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방방곡곡/전라북도318

익산 삼기-미륵산 석불사 연동리 석불사 보물 45호인 석불좌상은 백제시대인 600년께 제작됐으며 머리 부분을 제외한 몸체 높이는 156㎝이며, 광배 높이는 326㎝인 화강암 불상으로 머리는 최근에 만들어 붙였다. 사찰 관계자는 "기후적인 영향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석불사 석불좌상이 국가적인 중대사가 있을 때.. 2013. 2. 2.
군산 성산 709번지방도 성덕리 금강철새조망대 군산시 성산면 성덕리에 자리한 금강철새조망대는 금강을 찾는 철새들에 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곳이다. 전시실, 영상관, 강의실, 학습 · 자료실, 조망공간을 갖춘 철새조망센터와 조류관찰소, 조류보호사, 조류 조각원 연못, 인공 암벽폭포 등으로 이뤄져 있다. 철새조망센터에 들.. 2012. 10. 22.
김제 둘러볼만한곳 하늘과 땅이 만나는 오직 한 곳 '김제'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서쪽으로 달려 만경을 지나면 진봉반도가 시작된다. 북쪽의 만경강과 남쪽의 동진강 사이에 위치하면서 서해로 삐쭉 뻗어나간 땅이 바로 진봉반도. 그 들판 위쪽의 진봉면에는 가끔씩 솔숲 우거진 동산이라도 솟아있지만 아래쪽의 광활면에는 야산은 커녕 동산도 없다. 막힘 없는 지평선 뿐이다. 한국 최대의 곡창지대라는 수식어가 정말 잘 어울리는 땅이다. 이곳 사람들은 이 들을 ‘징게 맹개 외얏밋 들’이라고 부른다. ‘김제 만경 너른 들’이라는 뜻의 사투리이다. 벽골제 단지 내에는 벽천 나상목 선생의 그림을 만날 수 있는 벽천미술관과 수리민속유물관이 있다. 특히 수리민속유물전시관에서는 농경문화와 관련된 유물과 수리시설, 벽골제의 축조과정 등을 엿볼 수 있으며.. 2012. 10. 12.
진안 동촌리 금당사 은수사 탑사 전북 진안에 가면 아주 독특한 모양의 산이 있다. 그 형상이 꼭 말의 귀를 닮았다 해서 이름붙여진 마이산이 바로 그곳. 마이산은 수마이봉과 암마이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좁은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두개의 봉이 사이좋게 서 있는데 세계 유일의 부부봉으로 알려져 있다.마이산(馬耳山)입구 북부예술관관광단지 부지에 최근 코스모스가 만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진안군이 지난해 1만여㎡에 코스모스단지를 조성했는데 올들어 자생 코스모스 수백 만 그루에 꽃이 만발해 가을의 정취를 한껏 돋궈주고 있다.동촌리 서금마을 부락 금당사 063-432-0108 마이산 남부 진입로에서 마이산을 오르다보면 매표소를 조금 지나서 왼쪽에 금당사가 있다. 금당사에서 1.4킬로미터를 올라가면 마이산 탑사가 나온다. 신라 헌강왕 2년(876년.. 2012. 1. 27.
익산 금마면-신용리 용은정사 미륵산성 무왕길 원불교상사원 용화산이 품고 있는 용은정사 3월9일 일요일에 익산 중앙총부를 순례하고 좌산상사님을 배알하러 현재 임시 주석하고 계시는 용은정사(상사원)를 찾아 간다. 용은정사는 시내에서 30여분걸리는 듯하다. 부대후문 못미쳐서 좌측으로 빠지는 농로길을 따라 직진하면 붉은벽돌 건물이 보인다. 군부대뒷편의 구룡마을에 자리잡고 있는데 부대담장너머로 장갑차가 보이고 베레모를 쓴 군인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갑부대같기도 하다. 용은정사전경, 마당 잔듸밭이 상당히 넓다 용은정사가는 길은 기존의 농로를 시멘트 포장한 대형버스가 지나기에도 버거운 좁은 소로길로 신용리 구룡마을 끝자락 2천여평의 대지에 1백여평의 2층 붉은벽돌 건물로 양지바른 평지에 냇가를 끼고 있으며 윤신택 대호법이 이 터를 매입, 리모델링하였으며 삼동원에 주석하시.. 2011. 6. 19.
