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전라남도

보성 수암리 초암산

by 구석구석 2008. 11. 17.
728x90

 

앞과 뒤로 끝없이 이어지는 초암산 ‘십리 철쭉능선’

 

초암산은 최근 들어서야 알려지기 시작한 보성의 철쭉 명산이다. 하지만 이 산은 오래 전부터 철쭉 산이었다. 사람들은 철쭉제를 여는 제암산과 일림산만을 찾았고, 초암산은 존재 자체도 잘 몰랐던 것 같다. 산의 크기와 철쭉밭의 규모로 보아서는 아무래도 일림산~제암산 능선이 우위라는 이유도 클 것이다. 

 

일림산이 바다가 지척이어서 푸른 바닷빛과 어울린 철쭉 풍광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면, 초암산은 철쭉밭의 정수만을 똑 따서 즐기고 내려올 수도 있다는 간편함이 두드러진다. 북쪽 임도로 하여 철쭉밭 바로 밑까지 차량으로 올라간 다음 정상 근처의 철쭉밭 구경 후 되내려오는, 등산이라기보다는 거의 관광에 가까운 방식의 탐승이 가능하다.

 

 산 남쪽 수남리계곡으로 목포-광양간 고속도로가 나기 전까지는, 원한다면 호남정맥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광대코재~주월산~방장산~오도재 능선을 포함한 원점회귀형의 사뭇 뻐근한 당일산행을 선택할 수도 있다. 겸백면은 이 원점회귀형 등산로의 출발지 수암리에다 널찍한 주차장도 닦아놓았다.

 

일림산과 더불어 초암산 철쭉제도 지내며 보성군은 아예 ‘녹차와 철쭉이 어우러진 보성’으로 홍보하고 있기도 하다. 때문에 몇 해 지나지 않아 초암산 역시 일림산처럼 철쭉 만개시기엔 접근조차 힘든 북새통이 될지도 모른다.

 

초암산의 과거 이름은 금화산(金華山)이었으며, 옛 금화사(金華寺) 터가 있다고 한다. 초암산이란 이름도 초암(草庵)이란 암자와 관련이 깊지 않을까 싶지만, 보성문화원에도 특별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백제 때 세워진 절 금화사는 한때 대찰이었으나 절에 워낙 빈대가 심하게 끓어 태워버렸다’는 옛 노인들의 구전을 보성군지는 전하고 있다. 지금은 작은 암자조차도 없고, 다만 한 기 남아 있는 마애석불이 과거 이 산에도 절이 존재했음을 전하고 있다.

이 산의 남서 사면에는 베틀굴이란 천연굴이 있다. 보성군지 기록에 의하면 굴의 길이가 20m, 폭 1m, 높이 2m라고 하나 현지 주민들 말로는 과거 공비토벌 때 폭파되어 지금은 굴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고 한다. 겸백면은 조만간 이 굴을 거쳐 정상 가는 길을 정비할 예정이다. 

 

원점회귀형 산행이 가능한 수남리 주차장에서 시작하기로 했다. 정상에서 동쪽으로 광대코재까지 주욱 철쭉 능선을 따라 걸은 뒤 무남이재에서 계곡을 따르며 풍치가 어떤지 보기로 했다. 주차장 오른쪽 위의 화장실 뒤로 커다란 등산로 안내판이 뵌다. 그 왼쪽 옆의 족적을 따라 올랐다. 이 정도 시설을 해두었으면 등산로 정비도 잘 되어 있을 것이다. 

 

밤나무숲을 지나자 발자국이 희미해진다. 되내려오기도 하며 사방으로 뒤져보았지만 손을 봐둔 것 같은 길이 뵈질 않는다. 희미한 족적을 따라 500m 남짓 북동쪽으로 비스듬히 오르자 뚜렷한 길을 만난다. 이 길은 사곡리에서 시작된 오랜 등산로다. 걷는 편리함만을 따지면 사곡리쪽 길이 낫지만 사곡리쪽은 주차시설이 없다.

 

신록을 완상하며 천천히 올랐으나 때 이른 무더위에 걸음이 처진다. 줄곧 오르막이긴 하되 완경사이고, 간혹 앞이 훤히 트이는 조망처가 있어 설혹 저 위에 철쭉이 없다 해도 별로 섭섭치 않았을 것이다. 시간 반 남짓 소걸음으로 걸어 정상이 바라뵈는 곳으로 올라섰다. 왼쪽 옆으로 또한 뚜렷한 등산로가 나서는데, 이것은 사곡리에서 계곡으로 하여 정상 오르는 길이다. 북사면으로 임도가 나기 전엔 이 길이 초암산정을 오르는 가장 쉽고도 빠른 길이었다고 한다. 

