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대구광역시

대구 삼덕동 동성로 공평동카페골목 봉산문화거리

by 구석구석 2008. 1. 29.
728x90

 

 

 

 

젊음의 거리라 일컬어지는 중구 동성로 일대에는 20, 30대의 젊은층을 상대로 하는 다양한 주점들이 들어서 있다. 삼덕동 금곡삼계탕 맞은편에는 호프집들이 빽빽이 들어선 호프거리가 펼쳐진다. 1987년 뮌헨호프가 문을 연 후, 하나둘 생겨나기 시작한 이 호프집들은 독일풍의 실내장식과 활기찬 분위기로 손님들을 끌고 있다. 신선한 맥주를 저렴한 가격에 마실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이며, 안주도 구색을 갖추고 있다.

 

시끌벅적한 분위기에 부담없이 한 잔 하기엔 닭갈비집이나 소주방이 적격이다. 동성로나 대학가 주변에 성업 중인 닭갈비집은 철판에서 직접 구워먹는 매콤한 닭갈비맛이 일품이다. 손으로 뜯어먹는 양념통닭과 달리 먹기에 간편하며, 닭냄새를 없애 맛이 깔금하다. 가격이 저렴하며, 먹고난 양념으로 밥까지 비벼 먹을 수 있어 실속파들에게 인기가 높다. 

 

오코노미야키는 한마디로 일본식 빈대떡이다. 양배추와 파`새우`쇠고기`돼지고기`오징어 등 갖은 야채와 고기가 들어가는 철판요리로 우리나라의 부침개와 비슷하다. 오코노미야키 하면 대구에선 동성로 로데오 거리에 자리한 동명(東明`대구 중구 삼덕1가 053-252-1551)을 빼놓을 수 없다.

 

이곳은 2002년부터 오코노미야키 전문점으로서의 명성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는 것. 유해순(52`여) 사장은 “지금은 오코노미야키를 만드는 곳이 많이 생겼지만 2002년 당시만 해도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유 사장은 정통 오코노미야키 소스에 돈가스소스와 고추, 후추 등 7가지 재료를 섞은 자체 소스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씁쓸한 맛이 강한 일본 소스를 우리 입맛에 맞게 달콤하고 부드럽게 만든 것.

 

철판에서 20분 정도의 요리과정을 눈으로 지켜볼 수 있는 재미도 있다. 기다리는 동안 바싹 튀긴 새우 머리와 다리도 맛볼 수 있다. ‘스페셜치즈오코노미야키(사진)’를 맛봤다. 새콤하면서 푸짐한 치즈 덕분에 고소함이 입안에 가득하더니 마지막으로 오징어가 아삭아삭 씹힌다. 맥주나 사케(일본 청주)를 한 잔 들이킨 뒤 안주로 제격이다. 매일신문 전창훈기자

 

 

삼덕동 삼덕성당 뒷골목은 젊은이들 사이에 ‘공평동 카페골목’으로 불린다. 정확히 언제부턴가는 모르겠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이런 별칭이 붙은 것만은 분명하다. 이 골목은 다른 동성로 번화가와 달리 행인들의 모습이 뜸하고 너무 조용하다. 어찌보면 동성로에서 소외당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이 골목은 아기자기한 카페들이 하나 둘 생기면서 동성로에서도 이른바 ‘뜨는 명소’다.

 

이탈리안 레스토랑 ‘aBOUT’(어바웃. 053-424-7171)

 

과거 그리스 산토리니를 배경으로 하는 CF가 있었다. 옹기종기 모인 하얀 집들이 파란 하늘을 이고 있는 모습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다. 카페 어바웃은 마치 그 마을의 한 카페를 옮겨놓은 듯한 착각을 준다. 하얀색의 외벽들과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통유리가 전부다. 하지만 거추장스럽지 않고 깔끔하면서도 산뜻한 이미지에 괜스레 눈길이 간다. 외벽 한쪽에 메뉴판을 전시해 놓았다. 굳이 카페에 들어가지 않아도 무엇을 먹을 수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주인장의 남다른 센스가 돋보인다.

 

이 카페는 외형과 실내 모두 하얀 콘셉트의 유럽 스타일이지만 사실 1949년에 지어졌다는 한옥집을 개조했다. 실내 지붕은 아직 세월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 듯한 거무튀튀한 나무기둥들로 얽혀있다.

 

하얀 콘셉트를 선택한 것도 이같은 거무튀튀한 원목과 ‘언밸런스’적인 색깔을 대조시켜 캐주얼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자아내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 원목으로 된 탁자와 의자를 배치하는가 하면 4인용 식탁 외에 긴 식탁을 마련해 따뜻한 느낌을 준다. 철제 의자나 탁자는 왠지 딱딱하고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원목을 최대한 활용한 것.  전체적으로 실내는 여백의 미가 돋보인다. 구성 자체가 단지 밋밋하지 않을 정도로 최소화돼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하얀 벽면에 걸려 있는 자그마한 액자들이나 아기자기한 각종 소품들의 배치 등이 적절하게 휑한 느낌을 없애주고 있다.

