화전망대를 찾은 시간은 새벽 4시. 모두가 잠든 시간이다. 적막을 .. 2024. 4. 4.
21보병사단 양구 GOP DMZ 가칠봉중대 육군21사단, DMZ 최고도 전선을 가다 남북을 가른 녹슨 철책에도 봄 내음은 전달된다. 다만 그 속도가 더딜 뿐이다. 중동부전선은 DMZ 155마일 중 최고도 구간을 자랑한다. 육군21사단이 담당하는 중부전선엔 4월 하순에도 거센 눈보라가 몰아쳤다. 하지만 이 눈발도 계절의 흐름을 막을 순 없었다. 방문한 4월 막바지엔 이름 모를 새싹들이 회색 세상에 연두색을 덧칠하고 있었다. 한층 따스해진 햇살은 철책의 냉기를 녹이고 있었다. 바람과 하늘, 그리고 병사들의 얼굴엔 봄의 표정이 완연했다. 분홍빛으로 시작하는 DMZ 봄의 색채 DMZ 고지의 봄은 분홍빛으로 시작된다. 고지를 향해 돌진하던 녹음은 4월 하순에도 산 중턱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었다. 산 중턱 이후 정상까지는 여전히 거친 회색의 외투다. 간간이.. 2024. 4. 3.
12보병사단 을지부대 GOP DMZ ㅁ 12보병사단 을지부대 한국전쟁중인 1952년 11월 창설되었고 동부전선 향로봉과 산악지역을 담당하는 산악부대로 원통에 사단본부가 있고 별칭은 이승만대통령이 을지문덕의 정신을 계승하라는 취지로 을지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ㅇ17여단 (쌍호) / 1대대가 신병교육대 - 인제군 북면 월학리501-2 / 네비는 월학쉼터 ㅇ 51여단 (향로봉) 2대대 단결대대 GOP근무 ㅇ 52여단 (쌍용) 2대대 을지대대 GOP근무 ㅇ 산악지대라 10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초까지 이틀에 한 번 꼴로 고된 제설작업을 해야 한다. 정말 시도 때도 없이 내리는 그 양이 또 어마어마하다. GOP에서는 보급로에 굴착기와 불도저를 배치하여 겨울 내내 운용한다. 2009년에서 2010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최악의 폭설이 있었는데, FEB.. 2024. 4. 1.
15보병사단 공병대대 ㅁ 15보병사단 승리부대 / 철원 화천 38여단 - 번개 GOP / 39여단 - 을지 GOP / 50여단 - 독수리 본부는 화천에 있으며 철원의 철책을 방어한다. 좌측에는 3사단, 우측에는 7사단과 함께 중부전선을 담당하는 최전방 부대로, 휴전선 155마일 정중앙에 위치해 있기에 산골이며 산악전부대로 불린다. 1996년에는 수해로 사단 사령부를 포함한 거의 모든 지역이 초토화되었고 장병 18명이 사망하기도 하였다. 간부들 사이에서는 2군단 예하 최악의 부대로 손꼽힌다. 휴전선 정중앙인 중부전선 최전방부대로 산악지역이라 산악전부대로 분류되며 고성전투에서 승리하여 싸우면 반드시 승리한다는 의미로 프란체스카여사의 의견에 따라 이승만대통령이 부여했다. 사단이 어중간하게 화천과 철원에 걸쳐 있어 지원을 제대로 못.. 2024. 3. 31.
5공병여단 도하훈련 ■ 5공병여단 / 포천5군단 예하부대로 1971년 창설되어 포천일대에 주둔하고 있으며 여단장(대령)은 대장진급코스라고 한다. 여단장에서 대장으로 진급을 못하면 대령으로 전역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 신병들은 랜덤으로 공병 후반기교육을 받고 자대배치받는다.국방개혁 2.0에 따라 6군단이 해체수순을 밟고 있는데 직할부대인 6공병여단병력이 흡수된다고 한다. ㅇ 직할대 / 118공병대대 명문대대 / 121공병대대 국방봉대대 / 123공병대대 돌풍대대 ㅁ [방위산업전략포럼 장상호 기자] 한미 양국 군이 실전적 도하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2024 제병협동 도하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 20일 오전 경기 연천군 임진강에서 열린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에서 기갑장비 등을 건너기 위해 공병부대가 부교를 설치하고 있.. 2024. 3. 30.