 

남쪽으로 이렇게 200m쯤 떨어져서 바라보는 초암산정 일대는, 비록 정수리에 삐죽한 암봉을 얹었을 망정 푸근하게 품을 벌린 모양새다. 남향이라 따듯하고 한 가닥 산릉을 날갯죽지처럼 펼쳐 북새풍마저 막고 있는 초암산정 남사면엔 얼핏 보기에도 이미 10기는 넘을 무덤들이 자리 잡고 있다. 자손들은 이곳에 조상을 모시고 마음이 편했을 것 같다. 

 

 정상까지 휘익 치달아오르기가 아까워, 완보로 이모저모 뜯어보며 걸었다. 철쭉은 막 만개시기를 지나 엊저녁의 비바람으로 사뭇 많은 꽃송이가 떨어졌으나 전체적으로는 붉은 기운이 완연하다. 밝은 봄햇살이 내리쬐며 붉은 철쭉밭은 무르녹고 있다. 

 

산정에는 묏 산(山) 자를 추상화한 것 같은 형상의 한 무리 바윗덩이들이 얹혔다. 山자의 오른쪽 획을 길게 옆으로 잡아빼거나, 혹은 가운데 획을 과장되이 부풀린 듯한 추상적 서체로 서 있다. 그 암봉 중 하나에 올랐다.

 

철쭉밭은 이 정상 암봉 근처에서부터 북동릉을 따라 펼쳐졌는데, 어디가 끝인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붉은 기운이 길게 이어지고 있다. 경사와 넓이가 적당하고, 저 뒤로는 첩첩한 산릉이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로 펼쳐졌다. 좁고 길기만 하거나, 펑퍼짐하게 넓기만 한 그런 평범한 꽃밭과는 다른 뛰어난 구도를 보이는 철쭉밭이다.

 

정상 바윗덩이들은 큼직하긴 한데 윗면이 넓적한 것은 없어, 앉아서 쉴만한 곳은 못되었다. 다만 정상부 바로 옆에 널찍한 헬리포트가 있어 사람들은 거기에 자리를 펴고 앉는다.
정상 남쪽 바로 아래에서 북동쪽으로 넓고 뚜렷하게 이어진 길은 북사면의 임도로 이어지는 길이다. 철쭉 능선을 따르려면 그보다 30m쯤 더 나아간 지점의 삼거리에서 서쪽 능선길로 가야 한다.

 

여기 서쪽으로 빠져나와 바라보는 정상쪽 풍경은 정상 바윗덩이들로 멋진 조형미를 이루었다. 이모저모로 초암산정 부근의 철쭉 탐승을 두루 마친 뒤 등산로 안내판에 철쭉봉으로 표기된 봉을 향했다. 이름마저 철쭉봉이라면 그 주변 철쭉 풍치가 얼마나 대단할 것인가 하는 기대는 그러나 그 철쭉봉에 다다르기도 전 지루함으로 바뀌고 만다. 앞과 뒤로 끝없이 이어지는 철쭉화원에 우리는 그만 물려버린 것이다. 역광을 받아 빛나는 신록의 이파리들이 외려 꽃보다 더 아름다워 보이기 시작한다. 

 

철쭉 능선을 짚어 나아가는 동안 종종 북으로 뚜렷한 갈림길들이 나섰다. 남쪽으로도 두어 가닥 샛길이 있기는 했지만 북쪽으로 난 것이 한결 많다. 북쪽 임도로 차를 몰고 와 철쭉능선으로 오르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기 때문일 것이다. 초암능선 북쪽 임도는 비록 비포장길이지만 승용차도 아무 무리 없이 달릴 수 있을 만큼 노면 정비가 잘 돼 있고, 등산로 기점 부근은 다소 넓어 승용차 몇 대쯤은 충분히 세워둘 만하다. 

 

철쭉 구경하라고 벤치도 몇 개 놓아둔 쉼터, 밤골재 삼거리 지나 밤골재로 올랐다. 밤골재란 안내판이 섰기는 했지만 헬리포트가 닦여 있는 이곳은 재가 아닌 해발 605m의 봉우리다. 등산로 입구의 안내판에 철쭉봉이라 표기한 그 봉우리다. 정작 이 철쭉봉 주변에는 철쭉이 그리 많지 않다. 그보다는 신록의 능선 위에 넉넉한 양으로 흩뿌려둔 듯 저 멀리까지 붉그스레하게 철쭉의 주단이 펼쳐진 원경이 이곳에선 으뜸이다. 이렇게 보는 맛이 특히 좋았기에 철쭉봉이라 부르고 싶었던 모양이다. 

