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충청북도

보은 눌곡리 풍림정사 호점산

by 구석구석 2008. 1. 29.
728x90

당진상주고속도로가 개통되며 교통이 편리해진 곳이 피발령과 수리티재로 둘러싸인 회인면이다. 

 

 월북 작가 오장환 시인이 어린시절을 보낸 회인. 회인 소재지를 막 벗어나 오른쪽 대청호 방향으로 접어들면 회인면 눌곡리 길가에 수령이 오래된 아름드리 은행나무가 서있다. 은행나무 뒤편의 풍림정사(충북기념물 제28호)는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인 호산 박문호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872년에 세운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자물쇠가 채워져 출입할 수 없지만 한때 박문호 선생이 성리학을 연구하고 후학들을 길러내던 곳이다.  

 

 

 

풍림성사란 편액은 입재 송근수의 글씨이고 풍림정사기, 풍림강업서, 여담간명서 등의 현판과 회암의 연비어약의 글씨 현판이 보존되어 있다. 또한 박문호의 문집인 호산집의 사각판본과 목활자 일부가 남아 있다.

 

 

풍림정사 후면에는 1906년에 건립된 후성영당이 있는데 주희 이이 송시열 한원진의 모사본 영정을 봉안하고 제향을 올리던 곳으로 1921년 박문호의 영정을 추가 봉안하였는데 박문호의 영정은 그의 64세때 모습을 이춘화가 1912년에 사진을 보고 그린 것이다.

 

용곡3리에 있는 자연부락의 이름이 재미있다. 마을 앞에 용두산이 있어 ‘용머리’, 절 밑 산에서 쇠가 나왔다고 하여 ‘쇠푼이’, 뒷산에서 두견새가 울었다고 하여 ‘우레실’이다. 그중 호점산성 아래에 있는 우레실마을은 13호의 농촌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 사는 작은 마을이다. 버스가 1시간 간격으로 청주와 보은을 오가지만 정류장까지는 족히 40여분은 걸어야 한다. 주민들 대부분이 몸이 아픈 노인들이라 정류장이 멀기만 하다.

 

 

호점산성 주변의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 중 하나가 돌로 쌓은 담이나 밭둑이다. 우레실마을 가는 길에 있는 용머리마을의 돌담들이 호점산성을 빼닮았다. 산성을 쌓은 기술로 돌담을 쌓았는지, 돌담을 쌓던 기술로 산성을 쌓았는지 아리송하다.

 

열악한 교통여건 때문에 오지 마을의 삶은 고달플 수밖에 없다. 마을 입구에서 만난 안준호 노인은 감을 한 지게 짊어지고 마을 뒤편에 있는 장고개(일명 왕재)를 넘어 지금 청남대 주차장이 있는 문의장을 다녀오느라 하루해가 짧았던 시절을 얘기했다. 그러고 보니 이 마을뿐만 아니라 회인면에 감나무가 유난히 많다.

농촌의 현실이 다 그렇듯 우레실마을에 초등학생이 한 명도 없다. 그래서 전 이장 이철재씨의 유치원에 다니는 아들 둘이 이 마을의 보배다. 취나물과 도라지를 재배한다는 안준호 노인은 촌에서는 욕심 부릴 것도 없는데 교통이 불편한 오지라 몸 아프지 않는 게 소원이란다. 동아닷컴 2008.6 추억과 낭만 찾기


571번도로에서 용곡으로 들어가는 다리를 건너 첫마을이 용머리이고 그 서북으로 회룡 야영장쪽 골짜기를 따라 올라가면 이 산성의 가장 낮은 곳인 동문터로 들어가게 된다
 

 

 

용곡리의 작은 주차장 옆에 호점산성 안내판이 서 있다. 녹음으로 우거진 산이 앞을 가로막아 초입부터 힘이 든다. 길에도 풀이 무성해 등산객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알게 한다. 살이 통통하게 찐 멧돼지 새끼 한 마리가 우리가 가고 있는 길을 앞에서 걷다가 유유히 사라진다.

산 아래에 있는 산성을 구경하고 작은 나무다리를 건너면 경사가 급한 비탈이 한참 이어진다. 이런 곳에 어떻게 산성을 쌓았는지, 산성을 쌓을 필요가 있었는지를 생각하며 30여분 동안 숨을 가쁘게 내쉬고, 땀을 줄줄 흘려야 한다.

일단 능선에 오르면 성벽을 따라 아름다운 소나무들이 많고, 오르막과 내리막이 적절하게 반복되어 산책하기 좋다. 이곳의 산성은 손길을 타지 않아 더 가치가 있다. 잘못 복원해 본래의 모습을 잃은 다른 곳의 산성과 달리 원형 그대로의 성벽을 수시로 만난다.

 

호점산성은 사방이 높은 산봉우리이고, 중앙에 넓은 계곡이 있는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보은군 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성터이고, 성벽이 가장 특이한 모양으로 쌓여졌으며, 고려시대 이 지역의 역사를 가늠케 하는 중요한 산성이다.

남쪽의 높은 봉우리는 358.9m의 ‘치알봉’이다. 잔치 때 햇빛을 가리거나 비를 피하기 위해 가운데 기둥을 세우고 치알(차일)을 쳤는데 산봉우리의 모양이 뾰족해 이름 붙은 듯하다. 이 치알봉을 정상으로 하여 4개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안부를 돌려 축조되었으므로, 성안에는 7~8개의 골짜기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