 

이곳 메뉴판에 다소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가격이 소수점으로 표시된 것.  예를 들어 1만7천원이면 17.0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카페엔 서울 카페들처럼 ‘브레이크타임’이라는 것이 있다. 정오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영업을 했다 잠시 문을 닫고 다시 오후 5시부터 자정까지 영업을 재개한다. 매일신문 전창훈기자

 

 

 

대구의 인사동

1년 내내 미술작품 감상이 가능한 '봉산문화거리'

( www.bongsanart.com )

 

반월당 네거리에서 봉산 육거리쪽으로 가다보면 대구학원에서 건들 바위가는 거리가 봉산문화거리다. 

 

서울에 인사동이 있다면, 대구에는 봉산문화거리가 있다. 대구를 대표하는 문화예술 거리인 ‘봉산문화거리’는 1980년대 중반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화랑이 하나 둘 모여들어 좁은 골목이었던 이곳은 1991년에 이르러 문화예술의 거리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미술관련 재료 판매, 표구 제작, 동양화 판매 등이 주로 이뤄졌지만 현재는 크고 작은 화랑에서 다양한 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있어 수준 높은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한국관광공사 국내온라인팀 김수진 기자

 

봉산문화거리는 대구를 대표하는 문화예술의 거리이다. 봉산동 대구학원에서 봉산육거리에 걸쳐 펼쳐지는 이 거리에는 크고 작은 화랑 20여 개가 빽빽이 들어서 있다. 화랑 몇몇이 몰려 있던 좁은 골목이 문화예술의 거리로 변모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1년의 일이다. 날로 증대되는 대구시민의 문화적 욕구를 수용할 만한 공간으로 이 화랑골목이 선정된 것이다. 그 후 이 거리는 도로가 깨끗이 포장되고, 고풍스런 가로등과 화단으로 단장되며 해가 다르게 변모해갔다.

 

봉산문화회관, 청소년문화의집이 생기면서 찾는 사람도 전문예술가에서 일반시민으로 그 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봉산문화거리에는 1년 내내 작품전이 개최되고 있으며, 봉산미술제가 열리는 10월이 되면 거리는 온통 축제의 열기에 휩싸인다.

 

신미화랑 / 053-424-1442  1984년 개관이래 대관전과 다수의 초대전,기획전을 병행함과 아울러 다양한 예술활동을 폭넓게 수용하여 미술인의 창작활동 신장 및 시민들의 미술소양 향상과 즐거움을 더해줄 아늑한 미술전문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송갤러리 / 053-426-1515   

내부 전시장 크기는 약 30여평이며 바닥은 원목으로 되어있고 조명시설은 형광등, 쿨빔, 할로겐, 스포트 등 다양하게 갖춰져 있으며, 완벽한 냉·난방 시설과 고급 음향시설, 고급 인테리어를 자랑한다. 화랑 운영은 서양화를 주로 취급하고 있고 초대전 및 기획전 위주로 운영하되 약간의 대관전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유능한 작가의 창작지원과 미술인구의 저변확대, 투명한 미술품 거래, 미술문화 수준향상을 휘해 노력하고 있는 화랑이다.

 

갤러리소헌 / 053-426-0621  1991년 대구시 중구 봉산동에서 개관한 이래 지난 10여년간 대구를 대표하는 대가 변종하 화백의 귀향 특별초대전을 비롯 출향 및 향토의 미술인들의 전시인 달구전 초대, 젊은 신예작가의 공모를 통한 발굴과 길트기를 위한 기획전시에 주력하였으며, 봉산동 문화거리에서 상대적으로 소개가 소외되어 있던 한국화와 현대미술에 대한 미술애호가의 인식을 확장시키려는 역할에도 주력.

송아당 화랑 053-425-6700  

작가들과 미술 애호가들의 열린 공간을 마련하고자 1980년 개관, 1990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여 현재 대구 유일의 문화거리인 봉산문화거리 지정에 기여했다.(1992년 중구청 지정)


미술인들의 왕성한 창작활동을 뒷받침하고, 고객들에게 작품 감상의 폭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미적 공감대를 형성시켜왔다. 대내외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원로, 중견 작가들의 유화, 한국화, 조각, 판화, 수채화 작품들을 소장하여 상설전시 하고, 대구, 서울등 타 지역 유명작가들의 작품유치에도 꾸준이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기획전시를 통해 미술 애호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 누구나가 수준 높은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문화공간' 으로서의 화랑이 되고자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