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덕동과 황룡동에 걸쳐 있는 동대봉산(東大封山·680m)은 겨울 산행에 제격이다. 산이 높지 않고 능선도 순해 체력적인 부담이 덜하다. 동대봉산은 동쪽 골짜기에 황룡사(黃龍寺)라는 절이 있어 황룡산이라고도 불린다. 조선시대 수군이 군함을 만들 때 사용하던 목재용 나무를 키우던 산으로, 입산이 금지된 봉산(封山)이라 불린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옛날에는 당당한 소나무들로 숲이 우거졌으나 잦은 산불로 지금은 잡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멧부리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고만고만한 봉우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 동대봉산은 경주와 포항의 경계에 있는 무장봉(624m)과 연계한 산행을 주로 한다. 하지만 '산&산'은 동대봉산에 올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능선을 타고 내려와 덕동호숫가를 트레킹 할 수 있도록 코스를 만들었다. 구체적 산행 코스는 황룡사 휴게소~황룡동 노인회관~능선 삼거리~동대봉산~삼거리 갈림길~민가~명실교~덕골농장~덕동경로당~덕동교 순이다. 모두 16㎞ 구간으로 5시간 30분가량 소요됐다. 구간이 다소 길지만 산행 후반부는 호수 주변을 따라 평탄한 길을 걷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속도를 낼 수 있다. 부산일보
출발은 경주 시외로 빠지는 4번 국도변의 황룡사 휴게소다. 큰 바위 입석이 서 있어 찾기가 어렵지 않다. 마을을 가로지르는 좁은 포장길을 따라 100m가량 파고들면 산에서 내려오는 작은 개울이 가로막아 선다. 초입을 어디서 잡아야 할지 난감하다. 근처에 있는 황룡동 노인회관에 들러 마을 어르신들께 길을 물었다. 개울을 건너지 말고 왼쪽으로 꺾어 산 사면에 붙어야 한다고 한다.
길손을 맞는 어르신들은 무척이나 친절하다. 길만 가르쳐 준 것이 아니라 동대봉산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까지 들려줬다.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듣고서야 동대봉산의 산불이 잦았던 이유를 알게 됐다. 옛날 관청에서 관리를 보내 산을 감시하고 도벌을 단속했는데 그 권력을 이용한 민폐가 대단히 심했다고 한다. 취사나 난방을 나무에만 의존하던 당시로서는 나무가 생활필수품이니 누구를 막론하고 단속의 대상이 안 될 수 없었다. 몰래 나무를 베다 잡히면 매타작을 당하곤 했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지역 주민들이 화풀이로 동대봉산에 방화를 일삼았다는 것이다.
동네 어르신들은 동대봉산 산불과 관련된 노래까지 한 소절 가르쳐 줬다. '불 붙었네 불 붙었네 동대봉산 불 붙었네. 동대봉산 붙은 불은 동해물로 끄려마는, 요 내 가슴 붙은 불은 어느 님이 꺼 줄런고.'
노인회관을 뒤로 하고 산비탈을 개간해 만든 밭을 지나 오르막 사면에 붙는다. 마을을 벗어나 150m 정도 올라가면 길이 둘로 갈린다. 왼쪽 길은 작은 계곡을 건너 무덤으로 이어지고, 오른쪽은 오르막 직진 길이다. 오른쪽 길을 잡아 20~30m 더 올라가다 임도를 버리고 왼쪽의 오솔길로 접어들어 지능선을 타고 올라간다.
지능선은 유순하고 완만하지만 가끔 잡목들 때문에 길이 희미해진다. 게다가 낙엽이 너무 많이 쌓여 디딤발에 힘을 싣기가 힘들다. 새로 쌓인 낙엽은 윤이 날 정도로 반질거리고 눈길을 걷는 듯 미끌거린다. 오르막이라 속도는 떨어지고 힘이 부친다. 김녕 김씨 묘와 경주 최씨 묘를 지나쳐 능선 삼거리까지 30분 소요.
능선 삼거리에서 동대봉산 정상까지는 다소 완만한 오르막이다. 나뭇잎 떨어진 성긴 숲 사이로 덕동호수가 감질나게 보이지만 탁 트이는 전망은 좀체 나오지 않는다.
바짝 말라버린 억새밭을 지나쳐 20분 정도 걷다보니 동대봉산 정상이다. 정상은 초라하다. 무덤이 하나 덩그러니 누워 있을 뿐 그 흔한 정상석도 하나 없다. '해발 680m'라고 적힌 말뚝만 박혀 있을 뿐이다. 조망도 숲에 가려 볼품이 없다.
산행 시작 때부터 잔뜩 찌푸려 있던 하늘에서 눈이 쏟아지기 시작한다. 눈송이가 제법 큰 함박눈이다. 하산을 서두른다. 눈은 이내 얇은 모포를 깐 듯 등산로를 덮었다. 올라올 때는 미끄러운 낙엽 때문에 고생했는데, 내려갈 때는 눈 때문에 길이 미끌거린다.
내리막을 내려가다 보면 갈림길 두 개를 연속으로 만난다. 모두 왼쪽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 덕동호수 방면으로 길을 잡는다. 두 번째 갈림길에서 5분가량 완만한 내리막을 따라 내려오면 임도처럼 넓은 길은 만난다.
다시 10여 분 하산하다 보면 임도가 차량이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갑자기 넓어진다. 길 가운데는 공사를 위해 쌓아 둔 청석 자갈 네 무더기가 있다. 이 지점에서 당혹스러운 경험을 하게 된다. 등산길이 임도 공사로 인해 없어져 버렸다. 산꾼들이 달아놓은 산행 안내리본들도 공사 통에 모두 사라졌다. 임도를 따라 계속 하산하면 엉뚱한 곳으로 가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 임도를 이탈해 왼쪽으로 꺾어 산비탈을 타고 내려간다. 약초꾼들이나 다녔을 법한 산길이 희미해 찾기가 쉽지 않다. 리본을 잘 보고 전진한다.