22보병사단 율곡부대 GOP DMZ ㅁ 53여단 (구 돌격, 북진) / 55여단 (쌍호) / 56여단 (금강산) / 포병여단 ㅇ 보통 본대가 GOP경계를 하고 예비대가 훈련을 해야 하는데 이 부대는 예비대 역할을 할 여단이 없다 보니, 훈련에서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전 부대원이 지속적인 경계 임무에 투입되어 부대 피로도가 상당하다. ㅁ 55여단 3대대 내륙 GOP를 맡고 있는데 다른 두 여단과 달리 산악지역을 맡고 있어서 소초 간 책임 구역이 짧은 편이다. 원래 현재 책임구간보다 더 짧았으나 조금씩 넓어졌다. 그 덕분에 여단의 섹터에는 말로만 듣던 천국의 계단, V밸리, 맥도널드가 다 있어, GOP에 투입되는 장병들은 투입 3개월 내외로 전부 하체가 튼실해진다고하며 노무현벙커(건봉산에서 2중대방향)가 있는 곳이다. 특히, 12사단.. 2024. 3. 29.
18여단 3대대 백혼대대 GOP대대 ㅁ 3사단 / 백골부대 / 철원ㅇ 18여단 (3대대 백혼 GOP) /  22여단 (2대대 이한림 GOP) / 23여단 포병여단전쟁 당시에는 백골부대가 아니라 사자부대(獅子部隊)라는 별명으로 불렸고 18연대가 합류하면서 백골로 바뀌었다. 5군단 소속으로 중부전선 철원 지역에서 6사단과 함께 GOP 경계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국군 최초의 기갑여단인 1기갑여단과 국군 최강의 화력을 자랑하는 5포병여단이 받쳐주고 있으며, 육군을 대표하는 메이커 사단이다. 전통적으로 해골을 좋아하는지라, 자체 행사나 내부 구조물, 현판 등에는 무수히 많은 해골을 그려넣고 있다. ㅁ18여단 / 진백골부대  ㅇ1대대 / 진백골 / 본부 및 1중대 2중대 3중대 4중대(화기중대) ㅇ2대대 / 아리랑 / 본부 및 5중대 .. 2024. 3. 29.
72여단 비룡대대 사미천완전작전 리멤버817 ㅁ 25보병사단 / 비룡부대 / 양주 70보병연대 계룡 / 71보병연대 해룡 / 72보병연대 청룡1953년 4월 21일 영양에서 창설되어 1964년 3월 15일 현재의 위치로 부대이동하였으며 1968년 김신조가 침투한 루트를 담당한다. 1968년 1월17일 오후 11시께 북 민족보위성 정찰국 124부대 소속 김신조 요원이 '육군 하사 김창수' 명찰의 국군 복장으로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채 통과한 곳이다. 1953년 4월 21일 영양에서 창설1964년 3월 15일 현재의 위치로 부대이동1974년 11월 15일 71연대 구중섭선임하사 수색조가 제1땅굴발견2012년 6얼 18일 GOP총기오발사고2012년 8월 17일 사미천귀순병사 안전유도2015년 8월 23일 수색작전중 하사가 아군의 발목지뢰 밟는 사.. 2024. 3. 28.
38여단 2대대 GOP대대 ㅁ 15사단 / 38여단 번개부대 / 화천 1대대 적근산대대 / 2대대 GOP대대 / 3대대 돌격대대3대대는 50여단 예하대대에서 38여단으로 넘어오면서 4대대로 되었으나 3대대(말고개대대)가 7사단 3여단 1대대와 합쳐지면서 해체되었고 4대대가 3대대(돌격대대)로 전환되었다.철원과 화천의 최전방 산악지대를 방어하는 15사단 예하의 38보병여단으로 국방개혁 2.0에 따라 연대에서 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대령이 지휘한다.사단이 산악지형이라 전반적으로 근무환경은 안좋은 곳 중 하나이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는 부대이며 15사단에서 가장 험준한 산악지대의 GOP근무를 선다. 여단자체가 민통선내에 있고 여단의 부대들이 전반적으로 시설이 매우 열악하며 오지기에 부조리도 많다고 한다. 2021년 말경에 신막사를 사용한.. 2024. 3. 27.