고창 부안면-수동리 팽나무 수동리 팽나무는 2008년 4월 천연기념물 제494호로 지정된 수령 약 400년의 고목이다. 가슴높이 둘레 6.56m이고 나무 높이는 12m, 나무의 수관(폭)은 동서가 22.7m, 남북이 26m인 거대한 노거수다. 매년 8월 보름이 되면 마을의 당산제와 함께 줄다리기 등 민속놀이를 하면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 2011. 6. 18.
완주 화심리 신촌리 만덕산 정맥 종주붐으로 알려진 만덕산 만덕산(萬德山·761.8m)은 정맥종주산행이 붐을 타면서 특히 정맥 중 가장 긴 거리를 자랑하는 호남정맥이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라지는 부분에 있어 이름이 알려지게 된 산이다. 코스는 산 북쪽 신촌리 미륵사를 경유하는 코스와 남서쪽 마치리 정수골을 경유하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모래재를 기점으로 곰티재~오두치~제2쉼터를 경유하는 코스도 최근 유행하는 정맥타기에 힘입어 인기를 얻고 있다. 마치리~정수사 코스 전주에서 임실 방면 국도와 전라선 철길이 지나가는 상관면에서 북동쪽 골짜기로 들어가면 마치리가 나온다. 마을 동쪽을 에워싸고 있는 호남정맥을 넘는 마치(馬峙)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도시 근교의 마을답지 않게 첩첩 산으로 에워싸인 마치리 정수(淨水) 마을 입구에는 상관저수지가 있.. 2011. 5. 16.
부안 변산반도-격포항 채석강 영상테마파크 침묵 배우고 낭만 즐기는 ‘변산반도’ 서해안 국립공원 변산반도에는 천혜의 절경과 오랜 역사를 지닌 유산들이 많고, 천연기념물인 호랑가시나무, 후박나무, 꽝꽝나무 군락이 분포하고 있어 희귀식물의 보고로 알려지고 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곳이 내소사와 채석강이다.격포리에 위치한 채석강은 강이 아니고 바닷가의 절벽이다. 기이한 바위와 빼어난 경관 때문에 사랑받는 채석강(彩石江)은 전북기념물 제28호로 변산반도 격포항에서 닭이봉 일대를 포함한 층암절벽과 바다 1.5㎞를 말한다.가족과 함께 낭만을 즐기며 조용하게 쉴 수 있는 곳, 무더운 여름, 고요한 암자의 풍경소리처럼 들리는 파도소리에 마음을 담아보자. 변산반도를 가보는 거다.산과 들과 바다가 어울어진 변산엔 아름답고 풍요로운 자연 경치를 공짜로 감상할 수.. 2011. 5. 15.
정읍 시기동-정읍천 정읍사 샘고을시장 정읍시 시기3동 81-7 정읍사공원 정읍사의 발원현장에 6만7천 여평의 규모로 공원을 조성하여 시의 상징인 백제의 여인상인 망부상과 정읍사 사우 정읍사 노래비를 건립하였다. 망부상 망부상은 1986. 12월 2.5m 화강암으로 건립하였는데 약간 긴 저고리에 옷깃을 따라서 저고리 아래쪽까지 .. 2011. 5. 15.
부안 변산면-고사포야영장 하섬 운산리 고사포 441-7 고사포야영장고사포는 변산해수욕장에서 격포로 가는 해안선의 중간 지점에 있다. 인파가 몰리는 관광지가 양옆에 포진해 있지만 고사포는 인근 해수욕장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우선 해수욕장 입구부터 소박하다. ‘고사포’ 표지판을 따라 큰 입구로 올라가면 원광대학교 수련원이 나온다. 널찍한 주차장이 있지만 이곳은 고사포해수욕장 주차장이 아니다. 수련원 옆 펜션 왼쪽으로 난 좁은 길이 고사포 야영장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 고사포야영장 모습. 바다와 모래사장을 바라보고 소나무 숲이 들어섰다. 텐트를 열고 나오면 인공적인 것은 눈에 띄지 않는다. 날것의 자연을 그대로 맛볼 수 있다. 길을 따라 올라서면 길이 2km의 우아한 송림이 펼쳐진다. 거센 파도 소리를 흡수라도 할 것처럼 소나무 .. 2011. 5. 14.
