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전라남도

순천 서면-황우마을 향매실마을

by 구석구석 2008. 9. 25.
728x90

 

 

순천 중소한우농가 32명이 만든 한우판매장 학구리 791-2 '황우마을'  061-755-1881

서순천 나들목을 지나 구례방향으로 가는 길목. 학구삼거리를 지나 1km 정도 더 달리면 송치재SK주유소 옆 '황우마을' 간판을 만난다. 90여평의 규모에 100석정도 되는 작은 식당. 이곳이 '황전면농민회영농조합법인'이 직접 운영하는 한우판매장과 식당 '황우마을'이다. 지난 7월 25일 개업했지만, 벌써 입소문을 타고 주말이면 앉을 자리가 부족할 정도로 성업 중이다.

 

일단 이곳에 오면 판매장에서 시중보다 40% 정도 저렴한 한우고기를 양만큼 구입해 식당으로 들어간다. 이곳에서 판매하는 한우고기는 모두 이곳에 공동투자한 조합원들과 농민회원들이 직접 키운 것. 먹이로 사용되는 사료도 모두 농축협사료만 사용한다. 그래서 고기 빛깔이나 맛, 신선도가 다르다.

 

이 '황우마을'은 32명의 황전면 농민회원들이 각각 700만원씩 공동투자해 설립했다. 모두 50두 미만 정도 키우는 중소한우농가들만 참여했고, 판매장과 식당운영은 운영위원들을 구성해 직접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중간상인들에게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가격흥정에 몸서리쳤던 고통은 사라졌다. 대신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한우고기를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 것. 식당에서 사용하는 농산물도 모두 순천지역 등에서 생산되는 우리 농산물만 사용한다.

 

직접 조합원과 농민회원들의 한우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값도 즉시 지급하고, 가격도 중간유통상인들보다 일부러 30여만원 정도 더 주고 매입한다. 소값 안정을 위해 농민들 스스로 지켜내기 위함이다. 그래도 시중가격보다 더 저렴하게 안전한 한우고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은 중간유통마진을 없앴기 때문.

 

아직 판매장과 식당운영에 서투르다보니 시행착오도 있지만, 생산자와 소비자의 신뢰는 흐트러지지 않고 있다. 개업 직후 일반 시중업체에서 구입한 마늘과 양념이 중국산으로 밝혀지자, 그날 영업을 중단하고 모두 폐기처분했고, 그 후 대부분 순천농협 하나로마트 등에서만 공급받고 있다.

 

일반 한우식당과 달리 야채나 반찬은 모두 우리 농산물만 사용해 종류나 양은 많지 않다. 가격이 저렴하다보니 영업이익 또한 그리 많지 않다.

 

그래도 이익의 30%는 기존 순천시황전면 농민회가 벼 공동경작 등을 통해 실시했던 지역공공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아동복지, 독거노인복지 후원, 우리 농업 지키기 운동 등 공익사업에 사용하기로 공개적으로 약속했다.

 

또 2년간 나머지 70%의 이익금은 모두 재투자하기로 했다. 판매장 안내판에는 그날 들어온 한우고기의 등급판정서가 붙어있다. 대부분 1++, 1+, 1등급만 암소만 사용한다. 명품 한우만 공급하겠다는 농민들의 고집이 담겨 있다. 고기를 사들고 식당에 들어가 600g당 6천원만 내면 각종 반찬과 야채 등이 제공된다. 술, 음료, 식사는 따로 받는다. 내장을 비롯해 머리, 꼬리, 사골은 물론 국거리용 쇠고기까지 판매한다. ⓒ 2008 OhmyNews 최경필

 

송치터널 지나 1.5㎞ 지점서 우회전(터널 지나 오른쪽으로 두 번째 길로 ‘계월마을’ 표지판 있음)

 

푹신한 흙길에서 만난 봄… 월등면 계월리 향매실마을

 

광양만에서 멀리 떨어진 순천은 내륙이라 매화가 광양보다 10~15일 정도 늦게 핀다. 순천시 월등면은 복사꽃으로 가장 유명하지만 청매실 농원 세 배 규모의 넓고 아름다운 매화촌(村) 계월(桂月)마을이 있다는 사실은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농가에서 저마다 매화나무를 재배해 조직적인 마케팅이 쉽지 않았던 탓이다.

지난해 ‘향매실’이라는 새 브랜드를 출범시킨 마을 주민들이 본격적인 ‘계월 매화 홍보’에 나서 조심스레 세상에 이름을 알리고 있다. 상업화가 덜 돼 있고, 아직 푹신한 흙 길이 그대로 남아있어 걷기에 좋다는 것이 장점이다. 김종백 이장을 필두로 마을에 대한 애정이 유별난, 인심 좋은 주민들의 환대도 때묻지 않은 매화마을의 ‘특산품’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