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전라북도

장수여행 토옥동계곡 장안산

by 구석구석 2023. 1. 23.
728x90

 

장안산

 

전북 장수는 산 높고 골 깊은, 물이 좋은 고장이다. ‘전북의 지붕’, ‘남쪽의 개마고원’이라 일컫는 이유를 알 만하다. 천리(394.79㎞)에 이르는 기나긴 금강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대전통영고속도로가 지나는 장수는 1980년대까지만 해도 사람들의 발길을 쉬이 허용하지 않는 첩첩산중이었지만 잘 뚫린 도로 덕택에 하루 여행지로도 무리가 없다.  

장수 나들목을 빠져나와 이 고장 끝머리에 있는 토옥동 계곡으로 간다. 남덕유산 한 자락, 삿갓봉(1,410m)을 옆에 끼고 깊숙이 들어간 토옥동(계북면 양악리)은 아직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장수의 보물 같은 곳이다.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계곡의 암벽 사이로 힘찬 폭포수가 떨어진다. 폭포 한쪽에는 오랜 역사를 간직한 탑 하나가 덩그러니 서 있다. 마을 이름을 따서 양악탑이라 부른다. 백제 또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하는 이 석탑은 당시 논 가운데 서 있던 것을 이곳 토옥동 계곡으로 옮겨 놨다. 옛 문헌에 잠시 등장하지만 세워진 연대를 알 수 없어 아쉽다. 

토옥동계곡은 북덕유산과 남덕유산 사이의 골짜기이다.

토옥동 계곡 들머리 마을 한복판에는 우리말과 글을 지키는 데 평생을 바친 건재(健齋) 정인승(鄭寅承, 1897~1986)선생의 기념관이 있다. 유품, 큰사전 편찬 자료, 옛 사진, 수상·훈장, 저서, 생애 등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으며 기념관 옆에는 영정을 모신 사당과 동상이 서 있다. 선생은 1935년 조선어연구회를 창립하고 한글 큰사전 편찬과 학회 기관지인 ‘한글’ 편집에 관여하는 등 항일애국운동을 펼쳤으며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포돼 3년 동안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일제 식민지 시기 ‘한글을 비롯한 국학의 연구는 단순히 학문적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민족적 차원의 문제다.’라고 설파했던 선생의 뿌리 깊은 나라 사랑은 오늘날 큰 귀감이 되고 있다.   

계북면 소재지에서 나와 천천면 구신마을에 잠시 들러본다. ‘섶밭들산촌생태마을’로 불리는 이 마을은 수려한 자연경관이 으뜸이다. 수분령의 뜬봉샘에서 발원한 깨끗한 물줄기(천천천)가 마을길을 따라 내려오니 천연기념물인 수달을 비롯해 보호 수종인 쏘가리, 꺾지, 버들치, 쉬리, 돌고기들이 지천이다. 봄엔 고사리, 취나물, 더덕, 도라지, 잔대 등 산나물들이 풍성하고 여름철엔 피서객들이 모여든다. ‘섶밭들’은 이 마을의 옛 지명에서 따왔다. 유독 ‘섶나무’가 많아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내다 팔며 힘겹게 살아왔다. 세월이 흐르면서 산을 조금씩 개간해 ‘들’이 생겨났고 ‘밭’과 다랑논을 일궈 ‘섶밭들’이란 이름을 얻게 됐다. 

장수를 빛낸 인물 중 논개(論介, ?~1593)는 단연 돋보인다. 천천면에서 육십령 쪽으로 가다 대곡호(오동제)를 지나 4km쯤 거슬러 올라가면 논개가 태어난 장계면 대곡리 주촌마을에 이른다. 주촌마을 한쪽엔 논개와 관련된 다양한 유적, 유물이 있다. 임진왜란 때 왜장을 끌어안고 진주의 남강으로 몸을 던진 논개를 기리기 위해 만든 것이다. 생가(초가), 외삼문(휘광문)과 내삼문(숭앙문), 논개동상, 사적불망비각, 논개 유허비, 부친의 묘, 기념관 등이 배치돼 있는데 ‘一’자형 초가인 생가에는 논개의 초상과 침구, 책들이 놓여 있고, 마당과 마루는 옛 모습을 그대로 살려놨다. 마을 입구에는 논개를 낳기 위해 공을 드렸다는 성황당이 남아있는데, 매년 정초에 노송 앞에 제수를 차려놓고 마을의 안녕을 비는 산신제를 지낸다고 한다. 

728x90

주촌마을에서 바라보이는 장안산(1,237m)은 국내 100대 산에 들 정도로 우람하고 훤칠하다. 일반인들에게 이 산은 생소하게 다가오지만 산 좀 탄다 하는 사람들은 백두대간과 호남정맥이 연결되는 산이라 해 남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장안산은 덕유산과 지리산 중간쯤에 있다. 정상(상봉)에 서면 남쪽으로 중봉, 하봉이 솟아 있고 북으로는 덕유산 줄기가 아득한데 눈을 멀리 주면 백두대간의 큰 산줄기와 지리산의 웅장한 모습도 시야에 들어온다. 장안산은 그 깊은 줄기에 지지계곡을 만들어 놨다. 동화댐이 있는 번암면 죽림리에서 지지리를 지나 장계면 대곡리까지 이어지는 이 계곡은 길이가 10㎞에 달한다. 오염 안 된 맑은 물은 거친 물소리를 내며 바위를 타고 넘는데 계곡과 나란히 이어지는 찻길을 따라가다 마음 끌리는 곳에 차를 세우고 자리를 잡으면 거기가 바로 천국이다.  