 

광대코재로 가는데, 왼쪽으로 또한 널찍한 갈림길이 뵌다. 능선에서 임도가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마침 나물 캐러온 아낙들이 철쭉밭에서 고개를 쳐든다. 철쭉화원은 정상에서 3km 멀리 떨어진 곳까지 따라왔고, 어떤 곳은 정상 근처보다 훨씬 더 꽃의 밀도가 높았다. 

 

호남정맥과 만나는 지점이자 정상에서 3.5km인 광대코재에 다다라 비로소 철쭉 잔치는 끝났다. 어림잡아 4km쯤 철쭉으로만 이어지는 이 초암산 능선을 우리는 십리 철쭉 능선으로 부르기로 했다. 

 

철쭉에는 이제 아무 미련도 없어 곧장 남쪽 무남이재로 내려섰다. 허리 굽혀 삼단 스틱을 짚어야 할 만큼 길이 가파르다. 무남이재는 저기 설악산 희운각 옆의 무너미재와 의미가 같은, 물줄기를 나누는 고개란 뜻일 것이다. 고갯마루의 등산로 안내판은 바람에 떨어져 내렸고, 넓은 임도가 지나고 있다. 

 

예상했던 대로, 수남계곡 경치는 경치랄 것도 없는 평범한 수준이다. 양쪽 산비탈에 깔린 신록과 깊은 산촌의 정적을 즐기며 주차장으로 걸어 내려갔다. 그러나 이 정적도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다. 목포-광양간 고속도로가 곧 이 계곡을 꿰고 지날 것이라 한다. 그 이후에도 초암산 철쭉은 여전히 붉고 광대한 화원을 이룰 것이지만, 연록색 신록의 바다가 배경이던 시절의 풍치에야 비교할 것인가. 어쩌면 초암산은 언제까지나 찾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은 한적한 철쭉 산으로 남게 될지도 모르겠다.

/ 글 월간산 2007 안중국 차장 

 

철쭉밭만 똑 따서 구경하고 내려올 수도

수남리 계곡 가운데를 지나는 목포-광양간 고속도로가 착공되면 초암산행은 정상 북쪽과 서쪽의 등산로에서만 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등산로를 이용해 철쭉 능선 구경도 충분히 하고 산행도 다소 길게 하려면 겸백면 소재지→정상→철쭉봉→금천리로 코스를 잡는다(약 7.5km, 5시간 소요). 그 역코스도 되겠지만 오름길이 가팔라서 한결 힘이 더 들 것이다. 금천리까지 택시료 6,000원.

 

초암산 철쭉

짧게 철쭉만을 보고 내려오려면 임도 중간까지 차를 가지고 가서 정상~철쭉봉 능선을 보고 다시 임도로 되내려오면 된다(면소재지→정상→철쭉봉 5.5km, 4시간 소요). 이후 임도로 택시를 불러 타고 차를 둔 겸백면 소재지로 되내려가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택시비 10,000원. 겸백 개인택시 061-853-6363, 2700, 6005. 철쭉철에도 대개 부르면 바로 갈 수 있다고 한다. 한편, 겸백면은 철쭉철로 겸백면 소재지의 폐교된 겸백중학교 운동장을 임시 주차장으로 개방한다.

 

초암산 북사면을 지나는 임도는 잘 정비돼 있으며, 연중 개방해둔다고 한다. 북쪽으로 펼쳐지는 풍경이 썩 괜찮은 편이니 드라이브를 해본다. 산중턱을 가로질러 달리던 임도는 광대코재 북동쪽의 안부에서 서쪽의 선암리 계곡으로 이어지는데, 이곳부터는 갑자기 굴곡이 매우 심하고 깊이 팬 곳도 나타나는 등 승용차는 도저히 갈 수 없는 상태이므로 차를 되돌려야 한다.

 

임도에서 철쭉봉까지는 1km 정도에 불과하므로 새벽 풍치도 한 번 구경해본다. 붉은 철쭉꽃무리 위로 붉은 아침 햇살이 쏟아지는 풍치는 대단하다. 초암산정에서 철쭉밭은 해가 떠오르는 남동쪽으로 펼쳐져 있다. 

 

봇재에서 긴 차나무 두둑들 한눈에 조망

다향 보성의 5월에서 단연 볼거리는 차밭과 철쭉이다. 차밭은 보성군내 전역에 걸쳐 분포하지만, 보성 남쪽 회천면 일대에 대한다원을 비롯한 큰 다원들이 여럿 모여 있다.


