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군사 안보/해군165

해병1사단 군사경찰 경호 99부대 ㅁ 해병대1사단 / 군사경찰 경호ㅇ 해병대가 18일 포항경주공항에서 민·관·군·경·소방 합동훈련으로 대테러작전 임무 수행능력을 대폭 끌어올렸다.‘을지 자유의 방패(UFS·Ulchi Freedom Shield)’ 연습의 하나로 전개된 훈련에는 해병1사단과 경북 포항 지역 통합방위작전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국가정보원·한국공항공사 등이 참가해 작전·임무 수행능력을 숙달했다.훈련은 다중이용 시설인 포항경주공항에 폭발물이 설치된 상황을 가정해 문을 열었다. 공항 근무자는 폭발물 의심 물체를 발견하자마자 신고했다. 상황을 접수한 해병1사단은 대테러·화생방 요원들을 긴급 출동시켰다. 현장에 도착한 화생방 요원들은 폭발물·화생방 물질을 탐지한 뒤 안전하고 신속하게 회수·처리했다. 대테러 요원들은 건물 내외부 수색 정찰.. 2020. 10. 30.
해군 1함대 UDT/SEAL 3특전대대 ㅁ 1함대 / 제3특수전대대 / UDT/SEAL ㅇ 독도방어훈련인 ‘동해 영토수호훈련’독도방어훈련에는 해군과 해경 함정 및 항공기를 비롯한 공군 전력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독도 상륙 훈련은 포함되지 않아 상륙부대인 해병대는 참가하지 않았다. 군과 해경은 1986년부터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정례적으로 독도방어훈련을 하고 있다.통상 한국형 구축함(3200t급) 등 해군과 해경 함정, P-3C 해상초계기, F-15K 전투기 등이 참가한다. 앞서 일본 방위성은 이번 훈련과 관련해 주일 한국대사관 무관을 불러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 출처 : 국방신문 2021.6ㅇ 1함대 3특전대대(UDT/SEAL)는 함대 사격장에서 적 특수전부대 완전 격멸을 위한 전투사격훈련을 실시했다.이번 훈련은 북한의 6차 핵실.. 2020. 10. 23.
해병2사단 2상륙돌격장갑차대대 상륙돌격장갑차(KAAV) ㅁ 해병2사단본부(김포) / 제1해병여단(선봉/김포), 제5해병여단(상승/강화), 제8해병여단(백호/강화) / 제1, 5, 22포병대대 / 제2정보통신대대 / 제2공병대대 / 2상륙돌격장갑차대대 / 제2수색대대 / 제2 전차대대 / 제2군수대대 / 교동부대 해병2사단의 전력과 육군 3개사단의 전력이 동급으로 김포의 해병2사단은 북의 전열을 분산시키는 중요요소이다. 북의 서해안에는 방어선이 촘촘한데 전시에 해병2사단의 상륙을 감안한 경계이다.ㅁ 상장대대ㅇ 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자동화 무기체계인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를 최초로 전력화.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 사업은 해병대 상륙작전 및 육상작전 간 기존 유인 포탑체계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원거리 탐지 및 원격 사격의 자동화를 통.. 2020. 10. 15.
해병9여단 백룡부대 신속대응대대 해병9여단91해병대대 대정읍 예비군훈련 92해병대대 93해병대대 신속대응대대해병대사령부는 옛 제방사 연병장에서 제주도 방어 임무를 수행할 해병대 9여단 창설식을 열었다.5백여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해병대 9여단은 제주도와 부속도서를 방어하고 국지도발 대비작전과 통합장위작전 등을 수행한다. 또한, 신형 제독차량을 추가보충, 화학테러에 대비한 화생방신속대응팀도 운용할 예정이다.제주에서 창설하고 제주에 주둔하는 독립해병여단으로 예전의 제주방어사령부의 허약한 전력이 아니라 정식 전투부대로써 제주와 부속도서를 방어하고 군항 및 예비군관리를 한다.1950.12 해군제주기지창설1962.10 육해공 해병대 통합사령부창설1974.1 제6해역사령부찰설-해병대장성이 지휘하는 육상 및 해상 동시방어 임무수행1986.2 제주방어.. 2020. 7. 17.
북파공작대 / 마니산 까치부대 MIU 해병 북파특수 공작대 MIU -김일성암살을 위해 68년11월에 창설-해병대에서 운영했던 첩보부대로 74년 UDU로 흡수통합됨 -MIU(마니산 까치부대)가 대북침투팀 1990년도 이후에는 북파공작원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전과자들이 아니고 신원조회가 상당히 철저하게 이루어 진다. 강화도에 존재했던 MIU부대(일명 ‘까치’부대)는 육, 해, 공 어느 곳을 막론하고 즉각 침투해 임무를 완수하는 ‘살아서 돌아올 수 없는’ 대한민국 최고의 전천후 부대로 알려져있다. 까치부대가 주둔하던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 부근 일대는 현재 울창한 수목으로 뒤덮혀 있지만 부대의 흔적들은 지금도 찾아 볼 수 있다. 내무실이 있던 축대, 탄약고, 하강 훈련장의 로프매던 지주대, 유격장이었던 암벽교장이 과거의 .. 2020. 5. 1.
