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경상북도

영양 911국지도 두들마을 석계고택 만지송 장계향 이문열

by 구석구석 2020. 7. 28.
728x90

영양 두들마을

현대 삶의 조건에서 주거지역은 산지보다 넓은 평지를 선호하지만, 농경사회에서는 산이 있고 냇물이 흐르는 산골이 살기가 더 좋았다. 영양은 높고 낮은 산이 감싸고 맑은 냇물이 흐르면서 바닷가에서도 적당히 떨어져있는 그야말로 현실 속에 무릉도원을 꿈꿀 수 있는 곳이다.

영양은 글자 그대로 영양가 높은 곳이다. 그래서 병자호란의 치욕을 당하자 1640년, 석계 이시명과 장계향은 영해에서 가솔 30여 명을 데리고 이 마을에 정착한다. 그때부터 재령이씨 집성촌이 된다. 이런 연유로 주곡고택과 유우당고택을 석보 주남리에서 이곳으로 옮겨온다.

영덕, 청송 진보를 거쳐 영양가는 길에 접어들었다. 신록이 자신의 존재를 마음껏 뽐내고 있는데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가 일상화되어 사람 구경하기가 힘들고 어쩌다 차들만 간혹 만날 뿐이다. 아마 조선시대의 풍경이 이랬을 것이다. 석보로 접어들자 길옆에 여성 독립운동가 남자현 동상이 길손에게 조선 독립을 외치고 있었다. 남자현(1872~1933)은 어릴 때 한학을 공부하고 남편 김영주가 의병으로 1896년 청송진보전투에서 전사하자 민족 계몽운동 하다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 유복자 김성삼을 데리고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 하다가 일경에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 후유증으로 순국하였다. 그의 생가 터에 동상과 순국비와 집을 지어놓았지만 관리가 허술하여 마당에는 징그러운 뱀이 가까이 갈 때까지도 떠날 줄을 모르고, 청마루에는 오래전에 죽은 새가 쓰러져 있었다. 이상하게도 독립운동한 집이나 유적지에는 엉망으로 관리할까.

두들마을 전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외곽부터 찬찬히 둘러보았다. ‘두들’의 뜻대로 언덕을 끼고 마을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일위의 산기슭에 음식디미방 문화체험원은 한옥으로 잘 지었지만, 어느 왕조의 궁궐 같았다. 휼륭한 사람 선양하고 알리는 것은 중요하지만 대한민국 곳곳에 관광객 유치란 역사적 사명을 띠고 대규모위락시설과 건물들을 짓는다. 인구는 줄고, 관이 동원하지 않으면 대규모로 우르르 몰려다니는 시대는 지났다. 이렇게 큰 건물 지어놓고 관리는 어떻게 할까. 걱정스럽다.


지금은 개인의 브랜드화에다 혼밥, 혼술에 홀로여행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더구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될 조짐이다. 문화체험원 아래는 옮겨온 주곡고택이 초라하게 웅크리고 나그네를 기다리고 있다.

주곡고택은 석보 주남리에 유학자 이도(1636~1712)가 지은 집을 1830년에 이곳에 옮겨지은 집이다. 이 고택도 따뜻한 남부 지방의 안채와 사랑채가 분리되어있는 개방형이 아니라 추운 북부지방의 환경에 따라 사랑채 안채가 서로 스크램 짜듯이 부둥켜안고 있는 ‘ㅁ’자형(뜰집형)의 집이다. 사람이 살지 않으니 윤기 사라진 고택이 더욱 스산했으나 집 앞에 하얀 찔레꽃 향기가 일말의 생기를 넣어주고 있다.

두들마을 중간에 석계고택과 장계향 유허비가 있고 연이어 여러 고택들이 있는데 음식디미방 전시관, 교육관, 예절관, 유물전시관, 체험관 등 온통 마을 곳곳에 너무 많이 해놓았다.

