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충청남도

서산 649번지방도-창리 도비산 부석사 간월도

by 구석구석 2007. 11. 22.
728x90

 서울에서 경부고속도로~신갈분기점(우회전, 안산 방면 진행)~반월I.C~서해안고속도로로 질러가는 일차선 도로(평택·비봉·매송 이정표를 보고 진입)~서해안고속도로 당진I.C까지 간 후 좌회전하여 32번 국도를 타고 서산까지 간다. 서산 시내를 지나 얼마 가지 않으면 649번 지방도로로 갈라지는 삼거리가 나오는데, 이 삼거리에서 '부석' 이정표를 따라 649번 지방도로로 좌회전하여 계속 649번 지방도로를 타고 가다 나오는 창리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40번 지방도로로 바꿔 타면 된다. 간월도는 여기서 계속 직진, 천수만 간척 방조제를 지난 후, 서산 A지구 방조제 못미처 간월도 이정표가 보이는 곳에서 우회전해 들어가면 된다. 또 중간 경유지로 덕산온천, 수덕사, 해미읍성 등을 거쳐가려면 서울~천안~예산~덕산(45번 국도)~해미(29번 국도~32번 국도~649번 지방도)~부석~간월도로 가는 방법을 택해도 된다.

 

충남 서산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도비산은 해발 352m의 야트막한 산이다. 하지만 사방으로 벌판이 시원하게 펼쳐져 정상에서 보면 세상이 모두 발 아래 있는 듯한 기분이다. 도비산에는 또 천년고찰 부석사가 있다. 한국 최고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품고 있는 영주 부석사와 이름도 창건 설화도 똑같다. 어느쪽이 진짜일까를 따지는 것보다 같은 설화를 품고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

 

서산 시내에서 649번 지방도로로 갈아타고 약 10㎞쯤 가면 왼쪽으로 짙은 수림을 이고 선 작은 산이 보인다. 강원도 심심산골의 해발 1000m 고봉과 비교하면 작은 구릉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아담하다. 천지가 개벽할 때 섬이 날아와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 도비산(島飛山). 그래도 제법 수풀은 울창하다. 논을 가로지른 농로 끝에서 시작되는 숲은 아름드리 느티나무를 비롯해 기기묘묘하게 몸을 비튼 소나무 등이 운치를 더한다. 성급한 놈은 벌써 가을옷으로 갈아입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산을 오르려면 약 7부 능선에 들어선 부석사를 지나야 한다. 산행은 오른쪽 석탑 뒤로 작은 길에서 시작된다. 경사가 제법 가파르다. 하지만 15분 정도 가쁜 숨을 고르다 보면 어설프게 만든 정자가 반긴다. 더 이상 오를 곳이 없는 정상이다. 산행이라기보다 산보에 가깝다.

정자에 걸터앉아 바닷가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땀을 식히는 사이 눈 앞은 장관이 펼쳐진다. 서산 간척지와 그 사이 거대한 인공호수가 시야를 가득 메운다. 하필 궂은 날씨로 인해 낮게 드리운 먹구름 때문에 한계가 있었지만 이것만으로도 복잡한 도시생활로 찌든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한 기분이다. 작은 산이라 얕봤던 경솔함이 부끄럽다.

도비산의 울창한 숲은 부석사 뒤뜰에서 절정을 이룬다. 본전인 극락전을 끼고 산신각 쪽으로 돌아들면 수백년은 됨직한 고목들이 사열하듯 서 있다. 절집의 규모와는 어울리지 않을 만큼 웅장한 풍경은 별천지를 연상케한다. 한창 가을 옷으로 갈아입고 있는 고목 사이에는 작은 벤치들이 들어서 분위기를 한층 돋운다.
 
부석사는 또 서산에서 유일하게 템플스테이를 하는 절답게 엄숙함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우선 일주문 구실을 하는 입구에는 사자상을 앉혀 놓았다. 중국풍이다. 문 이름도 사자문이다. 그리고 극락전 앞에는 소원지를 비는 작은 목조건물을 만들어놓았다.