해병6여단 흑룡부대 수색중대 해병대 6여단 / 흑룡부대백령도에 주둔하며 65대대가 대청도 소청도를 방어한다. 해병대 연평부대 / 공룡연대급으로 연평도 및 우도등 주변도서 경비 및 방어 임무백령도는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으로 백령도는 해병대의 섬이다. 연락선이 닻을 내린 용기포구에서 접하는 군인은 대부분 팔각모를 쓴 해병대원이다. 백령도는 한국보다 북한에서 훨씬 가깝다. 백령도에서는 북쪽 장산곶에서 남쪽 해주만에 이르는 북한땅이 지척에 보인다.백령도에서 북한해안까지는 12km 정도, 가장 가까운 북한섬 월례도까지는 8km에 불과하다. 하지만 인천항까지는 직선거리로 191.4km, 뱃길로 228km에 이른다. 북한의 치마폭에 파묻힐 듯 떠있는 섬이 백령도다. ■공기부양정잡는 유도무기 '비궁'2021.1.5 비사격훈련중에 오발 사고가.. 2019. 2. 21.
해병2사단 해병청룡부대 제2수색대대 해병2사단 / 청룡부대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2nd Division. ㅇ제1연대 선봉부대 / 제5연대 상승부대 / 제8연대 백호부대 / 제2헌병대 / 제2수색대대 김포와 인천 서구에 걸쳐 있으며 예하부대는 김포 강화일원에 주둔하고 경기서부지역 한강하구 경계를 맡고 있다. 1사단은 주특기부대가 있으나 2사단은 경계가 주임무이기에 주특기편성이 없다. 2007. 수색중대에서 수색대대로 증편 2020.7 연미정인근의 배수로를 통해 탈북자 월북 월남 파병된 2여단(청룡부대)이 귀국하면서 김포에 주둔하게 되었으며 사단으로 증편되었다. 육군과는 달리 해병대 수색병은 일반계열이 아닌 별도의 수색계열로 모집하며, 안경착용자는 지원할 수 없다. 수색계열에 합격하여 2주간의 기초수색과정을 .. 2019. 2. 18.
해병1사단 해룡부대 1수색대대 해병대 제1사단 / 해룡부대  해병1사단 예하에 3개의 보병여단이 있으며 공정대대 기습대대 유격대대로 편제되어 있다. ㅁ 1수색대대  1949.4.15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초대사령관-간도특설대 창설멤버 신현준)1950.9.1 전국의 대대를 통합하여 제1연대창설1952.10.1 제1전투단으로 재편1955.1.15 제1사단으로 승격1958.4.15 1상륙사단으로 개편되었고 지원제로 선발1959.2.26 제1연대를 제1임시여단으로 편성하여 김포에 주둔하고 포항으로 부대이전 개시1965. 제2해병연대를 증편하여 청룡부대를 편성하고 월남파병1973. 사령부폐지되고 해군제1해병상륙사단으로 변경1987. 전두환정권때 사령부를 재창설하고 '해병대 제1사단'으로 명명 우리나라의 단일부대로는 제일 큰 해병1사단은 적.. 2019. 2. 15.
해작사 특수전전단 UDT/SEAL 해군작전사령부 직할 특수전전단 2012.2.1일로 특수전여단에서 특수전전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진해에 주력부대가 주둔하며 구호는 "불가능은 없다!" (Nothing Is Impossible!). 1993년도 해상대터러 임무를 707특임대에서 이관받았다. *작전팀 특수전교육훈련대대 특전전대(진해1특전대대/동해3특전대대/평택5특전대대) 폭발물처리대대(전군에서 폭발물처리인원이 제일 많다.) *활동 및 역사 1954.11.9 상륙전대 해안대 수중파괴대창설 1957.5 전국의 해안부두공사를 시작하서 암초제거작업 착수 1964. 울산만 해저송유관설치때 수중 정밀정찰 1965. 해군소송전대 '백구부대'소속으로 베트남전쟁에 파병 1967. 포항제철공업단지조성시 수중탐색, 장애물제거, 항로개척 1967. 진해만 한일.. 2019. 2. 13.
제55전대 해난구조전대 Ship Salvage Unit 제55구조군수지원전대52기뢰전대 / 53상륙전대 / 33구조군수지원전대 / 59기동건설전대제55전대 해난구조전대 / Ship Salvage Unit (SSU)제5성분전단에 예속된 제55구조군수지원전대소속동해, 평택, 목포의 함대에 각각 구조작전대가 파견되어 있으며 진해에 심해잠수대, 교육훈련대, 근무지원대가 있다.SSU와 UDT/SEAL은 모두 잠수를 해 임무를 수행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주요 업무는 다르다. UDT/SEAL은 잠수를 해 적의 해안에 침투하는 특수전을 펼치는 전투부대로 수평이동이 주임무이고, SSU는 해양 사고가 발생하면 인명을 구조하고 선체를 인양하는 역할을 주로 맡는 수직이동을 한다.지원자격지원서 접수년도 기준 18세이상 28세이하로 중졸 또는 동등 이상의 학력 소지자병역.. 2019. 2. 11.
