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경기도

포천 한탄강8경

by 구석구석 2020. 7. 7.
728x90

 

우리나라에서 화산활동이 일어났던 지역이라고 하면 제주도나 울릉도를 떠올린다. 섬이 아닌, 서울 근교에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현무암 협곡 지대가 있으니 바로 한탄강이다. 포천시는 한탄강 일대에 형성된 현무암 협곡 가운데 빼어난 경치를 가진 여덟 곳을 꼽아 한탄강 8경을 선정했다. 일반적인 강변 풍광과는 사뭇 다른 한탄강 8경은 특이한 지형 덕분에 영화나 드라마 촬영지가 되기도 했지만, 거의 대부분 지역이 아직도 오염 없는 원형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가장 젊은 땅

 

한탄강에 현무암 협곡이 형성된 것은 약 27만 년 전으로 신생대 제4기에 해당된다. 한반도 다른 지역과 비교해 가장 늦게 형성된, 젊은 땅인 셈이다. 제주도나 울릉도가 용암 분출 후 화산이 만들어진 것과는 달리 한탄강 일대는 용암이 넓게 흘러나가 용암평원이 형성되었고, 이후 물길이 용암평원의 약한 부위를 타고 흐르면서 침식이 일어나 지금과 같은 좁고 깊은 협곡이 만들어졌다. 한탄강 곳곳에서 주상절리, 판상절리, 그루브 등을 관찰할 수 있어 교과서와 연계한 지질체험, 학술적인 지질탐사 여행지로 제격이다.



한탄강 최고의 명승지로 꼽히는 고석정은 철원 땅에 있지만 포천 경계 안에도 그 못지않은 비경이 많다.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가면서 제1경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제2경 샘소, 제3경 화적연, 제4경 멍우리협곡, 제5경 교동 가마소, 제6경 비둘기낭폭포, 제7경 구라이골, 제8경 베개용암 등 여덟 곳을 뽑아 포천 한탄강 8경을 선정했다.

 

 

제1경은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명칭이 길어 어렵게 느껴지는데 풀어보면 한탄강으로 흘러드는 지류인 대교천에 형성된 현무암 협곡이라는 말이다. 계곡이 좁고 깊어서 협곡이라 한다. 이곳은 경치도 빼어나고 지질학적으로도 가치가 높아 지난 2004년 천연기념물(제436호)로 지정됐다.

 

해당 구간은 길이 약 1.5㎞이다. 폭이 좁은 곳은 25m, 넓은 곳이라고 해도 40m 정도다. 협곡의 높이는 약 30m로 위에서 내려다보면 상당한 깊이다. 협곡 양쪽으로 현무암 용암층이 두꺼워서 기둥 모양의 주상절리, 수평으로 쪼개진 판상절리, 부채꼴 모양의 방사상절리 등 다양한 형태의 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 부챗살을 펼친 듯한 절벽은 예부터 부채바위로 불린다.

 

내비게이션에 주소를 입력하면 철원 경계를 넘어 목적지에 도착하게 된다. 대교천이 철원과 포천의 경계선이다 보니 목적지는 포천이지만 주차는 철원에 한다. 입구에 세워둔 안내판을 읽어보고 서바이벌 체험장 옆으로 난 경사진 길을 따라 내려간다. 구멍이 숭숭 뚫린 검은 바위들이 이곳이 현무암 지대임을 알려준다. 하류로 조금 이동하니 부채바위가 있는 주상절리 절벽이 나온다. 거대한 칼로 돌산을 베어낸 듯한 수직 절벽이 압도적이다. 부채바위도 이채롭지만 알록달록한 바위 빛깔도 범상치 않다.

 

 

제2경 샘소

 

샘소라는 명칭은 사계절 내내 수량이 변하지 않는 유명한 샘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샘소 인근에는 궁예와 관련된 전승들이 전한다. 왕제[왕제탄 또는 왕제여울]는 궁예가 왕건에게 쫓겨 도망가다 하늘에 제사를 지낸 곳이라 하고, 왕제 아래에 있는 말등소라는 소(沼)는 궁예가 말을 타고 도망가다가 쉬어간 곳이라고 한다.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과 가까워 주상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한탄강 줄기 중 가장 멋진 굽이와 많은 여울이 몰려 있으며, 길이는 3㎞이다.

샘소 협곡 일대는 상수원 보호 구역과 냉정리 취수장이 있어 일반인 출입 금지 구역이고, 샘소 협곡 주변은 수십 미터의 절벽이므로 차량이나 도보로는 접근이 어렵다.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 샘소 펜션과 스카이 벨리 펜션 부근에서도 나무들 사이로 조망이 가능하다.

