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대구광역시

대구 남산동 명덕역주변 대구향교

by 구석구석 2009. 4. 6.
728x90

 

 

 

 

중구 명륜로 112(남산동) / 대구향교 053-422-8700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신라 이래의 불교 정책을 억제하고 일상 생활 예절의 근본이 되는 유학을 널리 펴고 백성들을 무지로부터 해방하여 단군의 개국이념인 홍익인간을 실현하고자 전국 234개 군현에 향교를 세웠다. 이때가 1398년 (단기 3731년) 태조 7년이었다.

 

외삼문


향교의 기능으로서는 첫째, 교육을 통해 백성을 문맹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큰 목적과 둘째, 지역전통문화활동의 근거지로서의 선도역할과 셋째, 공자님을 위시한 여러 성현 군자와 큰 스승을 모셔 제례를 올림으로서 예절의식을 널리 확산하고, 도덕적 인간상 구현과 각인의 자아성취와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교육의 목표를 분명히 하였다. 대구향교도 위 목표를 수행하면서 여러 차례 이전, 중건하는 변천의 과정을 겪었다.

 

은행나무와 양사재(우) 낙육재(좌)


1398년 교동에 세워졌으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1599년 달성공원에 재건되었 다가 위치가 불길하여 1605년 교동으로 옮겼고 1932년 일제침략기 유림집회로 인한 항 일운동 봉쇄를 위해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대성전에서는 유교문화의 중흥을 위해 영남각지에서 유림등이 모여들어 연2회 춘추중 월(2.8월) 상정일(上丁日)에 석전대제를 올리고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 로 공포를 기둥위와 기둥사이에로 짜올린 다포식건축으로 단층 맞배기와집이 다. 현재 대구광역시 문화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중앙의 명륜당과 동재서재


대성전에는 공자를 정위에 모시고 사성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을 배향하고 동종과 서종에는 송조이현,신라조이현, 고려조이현, 조선조십사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매월 삭망과 내빈객은 분향례를 올리고 입교학생들은 고유를 하고 있다.

명륜당은 대구지역 유림들이 모여 학문과 도의를 강마하던 곳으로 이지역의 많은 인재 (人材)를 육성 배출하였다. 대성전 앞뜰에는 옛경상도 관찰사의 공덕을 기리는 기념비가 즐비하게 서 있어 진풍경 을 이루고 있다. 공자상이 서있는 고요한 앞뜰은 도심 내의 명상공간을 연출한다. 현재에도 명륜당과 유림회관에서는 사서경전 강의, 충효교실, 전통혼례 등이 이루어지 는 살아있는 현대의 향교역할을 다하고 있다.

 

 중구 명덕로 93/ 미성당 053-255-0742

대구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유명한 미성당 납작만두는 평범한 만두와 달리 만두 모양이 납작한 전과 같은 모양이라 납작만두라 불리며 유명해졌다. 대구 납작만두는 미성당 만두와 남문시장이 유명한데 언제나 손님들이 북적이지만 회전율이 빨라 금방 맛볼 수 있다. 

 

납작만두는 보통 만두와 확연히 다르다. 위에 파가 올라가 아삭함을 살려주고, 주문과 동시에 만들어져 나오기 때문에 촉촉함이 그대로 느껴진다. 만두피의 식감은 메밀전과 비슷한데 기호에 따라 무언가를 싸먹어도 상당히 맛있다. 

만두의 짝꿍으로 많이 팔리는 쫄면은 투박한 모습 뒤에 숨겨진 맛이 만두와 함께 입안을 즐겁게 해준다. 기본 재료로 맛을 냈지만 맵지 않은 새콤달콤한 양념이 만두와 함께 먹어도 꿀맛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