지작사 지상정보여단 드론봇전투단 ㅁ 지상작전사령부 / 선봉대 / 용인 처인구서부전선을 지키던 제3야전군사령부와 동부전선을 지키던 제1야전군사령부가 2019년 통합해 출범한 초대형 사령부로, 전방 방위를 총괄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며 사령관은 대장이다. 지작사는 참모부와 군수지원사령부, 화력여단, 지상정보여단 등 직할부대, 지역군단 및 기동군단 등으로 편성되어 작전 지휘와 지원 능력을 구비하고 있다. ㅁ 지상정보여단 / 용인시 처인구  드론봇전투단 / 운영분석대대 / 대정보대대 2018년 9월 지상정보단으로 창설되어 2024년 여단으로 격상되었고 여단장은 준장이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무인기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드론부대 조기 창설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합동참모본부는 2018년 10월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정보단 예하에 .. 2024. 3. 24.
15항공단 불사조부대 항공대대 ■ 5군단/ 15항공단/ 불사조부대/ 포천 자작동 항공단 야전 군단직할 배치계획에 따라 2018년 9월에 항공사령부에서 5군단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103항공대대 / 가평 / 가평비행장 / AH-1S 운용 201항공대대 / 포천 / 포천비행장 / KUH-1 운용 513항공대대 / 포천 / 이동비행장 / 500MD 운용 포천비행장에서 이동비행장으로 주둔지가 변경 15 항공단가 눈부신 태양아래 젊음을 싣고 / 푸른창공나래 펴는 성난독수리 영원 무궁 조국에 첨병이되어 / 번개치고 뇌성쳐도 날아오른다 보아라 자랑스런 15항공단 / 싸우면 이기는 15항공단 ㅇ 17년도 이전까지는, UH-1 휴이가 15항공단의 주력기종이었다. 격납고 시설이 거의 없어서, 대부분의 기종이 활주로에 주기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024. 3. 23.
2포병단 722포병대대 장타포병 평사포 ㅁ 1포병여단 / 비호부대 고양시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파주, 양주에 예하대대가 산재되어 있고 2포병단, 3포병단, 7포병단으로 구성되며 사단급에 맞먹는 규모라 화력으로도 세계에서 손꼽을 만한 여단으로 K-9이 제일 먼저 배치된 부대도 파주의 3포병단 651대대이다. 문산에서 개성으로 이어지는 라인을 담당하는 1군단의 화력을 지원하며 여단이라 신병교육대가 없기에 병력보충은 군단예하사단의 신병교육대에서 전입온다.ㅁ 2포병단 / 경기 양주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이다.355포병대대 율곡대대 / 652포병대대 유비대대 / 722포병대대 장타대대 / 878포병대대 승공대대 / 898포병대대ㅁ 722포병대대 / 장타대대 / 양주 봉양리최초 창설 당시 M107을 12문 도입했던 부대로 M107이 퇴역하.. 2024. 3. 22.
17여단 쌍호여단 2대대 백마촌대대 화령장대대 ㅁ 12보병사단 / 을지부대 / 인제 원통리 ㅁ 17보병여단 / 쌍호여단 / ㅇ한국전쟁중에 단 한번도 패한적이 없는 무적의 12보병사단(강원도 인제. 을지부대) 예하여단으로 국방경비대 시절부터 존재하고 있는 부대로 현재 강원도 동부전선을 담당하며 '1대대-인천상륙진격대대,신병교육대 2대대-백마촌대대 3대대-수도탈환대대'가 있다. ㅇ2사단이 해체될 때 12사단의 37연대는 작계지역과 병력을 17연대(독수리)로 넘기고 해체되었으며 17연대는 12사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는데 37연대가 17연대로 바뀐거나 마찬가지다. ㅇ2사단시절의 17연대는 연대본부 및 직할대, 예하대대가 모두 하나의 울타리 안에 주둔했다. 그래서 그 면적이 어지간한 지방의 대학교 캠퍼스와 비슷했다. 사단본부와 사격장을 비롯한 주요 시설이 양.. 2024. 3. 20.