지지계곡이 만든 동화댐 바로 아래에는 민족대표 33인으1로 3·1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백용성 (1864∼1940)의 생가지(죽림정사)가 있다. 호국불교, 전통불교 실천에 앞장섰던 선생은 일제의 친일 불교정책에 저항하는 등 근대불교가 자리 잡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경내에는 목조로 지은 생가를 비롯해 백용성 조사의 유품을 소장한 용성기념관, 여래탱화와 조사탱화를 봉안한 용성교육관, 대웅보전, 요사채, 누각 등이 있다.

죽림정사 입구에는 장수 군민들이 세운 백용성 유허비(遺墟碑)가 있다. 유허비 뒤에는 죽림정사를 알리는 돌로 된 안내판이 있다. 이 자연석은 백용성 생가 인근 하천 웅덩이에 있던 돌이라고 하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백용성이 어린 시절 개울에서 멱을 감으며 이 돌 위에 올라가 놀았다고 한다. 목조 기와집인 생가에는 백용성의 영정이 모셔져 있으며 본채와 아래채, 장독대 등이 옛 모습으로 복원돼 있다. 

장안산계곡물이 모이는 동화호

장안산은 그 안에 덕산계곡이란 걸출한 자연미(自然美)도 숨겨놨다. 덕산계곡에 들면 차랑차랑 흘러내리는 물소리와 지지배배 우는 산새 소리가 귓전을 파고든다. 장안산 상류에서 내려온 물줄기가 죽산리 쪽으로 내달리다 중간쯤 골짜기에서 S자를 그리며 흐르니 덕산계곡이다. 용림댐 건설로 예전의 멋은 많이 사라졌지만 그 안에 들면 여전히 웅장하고 아름답다. 덕산계곡의 하이라이트인 용소(윗용소, 아랫용소)까지 그윽한 숲길이 이어지는데 마치 지리산의 한 귀퉁이를 옮겨놓은 것 같다. 아랫용소는 덕산계곡 최고 비경으로 꼽힌다. 암반의 홈통을 타고 내려온 폭포수가 거대한 절구통처럼 옴푹 들어간 바위 홈에 시퍼런 계곡물을 가득 담으니 천하절경이다.  

덕산계곡용소

용소에서 계곡을 따라 1시간쯤 내려가면 각종 편의시설이 갖춰진 방화동가족휴가촌과 방화동자연휴양림이 나온다. 용소와 방화동을 잇는 장안산 생태탐방로는 4.5㎞ 거리로 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걸을 수 있는 평탄한 숲길은 계곡 물소리와 피톤치드 향기가 내내 따라와 걷는 맛이 참 좋다. 

금강발원지 뜸봉샘

서두에서 밝혔듯이 장수는 금강이 시작되는 곳이다. 금강 발원지는 신무산 자락의 뜬봉샘. 장수읍내에서 남원 방향 19번 국도를 따라가다 수분령휴게소 조금 못 미처 우측 원수분 마을로 접어들면 금강 발원지인 뜬봉샘으로 가는 산길이 나온다. 해발 539m의 수분령은 예부터 한양으로 가려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고갯길이었다. 마을에서 뜬봉샘까지는 2㎞(40분 소요) 거리로, 이성계가 백일기도를 하다 조선 건국의 계시를 받은 곳이라는 이야기가 전한다.

뜬봉샘에서 솟아오른 물줄기는 금강의 첫 실개천인 강태등골(신무산의 한 갈래)을 타고 1.5㎞를 흘러 수분천으로 이어진다. 수분천은 다시 5.5㎞를 흐르며 실개천들과 합류, 장수읍 용머리마을에서 섬진강의 물줄기인 진안 팔공산(1,151m) 북쪽 계곡 물과 만나는데 팔공산을 사이에 두고 서쪽은 섬진강, 동쪽은 금강 수계가 된다. 

논개의 영정을 모신 의암사

뜬봉샘에서 장수읍내까지는 15분 거리. 읍내 한복판에 있는 장수향교는 조선 태종 7년(1407년) 창건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됐다. 향교(鄕校)는 덕행이 훌륭한 사람들을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는 지방의 교육기관이다.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大成殿)은 앞면 3칸, 옆면 3칸에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 볼만한데 얼핏 큰 사찰의 대웅전을 연상케 한다. 장수군청 앞에 있는 의암송(義巖松, 천연기념물 제397호)도 볼만하다.

이 소나무는 16세기 후반 당시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최경회가 의암 논개와 함께 심은 것이라 한다. 수령 400년을 자랑하는 고목으로 원줄기가 왼쪽으로 꼬여 수평을 이룬 모양새가 특이하다. 장수읍 남산 남쪽 기슭에는 의암(義岩) 주논개(朱論介)의 영정을 모신 사당(의암사(義岩祀))이 있다. 충남대 윤여환 교수가 그렸다는 논개 영정과 부통령 함태영이 쓴 사당 현판은 당차면서도 역동적이고 한편으론 온화하다. 

출처 : 한국아파트신문(http://www.hapt.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