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군사 안보/해군

잠수함사령부/ 잠수함기본과정교육 잠수함훈련

by 구석구석 2021. 4. 18.
728x90

잠수함 승조원이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잠수함 기본과정 교육을 수료하고 잠수함에 부임해 잠수함 승조원 자격부여제도(SQS)에 합격해야 비로소 잠수함 승조원이 될 수 있다.

항공기 조종석 같은 잠수함 타기 교육 및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 조타 하사 정제희, 정통 중사 정래민 ⓒ힘이엔티

잠수함 승조원이 되는 첫걸음인 잠수함 기본과정 교육은 교육생으로 선발된 장교 및 부사관을 대상으로 짧게는 2개월에서 길게는 약 7개월까지 실시한다. 올해 기준으로, 장교 및 주요 직별 부사관의 교육기간은 29주. 제일 짧은 조리 직별의 교육기간도 7.3주에 이른다.

기본과정 교육은 일반학→기초학→특기학→특성화 교육으로 구분 시행된다.

일반학과 기초학은 장교·부사관 공통 과정으로, 간부의 기본역량을 구비하고 잠수함의 기본을 이해하는 교육이다. 특기학을 통해서는 잠수함 기본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나아가 특성화 교육을 통해 잠수함형별 운용장비에 대한 전문지식과 개인임무수행능력 구비를 위한 교육이 진행된다.

이렇게 기본과정을 수료한 예비 잠수함 승조원들은 함에 부임하여 약 6개월간 이루어지는 잠수함 승조원 자격부여제도를 통해 진정한 잠수함 요원으로 거듭나게 된다.

기본과정 교육 교관을 맡고 있는 이태규 소령은 “잠수함 승조원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소양은 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라고 강조했다. “각종 장비 및 밸브의 운용에 있어 오작동은 승조원 총원의 생명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 시 현장에서 외부의 도움 없이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취해져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인의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ㅇ 창원시 진해구 해양의학지원소 비상탈출훈련장에서 잠수함 비상탈출훈련

△ 잠수함 승조원들은 매년 1회 이상 수심 10m의 수조 모양 훈련장에서 이 훈련을 받으며 비상시 잠수함 탈출 방법과 절차를 숙달한다. 잠수함사는 “이번 훈련에서 일반 이론교육 후 수중 비상탈출 절차 숙달 실습을 진행해 훈련 효과를 높일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잠수함 승조원들의 비상탈출 능력과 수중 적응 능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훈련에서는 안전교육, 사다리 이용 맨몸 탈출, 다이빙 벨(Diving Bell) 이용 맨몸 및 탈출복 탈출, 개별 탈출 탱크 이용 탈출복 탈출 등이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특히 비상탈출훈련에서 승조원들은 부력을 이용해 수면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고안된 탈출복을 착용한다. 이 탈출복은 위기상황 발생 시 잠수함에서 탈출하는 승조원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최적화돼 있다.  국방일보 2019 안승회 기자 < lgiant61@dema.mil.kr >

제주안보견학 장보고함 잠항 체험 르포 사진

△ 잠항항해 중 함수·미 수평타, 수직타 조종을 위해 2인1조로 운영된다. 1타수(왼쪽)는 심도 및 침로를, 2타수(오른쪽)는 함의 자세각을 조종한다.

△수상항해 중 함교탑에서 함교당직사관이 쌍안경을 이용해 항로상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전투정보실에서 어뢰발사훈련이 진행 중이다. 접촉된 표적에 대해 분석 및 문제해결이 완료되고 함장의 명령에 따라 어뢰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전부 승조원침실에서 화재상황을 가정하여 소화요원이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소화훈련은 화재, 충돌, 敵으로 부터의 공격에 의해 화재발생시 화재에 대한 공포심을 배제하고 자신감을 갖게 하며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훈련으로 항해는 물론이고 정박시에도 매일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임무수행 중 전투정보실에서 전탐사(왼쪽 아래)들이 안전항해를 위해 해도에 각종 정보들을 기점하고 있다.

승조원들이 식탁에 둘러앉아 식사를 하고 있다. 공간이 협소하여 총원이 한 번에 식사를 하지 못해 다음 당직자에게 식사 우선권이 부족하다.

잠수함 승조원이 침대(길이 180cm, 폭 75cm, 높이 50cm)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다. (승조원 수에 비해 침대 개수가 부족해 3명이서 2개의 침대를 교대로 쓰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