 

 

제3경 화적연

 

강 쪽으로 고개를 쭉 내민 형상의 큰 바위가 독특한 화적연은 그 모습이 볏단을 쌓아 올린 것 같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바위 앞으로 연못 같은 큰 웅덩이가 형성돼 있는데 여기에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 한 농부가 3년 가뭄으로 흉년이 들자 물가에 앉아 “이 많은 물을 두고도 곡식을 말려 죽여야 하느냐! 용도 3년을 내리 잠만 자는가 보다”라며 원망했다. 그러자 곧 물이 뒤집히며 용 한 마리가 나와 하늘로 올라갔고, 그날부터 비가 내려 풍년이 들었다고 한다. 이후 가뭄이 들면 화적연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제4경 멍우리협곡

 

약 4㎞에 이르는 구간으로 높은 곳에서 조망할 수 있는 조망지가 두 곳 설치돼 있다. 절벽이 높고 가팔라서 예부터 어른들이 “술 먹고 가지 마라”고 당부했다는 곳이다. 멍우리라는 이름도 조심하지 않고 넘어져 몸에 멍우리(멍)가 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멍우리 1, 2조망지는 좁은 임도에 있어서 마을에 주차하고 걸어가야 한다. 화적연을 보고 멍우리협곡 조망지를 지나 교동가마소에 이르는 한탄강 여울길의 한 구간도 걸을 만하다.

 

2013년 2월 6일에 명승 제94호로 지정되었다. 한탄강은 화산 폭발로 인한 용암이 흐르면서 만들어진 유일한 협곡 형태의 강으로, 협곡이 여러 곳에 발달해 있으며 16곳에 주상절리가 형성되어 있다. 멍우리 협곡은 한탄강에 형성되어 있는 대부분의 협곡과는 달리 높이 2∼30m 내외의 주상절리로 이루어진 협곡이다.

 

멍우리는 ‘멍’과 ‘을리’가 합쳐진 지명이다. ‘멍’이란 ‘온몸이 황금빛 털로 덥힌 수달’을 의미하고, ‘을리’는 이 일대의 지형이 한자의 ‘을(乙)’ 자처럼 크게 곡류한다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즉 멍우리는 ‘황금빛 털을 가진 수달이 사는 강물이 크게 굽이치며 흐르는 곳’이란 뜻이다.

 


제5경 교동가마소

 

여름철 물이 많을 때 찾아야 제멋을 느낄 수 있다. 한탄강 지류인 건지천 하류에 형성된 현무암 계곡으로 소의 모양이 가마솥처럼 생겼다 하여 가마소다. 평평한 대지를 흐르던 시냇물이 갑자기 폭포로 떨어져 내리고, 가마소 옆으로 울퉁불퉁한 근육질의 바위들이 몸매를 자랑하는 형상이다. 물살에 현무암이 밭이랑처럼 구불구불하게 깎인 그루브가 인상적이다.

 

 

제6경 비둘기낭폭포

 

8경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이다. 드라마 <선덕여왕>, <추노>, 영화 <최종병기 활> 등의 배경지로 알려지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진 탓이다. 예부터 수백 마리 산비둘기가 서식해 비둘기낭이라는 이름을 얻었지만 지금은 보기 힘들다. 지난해까지는 폭포 아래까지 내려가 물에 들어갈 수도 있었는데 최근 천연기념물(제537호)로 지정되면서 보호 차원에서 내려가는 길을 막았다. 폭포 주변을 굽어볼 수 있는 계단과 데크가 설치돼 있어 주상절리 협곡과 움푹 팬 동굴을 감상하기에는 충분하다.

 

폭포 상류 쪽은 논 옆으로 개울이 흐르는 정도로 평평하다가 갑자기 땅이 푹 꺼지면서 폭포가 떨어진다. 하류 쪽으로는 높이 20~30m의 수직 절벽으로 된 협곡이 형성돼 있어 보는 것만으로도 신비함이 느껴진다.

 

 

제7경 구라이골

 

포천시 창수면 운산리에 있는 현무암 침식 지역이다.

 

 ‘굴’ 과 ‘바위’ 의 합성어인 ‘굴바위’의 의미를 가지는 곳으로 여름에는 숲이 우거져 마치 굴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탄강 본류를 흐르던 용암이 지류로 역류하면서 형성된 침식 지형으로 현무암 주상 절리, 폭포, 협곡을 관찰할 수 있고, 숲이 우거지는 여름에는 원시림과 같은 느낌을 자아내는 지질 명소이다.

 

 

제8경 아우라지 베개용암

 

베개 용암(Pillow Lava)은 물속에서 뿜어져 나오는 용암이 물과 만나 냉각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둥글둥글한 베개 모양으로 굳은 형태를 말한다. 포천 아우라지 베개 용암은 영평천과 한탄강의 물이 아우러지는 곳에 자리하고 있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포천 아우라지 베개 용암은 신생대 제4기에 북한의 평강 오리산 북쪽 640m 지점에서 분출한 현무암질 용암이 추가령 구조선을 따라 흘러내리다가 한탄강과 영평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급랭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 육지에서는 발견된 예가 드물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하부의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와 상부의 제4기 현무암질 용암류 사이의 부정합 구조, 주상 절리(柱狀節理)[뜨거운 용암이 굳을 때 부피가 수축되면서 돌기둥 모양으로 발달한 나란한 결], 하식애(河蝕崖)[하천의 침식 작용으로 생긴 높은 절벽], 고토양층(古土壤層)의 발달 과정 등을 관찰할 수 있어 지질·지형학적인 가치가 우수하며, 경관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

 

문화재청은 포천 아우라지 베개 용암의 뛰어난 자연 경관과 역사적·문화적 보존 가치를 인정하여 2012년 9월 5일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이후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 위원회의 심의 절차를 거쳐 2013년 2월 12일 천연기념물 제542호로 지정하였다. 보호 구역을 포함한 총면적은 14만 6916㎡이다. 국·공유지로, 관리는 경기도에서 하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