이는 일본식이다. 한·중·일의 분위기를 모두 합해놓은 퓨전 절인 셈이다. 사람들이 좋아하고, 부처님을 모시는 마음만 같다면 풍속이나 양식은 큰 의미가 없다는 부석사 주지 주경스님의 철학이 담긴 것들이다.
 
서산 부석사는 영주 부석사와 비슷한 창건 설화를 갖고 있다. 의상대사가 중국에서 공부할 때 그를 연모하던 "선묘"라는 낭자가 있었다. 의상이 공부를 마치고 귀국길에 오르자 뒤늦게 이 소식을 들은 선묘는 발만 동동 구르다 바다에 몸을 던져 용으로 변신해 의상이 무사히 귀국할 수 있도록 했다는 애틋한 내용이다.
 
의상은 도비산에 절을 지어 선묘의 애절함을 위로하려 했으나 마을 사람들이 반대했고, 거의 완성될 즈음 이를 부숴버리기 위해 불을 지르려 했다. 이 때 갑자기 검고 큰 바위가 날아오더니 "너희들이 절 짓는 것을 방해하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호통을 쳤다. 의상은 그 덕에 무사히 절을 완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의상은 선묘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용에 이어 돌로 변신했다고 판단, 애뜻한 마음이 더했다고 한다.
 
그 돌은 절에서 잘 보이는 서해 앞바다로 날아가 절을 지키고 있다. 바위는 만조 때 물에 잠겼다가 물이 빠지면 보여 "검은 여"라 불렸고, 절 이름도 부석사가 됐다. 영주 부석사는 다만 부석이 무량수전 뒤편에 자리하고 있는 점과 무량수전의 배흘림 기둥이 없다는 점에서 서산 부석사와 다르다.

 

 

 

간월암

 

 

간월도 어리굴젓 기념탑.

 

‘서산 갯마을’의 대명사이자 어리굴젓으로 유명한 간월도(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 원래 천수만 한가운데에 떠 있던 바위섬으로 굴 양식배가 드나들었으나 1980년대 천수만 간척사업으로 뭍이 된 곳이다.

간월도에 들어서면 어리굴젓 기념탑이 먼저 눈길을 끈다. 그만큼 굴이 유명하다는 얘기. 그 명성을 말해주듯 간월도에는 횟집을 비롯해 어리굴젓을 파는 가게들이 빼곡하다.

이곳의 유명세는 작은 돌섬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 간월암이 한몫 더해준다. 간월암은 물이 빠지면 넓은 갯벌이 드러나 뭍이 되지만, 물이 들면 섬이 되는 암자다. 조각배처럼 떠 있는 모습이 엽서의 한 장면 같다. 겨울에도 찾는 이가 많아 외롭지 않아 보인다.

어리굴젓탑 뒤, 소나무로 둘러싸인 간월도 주차장 언덕을 내려가면 간월암으로 이어지는 10m가량의 바닷길이 나온다. 썰물 때(요즘은 보통 낮 12시~오후 6시경)는 갯냄새를 맡으며 걸어 들어갈 수 있지만 밀물 때는 줄을 당겨 움직이는 쪽배를 타야 한다.

간월암 계단 어귀에는 무거운 마음을 내려놓으려는 듯 암자를 오가는 사람들이 쌓아놓은 작은 돌탑들이 즐비하다. 암자로 들어가는 문도 독특하다. 단청 기와에 철문을 달아놓은 모습이 절이 아니라 동네 주민 집에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다.

 

 

뭍에서 보는 간월암과 궁리의 소나무/변종만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한 이곳은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간월암이란 이름이 붙게 됐다. 10평 남짓한 절 마당 작은 공간에 대웅전을 비롯해 산신각, 용왕각, 기념품 판매점까지 골고루 들어서 있다. 절 마당 낮은 기와 담 밖으로 넘실대는 시원한 바다 풍광은 산속 암자와 전혀 다른 분위기를 만든다. 거친 바닷바람에 빛바랜 단청도 멋스럽고 바다를 배경으로 저마다 소원을 담아 밝혀놓은 촛불도 이색적이다.