마을 왼쪽 끝에는 석보 주남리에 이상도(1773~1835)가 죽기 2년 전인 1833년에 지은 집을 후손 이돈호(1869~1942)가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처음 건립한 이병도의 장남 이기찬의 호가 유우당이라 그대로 당호로 하였다. 이 집을 옮긴 이돈호는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보내기 위해 한국독립을 호소하는 서한을 작성한 파리장서사건에 가담한다. 이 유우당에서 태어난 조카 이병각(1910~1941)은 청년, 민중운동을 한 항일시인으로 시와 산문, 평론을 넘나드는 작품 활동을 하다가 일찍 요절하여 빛을 발하지 못했다. 병든 몸으로 직접 한지에다 붓으로 쓴 시집 첫 장에 ‘가장 괴로운 시대에 나를 나허주신 어머님께 드리노라’며 괴로운 식민지 시대를 대변한다.


“동풍이 불면 호수는 외로워지고/ 나의 소녀는 나비처럼 지쳐진답니다./ ‘연모(戀慕)’ 한 구절과 /밤은 외로운 창에 기대여/ 차운 달과 함께 새움니다.” 회야곡(悔夜曲) 한 구절로 그의 시상을 떠올려본다.


그 옆에 붙어있는 석간고택은 석계 이시명과 장계향의 넷째 아들 항재 이승일(1631~1698)의 7세손 좌해 이수영(1809~1892)의 집이다. 이수영의 5세손인 소설가 이문열이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유년시절을 보냈던 집이기도 하다. 석간고택 앞에는 석천서당이 단단하고 힘 있게 버티고 있었다. 석계 이시명이 입향하여 초가로 강학을 하던 곳인데 후손과 유림이 중건하여 재령이씨 집성촌인 이 두들 마을의 문필이 이어지게 하여 이문열 같은 우뚝한 소설가가 나온다. 안동의 전주유씨 무실파 유씨들도 기양서당의 교육이 문필이 끊어지지 않는 맥이 이어져 유안진 시인도 이런 자양분을 받고 자란 덕분이다.

우리나라 의술이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오른 시발점은 1885년 널리 은혜를 베푼다는 광혜원이고, 국민의 질병치료목적으로 1900년에 설립한 국립병원이 광제원이다. 그래서 이 마을도 조선시대 광제원이 있었다고 원리마을이다. 석계는 교육으로, 장계향은 빈민들과 어려운 이웃에게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광제원이 생기기 260년(1640년 입향)전부터 그 역할을 수행했다. 신사임당은 율곡 같은 천재를 낳았지만, 자아가 뚜렷한 자유분방한 예술가였는데 국가에서 장려한 현모양처라면, 시댁과 시가 그리고 헐벗고 굶주린 이웃들에게 베푼 진정한 현모양처이다. 공자도 인(仁)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 했다. 그러면 사랑의 첫 번째 조건은 무엇일까. 상대방에 귀 기울이는 것으로 출발해야 된다.

검소한 건물의 석계고택 위에는 80~90년대 소설로서 대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았던 이문열의 집필실 겸 광산문학연구소를 둘러보았다. 너무 크고 웅장한 건물을 둘러보고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밀려왔다. 베스트셀러 덕분에 엄청난 인쇄가 들어와 고향 문중 땅을 사서 한국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문학도를 양성하기 위하여 문학연구소를 개인 사비로 한옥을 지었지만 지금은 인쇄수입이 거의 없는 상태라 유지하지 못하는 유령의 집이 되어버렸다. 뜻은 좋았으나 작가들 대부분은 공간이 작아도 자신만의 방에서 우주적인 무한한 상상력과 집필욕구가 생기는 것이지 이렇게 ‘ㅁ’자로 붙어있는 큰 건물은 세미나용이지 창작의 산실은 아니다. 큰 세미나용 1채 정도를 짓고 나머지는 방 하나 청마루 한 칸, 부엌과 화장실 공간의 원룸식 조그마한 한옥 한 채씩 지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흔히 가수가 자신의 노래 가사 대로 산다는 말이 있다. 차중광은 27살에 낙엽 따라 가버렸고, 권혜경은 ‘산장의 여인’노래대로 쓸쓸히 죽었고, 곡예사의 첫사랑같이 줄을 타며 잠시 행복하다가 50살에 가버린 박경애, 반면에 무명가수에서 ‘쨍하고 해뜰 날’로 쨍한 송대관도 있다. 인기 작가 이문열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책 제목같이 추락하는 일그러진 영웅이 되어버렸다.