제3함대 UDT/SEAL 8구조작전중대(SSU) 3함대 Republic of Korea Navy 3rd Fleet3함대 기동훈련중 대테러훈련을 하는 UDT/SEAL 3함대, 서해서 대량살상무기 해양확산차단 훈련 실시…‘자유의 방패’ 한미연합연습 일환 자유의 방패(FS·Freedom Shield) 한미연합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훈련에는 호위함 전북함과 광주함(FFG-Ⅰ, 2500t급), 고속정(PKMR, 230t급) 등 해군 함정 3척과 해상기동헬기 UH-60 1대, 특수임무대(특임대) 장병들이 참가했으며, 3000t급 해경함 1척도 투입돼 합동작전 능력을 강화했다. 훈련은 정·첩보를 통해 WMD 확산물질 적재 의심 선박을 전북함이 레이더로 식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전북함은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을 대상으로 식별을 위한 통신 검색를 .. 2019. 2. 8.
2함대 2구조작전대 (SSU Sea Salvage & rescue Unit) 2구조작전대 (SSU Sea Salvage & rescue Unit)2015년 7월 창설된 해군 2함대 구조작전대는 해경 합동 해상 탐색·구조훈련 12회, 울도 근해 전복어선 수중탐색, 서해대교 실종자 수색지원 등 민간과 협력해 활동하고 있다.ㅇ [방위사업전략포럼 2022.3.21] 조현상 기자 = 해군 제2함대사령부는 지난 18일 실전적인 협동 항공구조훈련을 실시하여 해상 구조작전태세를 강화했다고 21일 SNS를 통해 밝혔다. 해군 2함대에 따르면 이번 협동 항공구조훈련은 국민의 해양안전을 보장하고, 622비행대대와 구조작전중대의 구조작전 능력 향상 및 조종사·구조요원 간 팀워크 향상을 위해 진행되었다. 따라서 이번 훈련은 항공구조임무를 수행하는 해난구조대원과 해상작전 헬기, 고속단정이 참가한 가운데 .. 2019. 2. 8.
2함대 5특전대대 UDT/SEAL Underwater Demolition Team ㅁ 2함대사령부모항은 인천에 있다가 인방사로 넘기고 평택항으로 이전기함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인 을지문덕함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 서울 및 인천공항방어) 헌병대대 / 5특전대대 / 2구조작전대ㅇ지역상 3개함대중 전력이 제일 강하고 군기도 쎄다.ㅇ특전대대와 구조작전대는 파견으로 함대사령관의 지시를 받는다.ㅇ제2해병사단은 인방사와 합동으로 기동대를 운영하여 해안선경비, 해상감시, 적선박상륙저지임무. ■ 5특전대대 UDT/SEAL Underwater Demolition Team유디티의 기본임무는 상륙작전 직전 또는 함선이 연안에 진입하기 전에 적이 해안에 살포해 놓은 기뢰와 각종 장애물을 은밀하게 제거하고 폭파시켜 아군이 진입할 수 있도록 통로를 개척하는 것인데 SEAL (Sea Air and Land), E.. 2019. 2. 8.
해군 1함대 UDT/SEAL 특전대대 1구조작전대 해군 1함대 Republic of Korea Navy 1st Fleet   동해시 해군기지에 주둔하며 동해상을 방어한다. 현재 광개토대왕함이 기함이다. 제1해상전투단(제11 12 13전투전대)헌병대대제3특전대대 제1구조작전대  지역함대중에 부지가 가장좁은 곳으로 항구가 좁아서 사령부와 예속부대들이 나뉘어 있다. 동해쪽에 북의 잠수함이 대량으로 있기에 대잠훈련을 많이 하고 있다. 동급함 3척 중 대잠헬리콥터 2대를 탑재 가능한 유일한 구축함인 양만춘함은 대잠전에 있어서 무시하지 못할 전력이다. 러시아의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1함대에 음탑사들이 많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해군특수전전단의 3특전대대와 해난구조대의 1구조작전대가 배치되어 있다. 1946.8.22일 조선해양경비대 '묵호기지'로 창설1949.6.. 2019. 2. 4.
해병 특수수색대(Forcerecon) 해병 특수수색대 해병대를 특수부대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해병대는 특수부대와는 거리가 멀다. 특수부대는 대부분 팀으로 소수병력을 근간으로 작전이 이루어지는 반면 해병대는 육군의 보병처럼 부대 단위로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해병대는 차라리 전략기동부대 성격이 강한 특수목적부대로 분류된다.해병대는 1948년 10월 여수ㆍ순천 반란 진압작전 당시 신현준 해군중령이 적진에 침투할 수 있는 상륙작전부대의 필요성을 느끼고 손원일 해군참모총장에게 건의 한 것이 계기가 돼 창설됐다. 이듬해 4월 15일 경남 진해 덕산비행장 격납고에서 해군 13기중 지원한 380명에게 일본군의 99식 소총과 무명천에 국방색 염색을 한 훈련복을 입히고 해병 1기를 만들었다.해병대는 이처럼 초라하게.. 2011. 11.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