81여단 1대대 진격대대 GOP대대 ㅁ 28보병사단 / 태풍부대 / 동두천 상패동 국방개혁 2.0에 따라 2025년경에 해체예정이 예고되어 있다. ㅇ 80여단 쌍용여단 / 81여단 독수리여단 / 82여단 돌풍여단 / 포병여단 천둥포병 28사단은 동두천으로 되어 있으나 사단 본부대와 일부 사단 직할대만 동두천과 파주 및 양주시에 있고 대부분의 예하부대는 연천에 몰려 있다. 감악산 유격장도 연천군 전곡읍 늘목리에 있으며 파주시 적성면 경계에 있다. 예외가 있다면 신병교육대와 80여단 본부는 파주시 적성면에 위치하고 있다. 28사단이 담당하는 GOP 섹터의 경우 5사단 좌구간 섹터까지 이어지는 3군지역(경기도)에서 유일한 산악지형으로, 강원도 중/동부 섹터만큼은 아니지만 무릎 연골 망가지기 좋은 지형이다. 게다가 수색대로 자대배치받고 DMZ 작.. 2024. 3. 20.
9보병사단 29여단 1대대 황룡산대대 ■ 29보병여단 황금박쥐부대 / 고양시 및 파주 ㅇ9사단(백마부대) 예하여단으로 월남전에 전투병력으로 참전하였으며 종전후 미군이 철수한 자리에 주둔하여 현재 고양시 및 파주시 일부 임진강을 경계한다. ㅇ우편물 고양시 일산동구 풍동 사서함110-17호 00대대 00중대 0소대(관등성명) 1대대 붉은박쥐 황룡산대대 / 2대대 푸른박쥐 한강대대 / 3대대 검은박쥐 현달산대대 ㅇ12.12군사반란때 하나회의 주축인 노태우가 9사단장으로 있었는데 3야전군사령관인 이건영중장의 명령을 어기고 전방의 29연대(연대장.이필섭대령)를 구파발을 지나 광화문으로 이동시켰으며 중앙청, 총리실, 청와대를 접수하는 반란을 일으켰는데 진압군쪽에서는 전방의 전투부대를 이동시키리라고는 생각을 안했고 9공수여단이 진압군으로 서울을 향해 출.. 2024. 3. 19.
3군단 3포병여단 93포병대대 화룡대대 ㅁ 3포병여단 / 산악포병 / 인제 북1리1953년 3군단 포병단으로 창설되어 1982년 3포병여단으로 변경되었다. 여단 본부는 인제군에 있으며 예하 대대들은 인제와 양구에 있고 예하의 모든 대대들을 포병단없이 여단 직할로 거느리고 있다. ㅁ 93포병대대 / 화룡대대 / 천도리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사서함 100-29 제93포병대대 00포대 3포병여단 중 최초로 창설된 포병대대로 MBC에서 2013년도에 방영 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사나이 시즌 1기에서 촬영했다. 천도리에 위치 하고 있으며 원통터미널까지 차로 15분 정도 소요된다. 과거 KH-179 견인포를 운용 했지만, 2011년 부터 K-9 운용하다가 2023년 12월부터 K-9A1으로 개편됐다.  93포병대대가내뿜는   포탄속에   우리에 .. 2024. 3. 19.
5보병사단 포병여단 359포병대대 ㅁ 5보병사단  / 연천 백의리ㅇ 1948년 4월 29일 경기도 수색에서 제3, 4, 9연대를 기반으로 제5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창설 후 여단 주둔지가 전라남도 광주로 변경 되었고, 1949년 5월 12일, 제5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이때 제15, 20연대가 사단으로 배속되었다.ㅇ 주 임무로 중부전선 중심 연천지역 및 철원 일부의 GOP 경계를 담당한다. 사단 좌측에 28보병사단, 우측에 6보병사단이 있으며 사단에 신교대가 있다. 예하에  27여단(포범 GOP) 35여단(사자) 36여단(독수리 GOP) 포병여단(백곰)이 있다. ㅁ 5사단 포병여단 / 백곰포병 / 연천ㅇ 포병여단 본부에 다련장(천무)사격대가 있으며 예하에 359포병대대 (K55A1) / 822포병대대 (K55A1) / 988포병대대 (절.. 2024. 3. 18.
5기갑여단 39전차대대 번개대대 ㅁ 5기갑여단 / 철풍부대 / 양주 봉양동 ㅇ편성 ; 본부 - 수색 방공 공병 통신 보수 의무 / 38전차대대 - 불사조 / 39전차대대 - 번개 / 55전차대대 - 폭풍 / 113기보대대 - 북진 / 126기보대대 - 강병 / 665포병대대 - 불사조 / 866포병대대 - 청포 1990년 12월 1일에 대한민국 육군의 네 번째 독립 기갑여단으로서 창설되었으며 양주에 주둔하고 있는 5군단 예하의 독립전투여단으로 3기갑여단의 장비를 물려 받아 창설되었으며 연천평야 방어한다. 위수지역이 포천 파주 의정부에서 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성북구 중랑구로 확대되었다.  동두천 ~ 의정부 축선의 대전차 방어능력 보강 및 제6군단의 공세적 기갑전력 확보를 위해 1990년 12월, 경기도 양주에서 전차 2개 대대와 기계화.. 2024. 3. 17.