 

 

간월암의 내부모습들/변종만

 

마당 한쪽 사철나무 아래에 놓인 돌의자에 앉아, 햇빛을 받아 반짝거리는 바다를 바라보면 잡념은 어느새 사라진다. 간월암에서 오른쪽으로 건너다보면 운치 있는 안면도 풍경이 눈에 들어오고, 정면에는 천수만의 또 다른 섬 죽도의 모습이 편안하게 다가온다.

 

이곳의 최고 볼거리는 안면도 쪽으로 넘어가는 해넘이다. 겨울철에는 간월암에 물이 들기 전 해넘이가 일어나, 해와 사람이 함께 담긴 그림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일몰에 이어 하늘을 훤히 밝히는 간월도 달의 풍광도 그만이다.

 

바다를 마주하고 선 간월암 해수관음각.

 

대부분 간월암만 보고 휑하니 빠져나가기 일쑤지만 간월도 끝자락에 있는 작은 포구도 들러볼 만하다. 이곳에서 갓 잡아올린 새조개, 멍게, 해삼 등 싱싱한 해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먹을 수 있다. 어선을 개조해 바다에 띄워놓은 선상 포장마차도 운치 있다.

간월도에서는 매년 정월 보름 만조 때 굴 풍년을 기원하는 굴 부르기 군왕제가 펼쳐진다. 하얀 옷을 입은 여인네들이 마을 어귀에서 춤을 추며 출발, 어리굴젓탑 앞에 도착해 제를 올리는데 이때는 갓 채취한 굴을 관광객도 얼마든지 시식할 수 있다.

물때에 대한 문의는 서산시 문화관광과(041-660-2224), 간월암(041-664-6624)에 하면 된다.

 

 

만조 때에는 물에 잠겨 섬이 되었다가(큰 사진) 썰물이 되면 육지와 연결돼는 간월도/중앙일보 김성룡

 

간월도와 어리굴젓
바다와 육지에서 불어오는 겨울바람을 한꺼번에 맞으며 걷다보면 서산 A지구 방조제가 끝이 나고, 왼편으로 간월도로 들어가는 좁은 차도 하나가 보인다. 지금은 왼편에 물 빠진 바다를 끼고 걷는 뭍으로 변했지만 본래 이곳은 창리 어항이나 궁리해변에서 배를 타고 건너던 돌섬이었다.

 

 ▲'간월암(看月庵)'은 국내 유명 일몰 명소 중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다. 섬 사이로 달이 뜬다 해서 간월도라 불리는 곳으로, 작은 섬에는 그 섬만큼 작은 절집이 있다. 말이 섬이지 그저 손바닥만한 크기에 암자 하나가 간신히 들어앉아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1980년대 방조제가 섬을 지나면서부터 섬은 간척지에 속하게 됐고, 지금은 간월암이 있는 작은 돌섬 하나만 남아 섬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간월도는 섬이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유명한 굴밭으로 남아있다. 어리굴젓의 명산지로 알려져 온 곳답게 섬 중간에는 굴을 채취하는 아낙네 세 명의 청동상과 함께 '어리굴젓 기념탑'이 서 있고, 11km 정도 되는 해안선 둘레 갯벌에는 자연석을 이용한 굴 양식장이 널려 있다. 그래서 하루 두 차례 간월도 갯벌에 물이 빠지면 아낙들은 작은 바구니 하나씩을 들고 나와 재래식으로 굴을 채취한다.


