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대전광역시

대전 중앙시장 자유도매시장

by 구석구석 2022. 5. 25.
728x90

대전 중앙시장

대전 원도심에서 가장 흥미로운 곳이 대전 중앙시장이다. 중앙시장은 경부선이 개통되고 대전역이 만들어지면서 형성된 110년 내력의 유서 깊은 시장. 역사도 오래됐지만 접근성도 좋고, 규모도 입이 딱 벌어질 만큼 크다.

시장에는 이름난 먹거리도 많다. 대전 동구청이 따로 관광객을 모아 ‘중앙시장 분식 투어’를 진행하고 있을 정도다. 시장에는 잡채호떡과 옛날만두를 비롯해 인삼튀김, 막걸리빵, 풀빵, 보리밥, 칼국수 등으로 이름난 맛집들이 즐비하다.

중앙시장 먹거리골목

대전 중앙시장에는 관광 두레 기업 ‘수연가(手連家)’가 있다. ‘손 수(手)’에 ‘연결할 연(連)’ 자를 썼다. 수연가는 퀼트 공예 공방이다. 대전 중앙시장은 중앙도매시장과 신 중앙시장, 철도시장 등이 합쳐진 그야말로 매머드급 시장이다.

철도가 교통의 중심이던 시절에 크게 번성했다. 그때 호황을 누렸던 곳이 한복을 짓거나 이불이나 예단을 하는 주단 집이었다. 아직도 중앙시장에는 주단 집이 200여 개에 달한다.

수연가는 퀼트공예 상품을 내는 사업으로 관광 두레 기업이 됐다. 한복 집에서 나오는 천 조각을 모아서 지역주민들이 퀼트 공예품을 만든다. 그냥 두면 쓰레기가 돼서 상인들이 버리는 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천 조각을 가져다가 훌륭한 공예품으로 탄생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미경(52) 수연가 대표는 중앙시장에서 2008년 퀼트 공예 가게를 내고 제품 생산과 강습을 겸하다가, 시장에서 버려지는 한복 천을 보고 사업에 착안했다.

퀼트 공예란 본래 버려지는 것들을 재활용하는 업사이클링의 개념으로 시작된 것인데 국내에서는 최고급 수입천을 사다가 만드는 고급제품으로 변질해가고 있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우리나라 천은 버려져도 안 줍는데, 영국산 천 조각은 비싼 돈을 주고 산다는 얘기다. 그래서 그가 버려지는 천으로 만드는 퀼트공예는 퀼트를 본래의 의미로 되돌리는 일이기도 하다.

관광기업으로서 수연가의 꿈은 실은 퀼트 공예 너머에 있다. 이 대표가 진짜 하고 싶어 하는 건 ‘중앙시장 여행프로그램’이다. 시장 안에는 시장 사람들만 아는 가게와 사연이 있다. 아직도 중앙시장에는 1000원짜리 선짓국이 있고 곤달걀을 파는 집도 있다.

어머니가 하는 허름한 옷가게 안에다 ‘숍인 숍’으로 딸이 차린 커피숍이 명소가 된 사연도 있고, 내로라하는 이북식 만두 집의 전설처럼 전해지는 맛 얘기도 있다. 이 대표는 “대전을 찾는 여행자들과 시장을 함께 다니며 사람 냄새나는 그런 얘기를 해주고 싶다”고 했다.

 

화재 극복한 자유도매시장

대전 중앙시장 안에 있는 '자유도매시장'은 40년의 세월을 말해주듯 외관은 낡은 3층 자리 건물이지만 어르신들에겐 '핫플레이스'다.

중앙시장내 자유도매시장

백화점과 대형마트,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으로 소매보다 가격이 저렴한 '도매시장'이라는 강점은 없어졌지만, 어르신들의 공간인 '콜라텍'이 들어서면서 이제는 자유도매시장보다, 제일 콜라텍으로 유명하다.

728x90

한때 술 대신 음료수를 팔며 미성년자들의 춤의 공간이었던 콜라텍은 세월을 거치면서 어느덧 어르신들의 공간이 됐다.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문을 닫을 때도 많지만 7·80대 노년층이 스포츠댄스와 같은 운동을 하는 곳이 됐다. 입장료는 평일은 500원, 주말과 공휴일은 1000원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다.

자유도매시장은 지난 1978년 발생한 화재로 터전을 잃은 상인들이 갹출 해 지은 건물이다. 원래 1층 건물에 20~30개 상가가 있었는데, 새로 건물을 지으면서 3층 규모에 50개 점포가 들어섰다. 1층은 중장년층의 숙녀복, 2층은 그릇 도매시장 3층은 콜라텍이 있다.

2층엔 원래 여러 그릇도매업체가 있었지만 하나둘씩 나가 지금은 하나의 업체만 사용 중이다. 그릇은 서울 공장과 대리점에서 매입하는데 일반 그릇, 혼수 그릇, 식당용 그릇 등 다양한 그릇을 판다.

그릇 매장 옆에는 맞춤옷가게와 꽃수, 침구 가게도 있다. 기성복이 흔한 요즘 누가 승복을 맞출까 싶어서 여쭤봤더니 한복, 무당 옷, 승복을 주로 제작한다고 한다. 이름도 생소한 '꽃수'는 찢어진 옷에 꽃으로 수를 놓아 예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 재봉틀 옆으로 화려하게 꽃이 수놓아진 옷이 아름답다. 1층으로 내려가니 옷을 고르러 온 중장년층 여성들이 보인다.

손님과 주인이 서로 '언니'라고 부르며 친근하게 이야기하고 친한 손님에겐 저렴하게 팔기도 한다. 이곳에 쇼핑하러 충청도 여러 지역에서 온다. 금산에서 소개를 받아 자유도매시장 수선집을 찾은 김지훈씨는 "옷을 다양하게 볼 수 있고 생활필수품도 팔아 가끔 온다"라며 "공주, 옥천, 논산 등 충청도 곳곳에서 이곳을 찾는다"라고 말했다.

중앙시장 안에 있어 쇼핑하기도 쉽다. 부모님으로부터 가게를 물려받아 그릇가게를 하는 지창현씨는 "이곳은 중앙시장과 연결돼 있고 여러 물품을 한 번에 고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라고 했다.

/ 출처 - 중도일보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 - [골목시장을 걷다] 화재 극복한 '자유도매시장' (joongdo.co.kr)

 

[골목시장을 걷다] 화재 극복한 '자유도매시장'

대전중앙시장 만남의 장소 '제일콜라텍' 78년도 화재 후 상인들 '십시일반' 상가 올려 대전 중앙시장 안에 있는 '자유도매시장'은 40년의 세월을 말해주듯 외관은..

www.joongdo.co.kr

대전 원동 구제골목 헌책방골목 공구거리 (tistory.com)

 

대전 원동 구제골목 헌책방골목 공구거리

대전 구제골목‘대전역’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중앙시장과 으능정이 거리를 머릿속에 그린다. 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구제골목이 동구 대전역에서 원동사거리에 있다.이곳 40여개의 구제 상

choogal.tistory.com

 

 

728x90

'방방곡곡 > 대전광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팔경  (1) 2022.09.27
대전 현충원  (1) 2022.08.18
대전 대덕사이언스길  (0) 2020.11.12
대전 원동 구제골목 헌책방골목 공구거리  (0) 2020.11.12
대전 중구-으능정이문화거리 스카이로드  (0) 201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