군수사 육군종합정비창 ㅁ 군수사령부 군수사령부는 전군 군수지원 위계상 상위계층에서 계획하고 조달받으며 배분하는 역할을 맡는다면 군수지원사령부는 인접 야전부대와 밀착하여 현장에서 군수지원하는 역할을 맡는 군수사령부 지사나 대리점으로 보면 된다. 군수사령부 직할대와 예하부대 모두 군복에 군수사 부대마크를 착용하며, 군수사령부가(부대가)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탄약창 등 예하부대 장병 및 전역자도 자신의 부대가 군수사 예하인 건 어느 정도 자각하는 편이며, 군수사 칠성대용사로서의 정체성이 일부 있다. ㅁ 육군종합정비창 / 창원 '전군 지상공통장비 창 정비 지원'을 담당하는 육군 군수사령부 소속으로 창원시 의창구에 있다. 창설된 각 분야별(총포, 차량, 화포, 통신기기, 화학기기, 의무기기 등)기지/공작창을 통합하여 197.. 2024. 3. 15.
한미연합훈련 수기사 육군수기사, 연합·합동통합화력 훈련 미 무인항공기, 적기 좌표 전송하자 K30 비호복합, 사격 30여 초 만에 격멸 지뢰·대전차장애물 기갑 기동 막자 양국 전투공병차량 출격 돌파구 확보 제병협동 연합전투단 일사불란 활약 전시 작전 수행 능력·상호운용성 향상 전쟁의 승패는 사소한 차이가 쌓이고 쌓여 결정된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말처럼 여러 병과와 동맹국이 힘을 합치면 승리는 더욱더 가시화된다. 특히 기계화부대는 특성상 신속한 기동에 앞서 각종 자산으로 적을 무력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국과 연합작전, 타군과 합동작전, 타병과와 협동작전이 불과분인 이유다. 육군7기동군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수기사)은 미2사단/한미연합사단 11공병대대와 ‘연합 통합화력훈련’을 하며 이 사실을 체감했다. 양국 부대와 각.. 2024. 3. 14.
5보병사단 27여단 3대대 통일대대 GOP대대 백마고지 ㅁ 5보병사단 / 열쇠부대 / 연천 백의리ㅇ 27여단 표범부대 / 35여단 사자부대 / 36여단 독수리부대 / 포병여단 백곰부대 ㅇ 1948년 수색에서 제3, 4, 9연대를 기반으로 제5여단으로 창설되었고 창설 후 여단 주둔지가 전라남도 광주로 변경 되었고, 1949년 5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이때 제15, 20연대가 사단으로 배속되었으며 20연대가 빨치산 토벌을 담당했다. 한국전쟁 초기에 괴멸정도라 해체되었다가 1950년 10월 대구의 27연대, 마산에 주둔 중인 35연대, 부산에 주둔 중인 36연대를 근간으로 대구에서 5보병사단을 재창설하였고, 이 연대들이 지금까지 이르게 된다. 재창설된 5사단은 이후 수많은 전투를 치르게 되는데, 그 중 36연대가 미 2사단 예속으로 양구에서 치른 피의능선전투와.. 2024. 3. 13.
102기갑여단 일출부대 536포병대대 위풍당당 정예기갑! 동해선봉! 일출부대! ㅁ 102기갑여단 / 일출부대 / 양양 간리3군단 기갑지원부대로 여단장은 준장으로 1988년 삼척에서 102여단으로 창설되어 2008년 다섯번재 기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보병여단 시절에는 해안경계를 담당했으나 기갑여단으로 개편되면서 수많은 K-1 전차를 필두로 하는 영동 최대의 기계화 부대가 되었고 8군단이 해체되면서 충용대로 사령부가 이전하였다.ㅇ 충용대(양양 손양면. 8군단사령부) : 여단본부 본청, 본부(근무)대, 정보통신대, 화생방중대, 기갑수색중대[5], 전투근무지원대대 본부중대, 전투근무지원대대 보급수송중대, 전투근무지원대대 의무중대ㅇ 일출대(양양 강현면) : 제536포병대대, 방공대, 정보중대, 여단교육대ㅇ 설악대(고성 토성면) : 공병대, 전투근무.. 2024. 3. 12.
