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해군작전사령부 / 해군항공사령부

ㅇ해군항공사령부는 부대 창설과 동시에 해군작전사령부로부터 해상 항공 작전 통제권을 위임받았으며 해군항공사는 준장급 지휘 부대인 제6항공전단을 모체로 소장급 부대로 격상됐으며, 초대 사령관은 제6항공전단장인 이상식 준장이다.
ㅇ해군은 해상 항공 작전 임무가 광해역으로 확대되고 앞으로 항공 전력이 대폭 증강되는 것을 고려해 부대 창설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평시 미 7함대 등과 해상 초계 임무 공조를 강화하고, 전시에도 연합해상항공 작전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초대 사령관인 이상식 준장은 “빈틈없는 항공 작전 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강력한 항공사령부를 만들어 미래에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1951.4 해군 소속의 조경연 중위가 방치된 미군기를 개조해 8월에 첫 취역하였으며 진해 해군공창 내에 항공반 조직되었다.
1957.7 함대항공대 창설되었다가 미군사고문단이 시기상조라 하여 1963. 3월에 해체되었다.
1973. 5 함대항공대 재창설되었으며 10월에 해병대 항공대를 흡수
1975.12 본부를 진해에서 김해로 이전하였으며 공군의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가 해군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로 전군되어서 S-2 초계기를 비롯한 조종사·승무원·정비사가 해군으로 이전되었고, 뒤이어 제611대대로 전환창설되었다
1977.1 부대규모가 전단급으로 커짐에 따라 함대항공단으로 승격되었고 해군의 첫 함정 탑재 헬기인 알루에트-III를 도입했으며 1978.7월에 포항 해병1사단 내로 이전
1986.2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6항공전단으로 개편되었고 1995년 P-3C, 2010년 P-3CK, 2016년 AW159가 도입되었다.
2022.7.15일 항공사령부로 승격되었다.

항공사령부가
저 넓은 창공 향해 힘껏 나르는 / 은빛 날개 그 모습은 해군의 선봉
조국 바다 수호 위해 이 생명 바쳐 / 오늘도 필승의 길 다져나가니
아아 힘찬 기백 해군 항공사령부 / 아아 승리의 길 해군 항공사령부
저 넓은 바다 위해 맹세하나니 / 떠오르는 태양처럼 피 끓는 젊음
거친 파도 움켜 차는 독수리 되어 / 내일은 조국통일 완수하리라
아아 힘찬 기백 해군 항공사령부 / 아아 승리의 길 해군 항공사령부
ㅇ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 해상작전헬기 MH-60R 시호크, 소해헬기(기뢰 탐색·제거 헬기), 함정 탑재 정찰용 무인기(UAV) 등이 새로 도입되면 이 부대에서 운용한다.

ㅇ61해상항공전대 / 해상초계기운용
611비행대대(포항, P-3) / 613비행대대(포항, P-3) / 615비행대대(제주, P-3) / 617비행대대(포항, P-8)


포세이돈은 AN/APY-10 레이더(최대탐지거리 800㎞)를 갖췄고, 최고속도 907㎞/h, 순항거리 7천500㎞, 작전반경 2천200여㎞에 하푼 미사일과 어뢰 등으로 무장한다. 민항기인 보잉 737을 개조해 제작됐다.

ㅇ62해상항공전대 / 진해
함대 및 도서지역에 배치되어 있다.
620기지대대(진해) / 622비행대대(평택, AW-159) / 625정비대대(진해) / 627비행대대(진해, LYNX) / 629비행대대(진해, LYNX) / 1함대항공대(울릉도, 양양) / 3함대항공대(제주)

2025년까지 12대를 도입하는 시호크는 길이 19.7m, 높이 5.1m, 기폭 3.3m로 최대속도는 150kts다. 어뢰와 공대함유도탄 등으로 무장하고, 적 잠수함 탐색용 디핑소나 및 소노부이를 탑재한다. 한 번 이륙 시 4시간가량 작전할 수 있다.

ㅇ63해상항공전대 / UH-60P와 CARV-II를 운용하는 비행전대
2020. 2월부로 63해상기동헬기전대(구 제63상륙기동헬기전대)에서 해상항공혼성전대로 부대명을 바꾸고 637비행대와 639비행대를 창설했으며, 7월 15일 항공사령부 창설을 기해 61,62전대와 함께 명칭이 해상항공전대로 변경되었다.
주된 임무는 해군 내 자체적인 항공수송과 특수전 임무 지원, 육상 - 함정 간 항공수송과 VIP수송 등이 있다. 과거에는 해병대의 상륙작전을 위한 항공수송이 주 임무 중 하나였으나 해병대 항공단의 창설로 해당 임무는 해병대로 이관되었다. 해군은 항공소해작전을 63전대의 임무로 편입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미국에서 개발 중인 ALMDS(기뢰탐색장치)와 AMNS-AF(기뢰무력화체계)의 개발이 완료되거나 MH-53E 같은 고가의 대형 소해헬리콥터의 도입 없이는 자체적으로 항공소해작전능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631비행대대(포항, UH-60) / 상륙, 구조, 탐색, 화물 수송 등 할 수 있는 모든 임무를 하는 부대이다. 舊 203대대(1980.8.1.), 623대대(1986.)
633비행대대(논산, UH-60) /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의 지휘헬리콥터의 운용을 맡고 있다. 해군본부가 있는 계룡대의 위치를 고려하여 부대는 육군 60항공대와 함께 논산에 있다.
637비행대(진해, S-100) / 639비행대(포항, CARV-II)
ㅇ 65군수전대 / 포항
651정비대대 / 653정비대대 / 655정비대대 / 보급지원대대 / 무기지원대
ㅇ66기지방호전대 / 포항 / 구. 66기지전대
공병대대 / 군사경찰대대 / 근무지원대 / 운항관제대 / 의무대 / 화생방지원대

ㅇ609교육훈련전대 / 3함대 내 구 목포공항

해군 항공직별 교육부대로 항공병과의 장교, 부사관과 항공병의 보수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1비행교육대대 / 목포 / UH-1H와 LYNX.
해군 회전익 조종사 육성을 위한 부대로 회전익 교육과정을 맡고 있다.
2비행교육대대 / 포항 /
해군 고정익 조종사 육성을 위한 부대로 입문과정, 기본과정은 공군에 위탁, 고등과정은 포항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다. CARV-II 조종사의 교육은 무안국제공항의 무안파견대에서 담당하고 있다.
해상생환훈련대 / 포항 대진리 /
6전단 내에 위치하였으나, 2015년 여름을 기준으로 포항 해안가로 부대이전을 하였다. 부대이전을 하면서 훈련설비를 추가하게 되었는데, 모형동체 훈련장비를 고정익과 회전익으로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음향설비와 환경 재현 장비를 도입하여 실전에 준하는 상황을 연출, 훈련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해군작전사령부 해작사 신선대
'상비필승' ■ 해군작전사령부/ 해작사/ 신선대/ 용호동 해군기지 ㅇ직할전단 : 5기뢰/상륙전단, 7기동전단, 8전투훈련단, 특수전전단UDT/SEAL, 해양정보단 ㅇ예하부대 : 1함대(동해), 2함대(평택), 3
choogal.tistory.com
'군사 안보 > 해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난구조전대 / SSU 해난구조교육훈련대대 (1) | 2023.08.19 |
---|---|
해병9여단 직할대 군사경찰 (0) | 2023.08.07 |
해작사 / 8전투훈련단 (0) | 2023.08.01 |
연평부대 우도경비대 (0) | 2023.07.31 |
해병2사단 2수색대대 청룡수색대 (1)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