 

아낙들에 의해 채취된 굴은 바로 맑은 해수에 씻겨 2주간 발효돼 어리굴젓으로 변하는데, 간월도 굴은 색깔이 다른 지역의 굴보다 검고 몸에 물날개(굴알에 난 미세한 털)가 많아 양념이 골고루 묻어 발효가 잘 되는데다 천일염으로 짜지 않게 간을 맞추어 어느 굴젓보다 깊고 달콤한 맛을 낸다고 한다. 만약 간월도에 가게 되면 어리굴젓 기념탑 부근 포장마차촌이나 횟집에서 파는 어리굴젓, 조선조 때 임금의 수라상에 올랐던 진상품이라는 어리굴젓(공장생산용은 500g에 1만원, 가정생산용은 1kg당 1만원)을 사 와 부모님께 드리는 것도 좋겠다. 또 썰물 때 굴밭으로 들어가 "자, 먹어봐"라며 금방 따낸 굴을 불쑥 들이미는 충청도 아낙들의 넉넉한 인심도 맛볼 만하리라.

 

 간월도 포구와 황도
서해바다가 그대로 내려다보이는 간월암에서 내려와서는 간월암 뒤쪽으로 펼쳐진 갯벌로 가보는 게 순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간월암만 보고 다시 휑하니 뭍으로 빠져나가기 일쑤지만 간월도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주저없이 발길을 간월암 뒤쪽 포구로 돌린다. 거친 갯벌 위에 한 점 빛처럼 화려하게 정박한 배들, 멀지 않은 곳에서 만나는 안면도 해안이 그렇게 아름다울 수가 없는 것이다. 특히 무지개 빛으로 다가서는 배들 사이로 선명하게 바라보이는 황도는 황도에서 직접 보는 것보다 훨씬 아기자기하다. 연인과 함께라면 반드시 간월도 포구(방파제)가 있는 갯벌을 거닐어 보기를 권한다.

간월도의 또 다른 겨울 별미인 새조개는 간척사업 이후 생태계가 변하면서 나온 것으로 겉모습은 꼬막처럼 생겼지만 크기는 어른 주먹만하다. 새조개는 구워 먹어도 좋지만 통통한 속살을 잘라내 내장을 긁어내고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초장에 찍어 먹는 ‘새조개 샤브샤브’가 그만이다. 또 새조개 국물로 만든 칼국수 맛도 일품. 항구 안쪽보다는 방파제 앞에 자리한 선상 노점(알을 깐 새조개 1kg에 5만원)에서 먹는 것이 좋다. 식당에서 껍질째로 파는 새조개는 1kg당 2만5000원이지만 실질적으론 알만 나오는 게 훨씬 저렴하다.


간월암 인근 간월도바다횟집(041-664-7822)에 가면 싱싱한 자연산 대하를 마음껏 먹을 수 있다. 주인이 직접 배를 띄워 잡아오는 까닭에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또한 그물을 걷을 때 현장에서 대하를 일일이 떼어내 곧바로 수조에 넣기 때문에 자연산일지라도 살아있는 놈을 맛볼 수 있다. 1㎏에 5만 5000원(포장은 4만 5000원). 또한 자연산 생선회 1㎏(5만 5000원)을 주문하면 대하·전어·꽃게·전복·낙지 등을 한 상 가득 내놓는데, 3명이 배불리 먹을 수 있다.

자료 - 일간스포츠 박상언 / 주간동아 / 오마이뉴스 변종만

 

천수만 철새축제

서산천수만 철새기행전은 2002년 처음으로 실시되었으며 매년 겨울철새가 도래하는 가을에 열린다. 천수만의 역사와 철새도래현황, 박제자료등을 전시하는 생태관광 전국의 철새관련 단체들의 전시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투어버스를 타고 도래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탐조투어는 탐조객들의 탄성을 자아내게 하고 있다.

 

 

 

 
주요프로그램으로는 철새맞이행사탐조기행, 천수만생태관운영, 체험마당, 장터마당 등이 있으며 세부내용은 해마다 조금씩 바뀌 운영하고 있다. 철새기행전은 10월하순경에 한달남짓 정도이고 종료후에도 얼마동안은 탐조기행을 할 수 있어 매년 수십만의 관광객이 참여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