1군단 2기갑여단 기계화보병대대 ㅁ 1군단 / 광개토부대 / 고양 선유동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6월 당시 경기 시흥군 동면 독산리 (현재 서울 독산동)에서 김홍일 소장에 의해 '시흥지구전투사령부'로 창설되었다. 시흥사는 국군 최초의 군단급 제대였으며 같은해 7월에 1군단으로 되었다. 1이라는 숫자에 군단이 애착이 강한데,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군단이자 한국전쟁 당시에도 군단 중에 제일 큰 활약을 해서인지 1을 상당히 강조한다. 광개토부대라는 애칭 외에도 2000년까지 쓰이던 애칭인 천하제일1군단도 꽤 쓰이는 편이다. 예하에 1보병사단 9보병사단 25보병사단 1포병여단 1공병여단 1군수지원여단 2기갑여단 30기갑여단 ㅁ 2기갑여단 / 충성부대 / 파주 아동동 6전차대대 맹호 / 16전차대대 백호 / 29전차대대 야생마 106기계화.. 2024. 3. 12.
21사단 65여단 65포병대 183포병대대 두메산골펜션 ㅁ 21사단 / 백두산부대 / 양구 안대리 1953년 20보병사단과 함께 창설되어 이승만이 백두산에 깃발을 꽂으라고 백두산부대로 명명했다. 양구 일대를 21사단이 담당하기에 동부전선 중 가장 긴 섹터를 경계하고 있으며, 일부 부지가 삼청교육대로도 쓰였으며 평화의 댐 일부가 관할지역에 있다. ​1990년 3월 3일에 북의 4땅굴을 발견하여 발견하여 북한의 남침도발을 선제적으로 차단하였다. 제4땅굴은 안보교육의 일환으로 민간인에게도 부분 개방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학생들이 분단현실을 체감할 수 있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써 좋은 본보기 역할을 하고 있다. ■ 65보병여단 / 백석산부대(구. 맥진부대) / 양구 백석산 부대명이 맥진이었으나 기진맥진의 이미지가 있기에 1990년대에 백석산으로 바뀌었다. 양구의 .. 2024. 3. 11.
2군단 12화생방대대 ㅁ 2군단 / 쌍용부대 / 춘천 1950년 7월 24일 유재흥소장을 초대군단장으로 임명하여 창설되었으며 한국전쟁중 덕천에서 진격하던 도중, 인민군의 기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같은해 11월에 해체되었다. 1952년 3월, 쥐잡기 작전을 마친 백야전사령부를 전신으로 하여 화천에서 재창설되었다. ㅁ 12화생방대대 / 춘천 산천리 춘천시 신북읍 산천2리 사서함 114-26호 12화생방대대 00화생방중대 0병 홍길동 춘천이라 부대위치가 좋고 일과도 편한축이며 배차가 없어 운전병들의 무덤이라 하며 15사단 신교대에서 병력을 보충받는다. ㅇ 2022년 전반기 한미연합 의무지원 FTX 훈련에는 의무사와 65의무여단 외에도 합동참모본부(합참), 육군지상작전사령부(지작사) 2군단 12화생방대대·7보병사단, 공군작전사령.. 2024. 3. 9.
2군단 직할부대 ㅁ 2군단 / 쌍용부대 / 춘천 보병 2개사단과 4개 여단이 예하에 있다. ㅁ 12화생방대대 2군단 12화생방대대 ㅁ 2군단 / 쌍용부대 / 춘천 1950년 7월 24일 유재흥소장을 초대군단장으로 임명하여 창설되었으며 한국전쟁중 덕천에서 진격하던 도중, 인민군의 기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같은해 11월에 해체 choogal.tistory.com ㅁ 2군수지원여단 1군지사 소속이었으나 2017년 2군단의 군수지원 부대를 통합하여 여단으로 창설되었다. 2군수지원여단 구룡부대 쌍용군수 ㅁ 2군단 / 춘천시 신북읍 예하 사단 (7사단 5사단 2포병여단 3기갑여단 2공병여단 2군수지원여단)은 화천과 철원에 있다. ㅇ 과거부대 / 27사단 (2022년해체), 76사단 (2011년해체), 802정찰대대 (해체), .. 2024. 3. 9.