전주 전주천-덕진보 콩나물국밥 삼백집 전주천 어른 팔뚝만한 잉어 수 백 마리가 백제교까지 올라온다. 잉어들은 전주천과 삼천천이 합류하는 금학보에서 올라왔다. 이 일대는 수량이 풍부하고 갈대와 달뿌리풀이 군락을 이룬 하중도가 발달하여 잉어를 비롯한 물고기들은 물론 넓적부리, 고방오리, 왜가리, 백로 등 많은 철새들이 서식하는 곳이다. 최근에는 수달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물 흐름이 정체 되다보니 상류보다 수질은 나쁘지만 먹잇감이 풍부하기 때문에 상류에 사는 수달이 이곳까지 내려온 것이다. 금학보의 잉어들은 이른 더위에 수온이 상승하자 산란을 하기 위해 예년보다 보름 남짓 빨리 길을 나섰다. 산소가 풍부하고 물이 맑으며, 햇빛이 들어올 수 있는 물이 얕은 곳의 수초를 찾아 백제교 인근까지 올라왔다. 잉어들이 산란을 하러 상류로 오르기 시작한 것은.. 2010. 5. 31.
남원 17번국도-주생역 도산리 금풍지 도산리 금풍지 남원에서 가장 인기있는 낚시터로 자원조성이 잘 되어있다. 금풍지가 냉수성이라 빙어가 방류되어 왔지만 잉어가 더 많으며 붕어도 힘이좋다. 여름철 밤낚시와 가을철 잉어낚시가 적기다. 2010. 3. 16.
남원 대산-745번지방도-운교리 풍악산~노적봉 운교리465-1 구름다리박꽃마을 063-626-9757 교룡산에서 서쪽의 풍악산을 연결하는 구름이 마치 다리를 놓은 것처럼 보인다 하여 천상의 오작교에 비유하는 마을. 제법 멀리 떨어진 두 산을 이어 주는 이 마을은 이름만큼이나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끈끈하다. 농협의 발상지로 스테비아 허브미, 고사리, 송이버섯, 아스파라거스와 한우 등의 특산품을 생산해 내고 있다. 천상의 오작교와 함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여 건강한 삶을 누리는 장수마을이 바로 구름다리박꽃마을이다. 풍악산(楓岳山)은 전북 남원시 대산면과 순창군 동계면의 경계에 위치한다. 해발 600m의 아담한 산으로 단일 수종인 소나무가 빼곡하게 이어져 숲의 정취가 매우 빼어나다. 전라감사 이서구와 ‘혼불’의 작가 최명희가 칭송한 길지로 풍광.. 2010. 3. 4.
익산 799번지방도-원수리 이병기생가 원수리573 전북기념물6호 가람이병기선생생가 가람 선생은 여기에서 태어나 한학을 공부하다가 신학문을 익혀 한성사범 학교를 마친 뒤 여산공립보통학교를 비롯하여 해방 후 서울대학교까지 줄곧 교편을 잡으시며 국문학 연구에 전념하신 선비로 시조의 전통을 혁신하면서 우리말을 .. 2010. 2. 12.
고창 무장면-성내리 무장읍성 성내리149-1 무장읍성 사적346호 관람시간 30분 / 무료 1991년 2월 21일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으며, 성의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는데 성의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144,949.4m²(43,847평)이다. 성내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 그동안 흙으로만 축조된 토성으로 알려져 왔던 이 성이 공사때에 성벽 동쪽 끝부분의 단면이 드러났었는데 성곽일부가 흙과 돌을 섞어서 축조된 것임이 밝혀졌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의하면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0,000여명을 동원하여 그해 2월.. 2010. 1. 29.