2001년 지역감정, 이념, 색깔론을 편향된 극우적인 발언으로 ‘이문열돕기운동본부’에서 전국에서 모은 733권을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의 이문열의 작업실 ‘부악문원’ 앞에 가서 “반납 받지 않으면 고물상에 10원에 팔아 버리겠습니다.”의 고통스런 아픔을 겪어야 했다.

한국최고의 인기작가 반열에 오른 대중작가였고, 한국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의 한 명이었지만, 대중에게 잊혀져가는 것은 왜일까. 장편 30편, 중단편 60편이 넘고,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쏟아냈다.

 

이문열 작가의 말대로 “모친이 임신했을 때 좌익 활동을 하는 부친을 도와 전단지를 돌리다 경찰서 유치장에 들어갔다. 부친이 “배 속에서부터 치열하게 싸우는 투사라며 이열이라고 이름 지었다. 좌익투사이름을 타고난 내가 ‘보수우파골통’소리를 듣는 상황이다.”고 했다.


두들마을은 차와 관광객 위주로 꾸미다보니 옛 삶의 애환이 묻어나는 골목길도 없다. 너무 많은 장계향 체험관을 지어 활용도가 떨어져 2002년 19억원 들여 지은 장계향 예절관과 유물관을 이문열의 광산문학연구소와 합쳐 경북도와 영양군이 25억원 들여 ‘이문열 문학관’을 짓는다.

 

 

0 음식디미방

340여년전 여중군자 장계향이 쓴 146가지의 최초의 한글조리서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 음식 만들기 체험은 장계향의 후손인 석계가문의 13대 종부인 조귀분씨가 강사를 하고 있으며 15명이상이 사전예약을 해야 한다.
☞ 음식디미방 정부인상 식사체험은 10명이상이 최소 3일 전 예약
- 메뉴 : 전체요리(김향주, 단호박죽)
주요리 (잡채, 어만두, 동아누르미, 연근채, 화전, 빈자병 등)
후식 ( 석이편, 오미자화채)
★ 문의처 : 054-682-7764


자료

두들마을 글 / 경북매일(http://www.kbmaeil.com) 2020.6.3 기행작가 이재호

두들마을 한옥사진 / 청남그림자 blog.daum.net/shyn4518/221

 

 

천연기념물 제399호 답곡리 만지송

소나무의 한 종류로 줄기가 여러개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진다. 이 나무의 표준 이름은 반송이지만 이곳에서는 만지송이라 부른다. 수령은 400년으로 추정되고 마을 주민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만지송 가는길

외형은 3개의 줄기가 접합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이나지표에서 60cm까지 외줄기로 되어 있다.

옛날 어떤 장군이 이 나무를 심으면서 '이 나무가 살고 죽음에 따라서 나의 성공과 실패가 연관된다.'고 말했다는 속설에 따라 '장수나무', '장군솔'로도 불리며, 또 여인이 아들 낳기를 원하여 극진히 빌면 소원이 이루어 진다고 한다.

 

출처 아름터기카페

원리리 낙기대와 세심대

두들마을에 도착하여 가장 먼저 마주치게 되는 낙기대이다

낙기대 절벽의 높이가 약 10m로 주위에는 오래된 참나무들이 서 있다.

남서쪽 높은 곳에는 마을사람들이 서낭당으로 모시고 매년 정월 보름이면 제사를 지낸다는 세심대가 있다.

 

 

세심대에서 제일 먼저 만나는 광록초당(廣麓草堂)

항재 이숭일(恒齋 李崇逸) 선생이 강학하였던 곳으로 퇴락하여 고종 21년(1884) 유생과 후손들에 의해서 중건되었다.

초당에는 선생의 원운(原韻)과 신택재의 차운이 있으며, 좌해 이수영의 추건기(左海 李秀榮) 등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