철쭉 만개철과 차를 수확하는 시기에 보성다향제가 열리므로 곳곳에 볼거리가 펼쳐진다. 주말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린다 싶으면 그냥 봇재 고갯마루의 휴게소에 주차하고 전망대에서 차밭을 구경해도 된다. 보성제1다원의 짙푸른 차나무 두둑들이 줄지은 모습이 한눈에 들며, 무료로 차 시음이 된다.

 

무료 차 시음장 또한 보성군내 곳곳에서 눈에 띈다. 이들 시음장 내에선 각자의 농원에서 만든 차를 비롯해 차를 재료로 만든 과자, 떡 등을 함께 판매하고 있다. 차만 마시고 간다 하여 아무 말도 않으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들러도 된다.

 

오랜 자연호 같은 남한 최고(最古) 발전용 호수 '보성호'

보성군에는 남한에서 가장 오래된 수력발전용 댐 보성댐이 있다. 1937년 준공되었으니 올해로 무려 만 70년이다. 이 보성댐으로 조성된 인공호 보성호는 70년이란 세월이 지나며 이제는 인공호라기보다는 자연호수에 가까운 풍치를 보인다. 호수 주변으로 무성히 자라난 수초와 심은 지 수십 년이 지나며 이제는 아름드리 노거수가 된 벚나무를 비롯한 수목들로 보성호는 깊고 그윽하다.

 

농사철에 다소 물이 빠진 느낌이 들 뿐 수력발전용으로 흘러나가는 물은 얼마 되지 않아, 갈수기엔 호안의 벌건 흙비탈이 드러나는 대형 인공호수들과는 달리 물 가득한 호수의 이미지를 좀체 잃는 법이 없다. 지나치게 넓지도, 농업용의 작은 저수지처럼 답답할 정도로 작지도 않은 편안한 넓이의 수면을 눈앞에 펼쳐보인다.

 

호수 남안으로는 중앙선이 그려지지 않은 ‘시골형’의 구불구불한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한 가닥 지나고 있으며, 거기 찻길이 있다는 사실을 깜박 잊을 정도로 통행량도 적어 호수는 늘 한적하다. 호숫가의 민가도 한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였다. 언제, 어디서 이런 아름답고도 그윽한 호수 풍경을 마주했던가.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보성호의 아침은 물이 찰랑거리는 소리뿐, 순수한 고요 속에 가라앉아 있다.

 

이 보성호반에 그림 같은 한옥 펜션과 황토방 방갈로들로 ‘청풍황토방’을 짓고 전국적인 명소로 가꾸어 보려던 박석기씨의 꿈은 그러나 예상치 못한 변수로 깨질 위기다. 외부의 소음을 막는 울타리 구실을 하던 집 뒤의 산릉을 으깨며 목포-광양간 고속도로가 지나게 된 것이다. 보성군은 득량만을 자랑하지만, 그 정도 해안은 흔하고 흔하다. 그보다는 이 희귀한 보석 같은 보성호의 고요한 풍치를 보존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숙박  겸백면소재지 남쪽 보성호반에 청풍황토방(061-853-4742)이란 멋진 업소가 있다. 한옥식 숙소, 독채로 된 황토방 방갈로 4동을 갖췄다. 호숫가의 정자에 앉아 보는 노을이 멋지다. 4인 가족이 머물 수 있는 5평형 객실 12만 원, 황토방갈로 50,000원. 풀어 키운 촌닭백숙 50,000원.

 

보성 읍내에 광일장모텔(061-852-66610, 금호장(853-9991), 굿모닝모텔(852-2131), 그린파크여관(853-2101), 나인모텔(852-5695) 등의 업소가 있다.
겸백면에서 약 25km 거리인 제암산 기슭의 제암산자연휴양림(061-850-5427)에서 머무는 것도 좋다. 철쭉철에는 1주일쯤 전에 예약해야 한다.
보성 남쪽 득량만 해안가를 드라이브 중

은빛바다펜션(061-852-1144)이라는, 은빛 바다가 시야 한가득 펼쳐질 둔덕에 자리 잡은 멋진 펜션을 보았다.

 

음식  차로 유명한 고장 보성은 녹차 잎을 먹여 키운 이른바 녹돈구이가 별미로 알려져 있다. 보성 곳곳에서 녹돈구이집 간판을 볼 수 있다. 보성군이 추천하는 보성읍내의 식당은 가마실식당(852-7645), 녹차골식당(852-3222), 녹황우식당(853-3336), 실비식당(852-2804) 등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