남원 721번지방도-추어마을 귀정사 천황산 남원 추어마을 운영위원장 안태원  http://chueo.go2vil.org 미꾸라지를 직접 기를만큼 오염되지 않는 곳에 위치한 마을로 황토천연염색과 황토솔림욕이 가능한 마을이다.* 계절별 프로그램 (민박예약은 홈페이지이용)1) 봄 - 손모내기, 만행산 철쭉나들이, 뽕잎 건강음식, 봄나물축제, 화전만들기 2) 여름 - 오리방사, 토종 미꾸라지 잡기, 미꾸라지 음식, 칠상동 계곡물놀이, 뽕잎· 솔잎 백숙, 과수원체험 3) 가을 - 추수체험, 만행산 단풍트레킹, 군밤구워먹기, 떡메치기 4) 겨울 - 베짱이체험, 뽕잎차 ·솔잎차 체험, 얼음판팽이치기, 솔방울공예, 논바닥 썰매타기 5) 연중 - 천황봉 일출체험, 만행산 소원돌탑쌓기, 건강 약수체험, 만행산 트레킹산동면 대상리 1042  귀정사 063-626-0.. 2010. 1. 15.
고창 734번지방도-용산리 선운리 소요산 백제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소요산(逍遙山) 자락은 소요대사, 연기조사, 도선선사 등 당대 고승들이 머물렀고 수많은 문장가들이 태어난 곳이다. 그러나 선운산의 명성에 눌려 숨죽여 왔다. 다행히 최근 고창군에서 소요산(444.2m) 등산로를 개설하고 미당시문학관을 연계하는 ‘이.. 2010. 1. 9.
완주 동상면-구수리 성재산(장군봉) 성재산 성재산 장군봉(將軍峰)은 옥수청산으로 산수가 신묘한 진안고원의 서쪽 끝자락 완주군 접경에 하늘을 찌를 기세로 우뚝 솟아 있는 삼형제 암봉이다. 바라보고 있으면 산세에서 신비로움이 풍긴다. 여인의 속살처럼 흰 바위들이 난공불락 천혜의 요새처럼 천인단애를 이루고 있어.. 2009. 12. 25.
장수 19번국도-금덕리 성관사 성관사 / 불교 주소 전북 장수군 장계면 금덕리 32-2 전화번호 063-353-0396 설명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 장수 나들목에서 고속도로를 나와서 19번 국도와 마주치는 검문소 앞 삼거리에서 무주방향으로 우회전하여 4.8km를 진행하면 성관사 일주문이 나온다. 이 지점에서 .. 2009. 12. 23.
장수 26번국도-장계5일장 월강사 자락정 장계리 장계5일장 063-351-1165 매월 3, 8, 13, 18, 23, 28일 / 곡류 채소 한우 군산 대구선과 남해 원주선(구도 26번,19번)이 교차되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경상남도 와 전라북도가 인접된 지역으로 20년 전만해도 장계장날이면 인근 경상남도 함양, 서상과 전라북도 무주, 안성, 진안, 남원, 금산, 전.. 2009. 12. 23.
고창-고인돌과 질마재따라100리길 고창 ‘고인돌과 질마재 따라 100리 길’ 선운사 동백·복분자·꽃무릇·고인돌… 고창의 명물 두루 꿰는 43.7km 낭만 길 강둑 길, 호반 지나 국가지정 명승 선운산 계곡으로 고창엔 유명인사와 명소, 맛집 등이 너무 많다. 가장 아름다운 시어를 썼다는 미당 서정주 선생은 그의 시집 에서 “나를 키운 건 8할이 바람”이라고 할 정도로 서해에서 질마재로 넘어오는 코끝 찡한 바람이 부는 고창을 사랑했다. 지난 2000년 유네스코로부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인돌 고분군이 있는 곳도 고창이다. 또 지난 9월 말 국가지정 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된 선운산도 여기 있다.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서 특유의 맛을 내는 풍천 장어로도 유명하다. 그 외에도 판소리 신재효 선생의 생가, 고창읍성,.. 2009. 12. 22.
