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9공수5 특전사 9공수특전여단 귀성부대 9공수특전여단 귀성부대 / 9th Special Forces Brigade (Airborne)인천시 장수동에 주둔51대대(멧돼지) 52대대(황소) 53대대(독사) 55대대(악어)다른 특전여단들이 주로 맹수와 같은 동물을 상징으로 하는 것과 달리 여단은 무시무시한 도깨비를 부대 상징으로 쓰고 있다. 그래서 여단 애칭 역시 ‘귀성부대’다.귀성은 주작의 일곱 개 별 중 가장 빛나는 별로, 영원불멸의 불사성과 같이 항상 승리하는 여단을 상징한다. 왕도깨비의 눈은 천리안과 같이 적을 들여다보는 여단의 능력을, 얼굴 좌우로 뻗어있는 날개는 신출귀몰하는 특전부대원의 특징을 나타낸다. 머리 위쪽 낙하산은 여단이 임전무퇴의 특전부대라는 것을 보여준다.ㅇ 귀성부대를 상징하는 ‘귀’는 사방신 중 남방을 지키는 신령인 주작의.. 2024. 8. 1. 9공수특전여단 귀성부대 정찰대 특임대 ■ 9공수특전여단 / 귀성부대 예하대대는 51특전대대(멧돼지) 52특전대대(황소) 53특전대대(독사) 55특전대대(악어)가 있다. 대대는 3개의 지역대, 지역대는 5개의 중대(팀원 12명)로 구성되어 있다. 팀은 작전시에 2개조로 나뉘어 움직일 수 있도록 2명의 복수 특기(폭파 화기 의무 통신 작전)로 편재되어 있다. 9여단이 해상특화여단이며 55특전대대(악어대대)가 해상대대라 UDT교육 수료자가 많이 배치되어 있다. 12.12군사반란때 반란군과 협조하지 않고 육본을 따르던 특전여단이었다. 당시 윤흥기여단장은 하나회출신이 아닌 갑종장교출신으로 하나회원들로 이루어진 군사반란자들의 영향력 안에 있지 않았다. 그래서 정상적인 명령계통에 따라 특전사령관 정병주의 명령에 따랐다. https://youtu.be/h.. 2023. 11. 15. 9공수특전여단 55특전대대 악어대대 잇빨대대 ■ 9공수특전여단 55특전대대 악어대대9공수여단 귀성부대의 4개 특전대대중의 하나로 부천에 주둔한다. ㅇ 귀성부대 악어대대가 태안에서 해상 특수작전 능력 배양을 위한 고강도 해상침투훈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훈련은 특전대원들의 적지 해상침투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대대는 전시 해상 은밀침투 능력과 장비 운용 능력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춰 특전대원 150여 명과 고무보트 등 장비 20여 종을 투입했다. 특히 특수전학교에서 해상척후조 교육을 이수한 베테랑 특전대원들이 참가해 다른 부대원들에게 해상 은밀침투 노하우를 공유, 훈련의 전문성을 높였다. 특전대원뿐만 아니라 지역방위사단인 32보병사단 해안경계부대와 연계해 서로 대항군 역할을 하면서 실전 같은 ‘적이 있는 훈련’으로 효과를 배가.. 2021. 11. 24. 9공수특전여단 / 53특전대대 독사대대 ■ 9공수특전여단(귀성부대) 53특전대대 9공수의 4개특전대대중의 하나로 부천에 주둔하고 있다. 53대대가 우리는 이긴다(헤이) 이기고 만다 / 전우애와 책임정신 바탕위에(위에) 강철같이 단결(단결) 날으는 독사(독사) / 당할자 누구냐 53대대 △ 9공수특전여단 독사대대 2중대(중대장 김수현대위)가 2017년 ‘최고 중의 최고’ 특전 팀으로 선정, 탑 팀(Top-Team)의 왕좌에 올랐다. 참가 팀들은 5일간 주특기, 팀 단위 침투 기술 및 전술적 상황 조치 능력 등을 겨루며 치열한 경쟁을 펼쳐왔다. 특히 무박 3일간 진행된 팀 전술훈련 평가에서 참가 팀들은 적 후방 침투, 특수정찰·타격, 항공화력유도 등 고도로 숙련된 특수작전 수행 능력을 과시했다. ㅇ서킷트레이닝이란 다음의 종목을 1회씩 3세트를 한.. 2021. 11. 24. 9공수특전여단 귀성부대 52특전대대 황소부대 ■ 9공수특전여단 52특전대대 황소대대ㅇ여단예하의 4개 특전대대중 하나로 부천에 주둔하며 2007년도에는 레바논 동명부대에 대대원 200여명이 파견되었고 월남전이후 전투부대로 동티모르 상록수부대가 파병되었는데 52대대가 2001년도에 4진(단장 이정하대령)으로 나갔다. 상록수부대의 임무는 UN의 임무수행 지원 및 인도적 구호활동을 지원하며, 순찰, 검문, 경계 등을 통해 무장세력간의 접촉을 차단하고, 살인, 방화, 약탈 등 현지 무장세력의 범죄행위를 저지하는 치안, 안전 유지 와 난민 호송 및 특정 인원과 지역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다.ㅇ'호메'마을 사업은 상록수 4진부터 시작되었다. 새마을 운동의 성공 사례를 본보기로 부대 옆 '호메'마을 주민들의 '자립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해 마을에 우물설치를 지원.. 2021. 11. 24.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