임도를 이탈한 후 4분가량 내려가면 김녕 김씨 묘를 지나 계곡에 합류한다. 잠시 계곡을 따라 내려가다가 계곡 왼쪽의 등산로에 올라선다. 계곡을 따라 난 등산로는 폭이 좁고 비탈져 걷기 쉽지 않다. 그렇잖아도 희미한 등산로에 눈이 쌓여 길 찾기가 성가시다.
위태로운 등산로를 따라 20분쯤 내려오면 야트막한 언덕이 막아서고 길은 둘로 나뉜다. 계곡을 따라 가는 등산로를 버리고 왼쪽 길을 잡는다. 이 산길은 이내 명실마을까지 이어지는 임도와 연결된다.
임도를 따라 민가를 하나 지나 명실교를 만나면 건너지 말고 'V'자 형태로 꺾어 덕동호숫가를 따라 걷는다. 여기서부터 5~6㎞구간은 산행이라기보다 트레킹 개념이다. 아름다운 덕동호수 변을 따라 난 평탄하고 좋은 길을 속도를 내 걷는다.
1975년 덕동댐을 쌓아 만든 덕동호수는 그 경치가 볼 만하다. 산기슭마다 파고든 호숫가를 따라 길은 구불구불 들어가고 나가기를 반복한다. 흰색 시멘트 길과 푸른 물색의 조화가 절묘하다. 골짝 골짝 물이 차 있는 덕동호수를 끼고 덕골농장과 덕동경로당을 지나 종점인 덕동교까지는 1시간 10분 거리다. 덕동교에서 들머리인 황룡사 휴게소까지는 1.5㎞ 거리다. 차량을 회수하려면 4번 국도를 1.5㎞를 더 걸어야 한다.
[라이프레저부 051-461-4164. 최찬락답사대장 010-3740-9323. 글·사진=박진국 기자]
경주 무장산.
다들 그렇게 불렀지만, 실은 무장산이 아니라 동대봉산의 정상 무장봉(624m)을 말한다. 처음 산 이름을 듣고는 ‘전투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다’라는 뜻의 ‘무장(武裝)’일 거라 짐작했다.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 수도의 산에다 붙인 이름으로는 제격이란 생각까지 했다. 하지만 무장봉 정상 표지석을 찬찬히 보니 웬걸, 이름이 품은 뜻은 정반대다. 무장(鍪藏). ‘투구 무(鍪)’에 ‘감출 장(藏)’ 자를 쓴다. ‘투구를 감추다’라는 의미다. 왜 이런 이름이 지어졌을까. 그 이유가 삼국유사에 나온다. 삼국통일 후 태종무열왕 김춘추가 평화의 시대를 기원하며 쇠붙이 무기를 모조리 무장봉 아래 골짜기에다 숨겼다는 얘기다. 지명이 드러내는 역사다. 창을 두들겨 보습을 만들고, 칼을 녹여 낫을 만드는 일. 그건 오랜 전쟁이 끝나고 평화의 시대가 왔음에 대한 선포다.
무장봉 들머리는 하나지만 오르는 길은 두 개다. 하나는 계곡을 끼고 이어지는, 길지만 완만한 길. 다른 하나는 능선을 타고 가는, 짧지만 경사가 가파른 길이다. 완만한 계곡 코스는 5.3㎞, 가파른 능선 코스는 3.1㎞다. 두 길은 무장봉 정상에서 만난다. 그러니 무장봉은 원점 회귀코스다. 어느 쪽 길로 먼저 오르든지 상관없다. ‘완만형’ 탐방로를 택하느냐 ‘경사형’ 탐방로를 택하느냐는 순서의 문제일 뿐이다.
완만형 탐방로, 그러니까 계곡코스로 가다 보면 딱 중간쯤에 무장사지가 있다. 통일신라 때 지어져 조선 중종 때까지 있었다던 절집 무장사의 빈터다. 절터에는 보물로 지정된, 제법 기품 있는 석탑 한 기와 사적비가 있다. 자그마치 1200년의 시간을 건너온 것들이다.
들머리와 날머리 근처에 마땅한 식당이 없다.
허기를 면하려면 경주 시내까지 나와야 한다. 경주시 도지동 156의 2에 자리 잡은 '고두반'(054-748-7489)은 독특한 한정식 메뉴로 손님들을 끌고 있다. 구운 소금으로 담근 전통장을 넣고 끓여낸 감자옹심이 된장찌개와 우리 콩으로 만든 다시마 손두부가 올라오는 랑산밥상(1인 1만원)은 가격 대비 최고의 맛을 제공한다. 가자미식해와 다시마 손두부, 돼지고기 수육 등으로 구성된 두부삼합(4인 기준 2만5천원)도 별미다.
경주 무장봉 억새평원
경주 무장봉 (鍪藏峰, 624m) [힐링&트레킹] 44. 경주 무장봉(鍪藏峰)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 (kyongbuk.co.kr) 무장봉 정상까지 가는 코스는 암곡지원센터에서 출발하여 계곡을 따라 오르는 코스(5.4k
choogal.tistory.com
'방방곡곡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백산자락길 1자락길 영주선비촌~삼가주차장 (0) | 2014.04.28 |
---|---|
청도 금천면-평기리 대왕산 (0) | 2014.04.27 |
문경 완장리 용추계곡~둔덕산 (0) | 2014.04.26 |
성주 수륜리 윤동마을 한옥체험 세종대왕자태실 (0) | 2014.04.25 |
영천 화산리 가상리 별별미술마을 (0) | 201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