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경비단4 수방사 1경비단 35특임 태호부대 ㅁ 1경비단 / 수호신부대군사반란때 30사단의 반란군(30전투단)은 30경비단(경복궁), 33사단(현17사단)의 병력은 33대대(독립문)로 남아있다가 1경비단으로 축소통합되었으며 현재 부대개편으로 제2특수임무대대(백호부대), 제35특수임무대대(태호부대) 2개의 특임대대가 있다.ㅇ 군기가 상당히 쎈편인데 서울 시내에서 유일하게 실탄을 휴대하고 민간인과 접촉하면서 근무를 하고, 지휘관들의 진급코스이기에 군기가 쎌수밖에 없다. 경비단에서는 마음만 먹으면 초소 근무중에 무장한채로 서울시내로 들어가기에 군기뿐 아니라 신원조회를 철저히 한다.ㅁ 35특수임무대대 / 35특임 / 태호부대35특공대대는 과거 35여단이 수방사내 특수임무부대의 필요성에 의해 인원축소 및 훈련강화하여 35특공대로 변화되었고 대테러임무와 시가.. 2024. 12. 4. 수방사 1경비단 백호대대 청룡대대 수호신부대 ㅁ 1경비단 / 현저동ㅇ30경비단 청룡대대 북악산 / 33경비단 백호대대 인왕산 ㅇ 북악산과 인왕산 경비담당하며 30사단과 33사단의 1개대대가 친위대형식으로 경복궁과 독립문에 주둔하며 충정훈련을 하였고 이들 부대가 수방사의 모태이다.ㅇ 1996년 군사정권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30경비단과 33경비단을 축소통합하여 제1경비단(3033부대)을 창설하였으며 대통령 경호부대로써 대통령 취임식과 6월 현충원 참배 경계작전에 투입되어 현충원 주변 경계를 위해 야영을 하며 2박 3일의 주야간 경계근무를 펼친다. 2000년 경까지는 대통령이 참석하는 육군사관학교 졸업식에도 투입되어 주변 경계를 맡았다. ㅇ 2022년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며 경호부대의 존재의의가 사라지게 되었다. 경호실이 통제하는 55경.. 2024. 1. 27. 수방사 제1경비단 30경비단 33경비단 ㅁ 수도방위사령부 Capital Defense Command 1경비단 ㅇ30경비단 청룡대대 북악산 / 33경비단 백호대대 인왕산ㅇ육본직할부대로 서울시 방위를 하는 부대라 시내에서 장갑차를 운행할 수 있는 유일한 부대이며 대통령직할로 전작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1961. 05. 16 보병 제 30사단에서 반란군으로 출동하여 중앙청에 주둔 ( 부대명칭 30전투단으로 출발 ) 1961. 06. 01 수도방위사령부 창설 1961. 06. 03 부대명칭 30대대라 칭함 1961. 06. 20 28/741명 창설요원으로 창설 (1ㆍ2ㆍ3ㆍ화기ㆍ본부중대) 1961. 06. 24 중앙청에서 경복궁으로 부대이동 1961. 06. 29 제 5160부대라 칭함 1963. 12. 17 수도경비사령부로 개칭 1964.. 2020. 4. 19. 수방사 - 헌병특경대 35특공대 33경호대 55경비단 수도방위사령부 Capital Defense Command 1경비단(30경비단 청룡대대 북악산 /33경비단 백호대대 인왕산) 헌병단-특별경호중대제35특공대대 / 독거미부대 / 여군특임중대대통령경호처파견 / 33헌병경호대 / 55경비단육본직할의 서울시방위를 하는 부대로 서울시내에서 장갑차를 운행할 수 있다.한국의 유일한 대통령직할로 전작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유일한 부대이다.헌병단 특별경호중대수방사 헌병 특수임무대는 지난 1997년 12월에 특별경호대로 창설돼, 2002년 월드컵 개최시 대테러 초동조치부대로 지정되었고, 2007년 일반재난구조 임무를 부여받아 특수임무대로 되었고 기동헌병과 함께 특경중대로 편성되었다. 또한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선발된 모병자원으로 강도 높은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평시 대테.. 2019. 1. 23.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