전주 완산구-서신동 강쇠주 서신동 823-11 강쇠주 063-255-0431 순곡과 누룩으로 약 60일 동안 재래식 발효법으로 숙성시킨 다음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약초 (복분자, 오미자, 산수유, 하수오, 구기자, 산사, 건강, 황금, 솔잎, 감초, 박하) 10종을 엄선하여 빚은 전통주로서 몸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위장장애와 숙취가 적.. 2009. 11. 26.
군산 26번국도-중앙동 이성당 중앙로1가 12-2번지 이성당 063-445-2747 구시청앞교차로에 위치 군산에 숨어있는 한국 빵집의 역사관과 같은 곳. 1945년 문을 연 국내 최초의 빵집이다. 60년을 넘게 이어온 군산시민들의 사랑으로 전국 체인망을 자랑하는 굴지의 베이커리 체인점도 이성당 근처엔 얼씬도 못한다고. 인기 메뉴.. 2009. 11. 23.
임실 17번국도-오궁리미술촌 수운정 금정리 251-1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51호 수운정(睡雲亭) 신평면사무소에서 약 1.5km 후 금정리 수운정은 경주 김씨 9대손인 김재오가 삼계면 석문에서 이곳으로 정착하여 가세가 날로 번창하였는데, 15대손 수운 김낙현이 성운, 성홍, 성철 등 아들 셋을 두어 행복한 가정을 꾸려오다 성운.. 2009. 11. 19.
진안 30번국도-백화리 배실마을 상리마을 백화리 맑은시암배실마을 http://baesil.go2vil.org 테마마을위원장 황의기 063-432-5611, 011-219-4569 배실마을은 쌍교봉 바로 남쪽 줄기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로 그 형상이 와우혈이라 하여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다. 야생화·허브테마파크가 있고 산림욕장에 온 듯한 느낌이 드는 오염되지 않.. 2009. 11. 14.
진안 30번국도-용쏘나루터 배넘실마을 토지가든 구룡리929-5 용쏘나루터 063-432-9973 청정지역 진안 용담호에서 직접 잡은 참붕어에 직접 재배한 무우시래기를 겨울철에 동태를 말리듯 군불에 삶아 말려서 진안에서 생산된 고춧가루등을 첨가해서 정성을 다해 조리하여 담백하고 구수한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주변 환경도 좋다. 붕.. 2009. 11. 14.
익산 706번지방도-성당포구마을 어촌체험마을 성당리 성당포구마을 063-862-3918, 011-689-3213 http://sungdang.go2vil.org/ 성당포구마을은 서쪽으로 금강이 위치하며 고려에서 조선 후기까지 세곡을 관장하던 성당창이 있던 곳으로 성당포(聖堂浦) 혹은 성포(聖浦)라 불리던 곳이다. 전통적인 포구마을의 역사를 그대로 담아낸 벽화와 황포돛배, .. 2009. 11. 3.
익산 웅포면-대붕암리 붕새언덕마을 대붕암리 붕새언덕마을 011-681-6670 http://bungsae.go2vil.org/ 붕새는 중국장자에 나오는 북쪽 바다에 사는 상상의 물고기 곤이 변해서 된 상상의 새다. 붕새는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마음껏 누리는 위대한 존재를 의미하며 마을이름은 붕새를 닮은 바위가 있다하여 대붕.. 2009. 11. 3.
군산 개정면-아동리 계곡가든 아동리 616 계곡가든(내고향꽃게장) 063-453-0608, 0808 www.crabland.com 금강하구둑 인근인 전형적인 농촌지역으로 산을 등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군산지역에서 많이 잡히는 싱싱한 꽃게로 만든 꽃게장 백반이다. 꽃게장은 여러가지 한약제로 숙성시켜 만든 것으로 맛이 좋고 영양가가.. 2009. 11. 3.
무주 37번국도-용포리 무주래프팅 강변가든 용포리 1191-1번지 금강스피드무주래프팅 063-322-7745 / 011-9819-0745 금강상류에 위치하며 래프팅, 서바이벌, 등산, 낚시를 즐길 수 있고, 3000여평 대지 위에 200명이 숙식할 수 있다. 용포리 1187-15번지 강변가든 063-322-9442 금강상류에서 잡은 민물고기 매운탕 외에 자연산 미꾸라지로 끓인 추어탕.. 2009. 10.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