31보병사단 93여단 횃불부대 해안감시기동대대 ㅁ 31보병사단 / 충장부대 / 광주 오치동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지역방어 임무사단으로 지리적으로 제일 후방에 위치해 있으며 951포병대대가 있었으나 해체되어 포병이 없는 사단이다.1955년 화천에서 창설되어 현재 주둔지로 재배치되었으며 1998년 12월 17일 여수 임포리에서 해안으로 접근하던 북의 반잠수정을 95여단 1대대 초병인 김태완이병이 발견하여 격파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이 있었는데 그것 때문에 좋은 소리를 많이 들은 건지 Again '98을 강조하고 있다.  ㅇ 93여단 (횃불) / 95여단 (이순신) / 96여단 (사자) / 503여단 (비호) 4개의 보병여단이 있어 각 지역을 방위하고 예비군 관리, 훈련도 담당하고 있다. 503여단은 광주 및 주변 지역(담양, 장성, 화순), 93여단은.. 2024. 3. 7.
25보병사단 72여단 3대대 파평산대대 ㅁ 25보병사단 / 비룡부대 / 양주 70보병연대 계룡 / 71보병연대 해룡 / 72보병연대 청룡 1953년 4월 21일 영양에서 창설되어 1964년 3월 15일 현재의 위치로 부대이동하였으며 1968년 김신조가 침투한 루트를 담당한다. 1968년 1월17일 오후 11시께 북 민족보위성 정찰국 124부대 소속 김신조 요원이 '육군 하사 김창수' 명찰의 국군 복장으로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채 통과한 곳이다. 1974년 11월 15일 71연대 구중섭선임하사 수색조가 제1땅굴발견했다. ㅁ 72보병여단 / 청룡여단 (구. 흑룡) / 파주 연천 ㅇ 1대대 (용바위대대) / 2대대 (비룡대대 GOP대대) / 3대대 (파평산대대) ㅇ 25보병사단 예하부대로 국방개혁에 따라 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GOP경계근무를.. 2024. 3. 6.
수기사 포병여단 10포병대대 ㅁ 수도기계화보병사단 / 포병여단 / 승포부대 / 가평 상면 봉수리 242-2번지 ㅇ 7기동군단 소속의 수도기계회보병사단(맹호부대)은 전시에 진격을 하는 공격부대로 메이커사단이다. ㅇ 여단 내의 건물들은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사실 모두 같은 형태의 통합 막사이고 10대대만 벽돌 색깔이 다를 뿐이다. 시설은 808대대가 가장 좋다. K-9을 운용하는 부대여서인지 정비고, 수송부 시설부터 차량호까지 모두 깔끔하다. 심지어 풋살 경기장까지 갖추고 있다. ㅇ 시설은 808대대가 가장 좋다. K-9을 운용하는 부대여서인지 정비고, 수송부 시설부터 차량호까지 모두 깔끔하다. 심지어 풋살 경기장까지 갖추고 있다. 기보사단 예하 포병부대라 일반 보병사단의 예하 포병부대보다는 짱짱하고 규모도 크나 군단 직할 포병여단.. 2024. 3. 5.
28여단 도깨비부대 2대대 황도깨비대대 ㅁ 9보병사단 백마부대 28여단 / 도깨비부대 우편물보낼 곳 : 파주시 새꽃로 파주 우체국 사서함5호 0대대 0중대 0병 홍길동 1대대(1~4중대 ) 오산리 / 2대대(5~8중대) 영태리 / 3대대(9~12중대) 내포리 ㅇ 9보병사단(백마부대) 예하여단으로 메이커부대라 각종훈련을 받기에 복무중에 하나이상은 걸린다고 하며 국방부 조사에 따르면 특전사, 해병특수수색대에 이어 훈련량이 많은 여단이라고 하는데 강안경계를 안하기에 훈련을 도맡아서 하는거 같다. 2021년초 업무보고시 서욱장관이 육군 스마트부대로 지정한다고 했다. ㅇ 월남에서 귀국하며 미2사단이 철수하면서 그자리에 9사단이 들어가게 되어 이후 동두천 의정부를 방어하는데 월남전때 9사단의 본진이 도착하도록 이동로를 개척하는 도깨비작전에 참가한 인연으.. 2024. 3.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