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3함대5

3함대 근무지원대대 기지지원대대 ㅁ 3함대 / 영암기함은 전북함(FFG-813)이며 사령관 소장급이다.제3함대는 1946년 9월 24일 조선해안경비대 부산기지로 창설됐고, 1986년 제2해역사령부(부산)·제3해역사령부(목포)·제6해역사령부(제주)를 통합해 제3함대(사령부: 부산 감만동)로 재편됐다.20만㎢로 우리나라 해역의 54%에 달하는 남쪽의 광활한 해역을 맡고 있는 해군 제3함대는 해상전투(1~2함대)보다는 대침투작전(북의 간첩선)을 위주로 하는 함대이다. 천안함사건으로 기함인 양만춘함을 2함대에 넘겨주면서 DDH는 한 척도 보유하지 않고 있으며 후방이기에 신형함이나 장비 우선 배치순위에서도 제일 뒤로 밀린다. 육군의 2작사쯤 되는 듯하다. ㅁ 기지지원대대(근무지원대대) ㅇ해군3함대 기지지원대대 소속 전상규 상병은 지난달 29일 .. 2024. 7. 4.
3함대 직할대 / 부산항만방어전대 ■ 3함대 Republic of Korea Navy 3rd Fleet/ 영암 목포기지 20만㎢로 우리나라 해역의 54%에 달하는 남쪽의 광활한 해역을 맡고 있는 해군 제3함대는 해상전투(1~2함대)보다는 대침투작전(북의 간첩선)을 위주로 하는 함대이다. 부산 용호동 신선대로 작전사가 들어오면서 목포해역방어사령부를 해체하고 2함대가 이곳으로 이전하였고 3함대는 목포기지로 이전함. 1함대는 동해상의 대잠전, 2함대는 해상공방전, 3함대는 대침투전을 위주로 하고 있기에 북의 반잠수정이나 공작선의 대침투훈련을 주로 하는데 함대중에 제일 전력이 약하다. ■ 직할대 / 부산항만방어전대 ㅇ 308조기경보대대 / 261해상전탐감시대, 266해상전탐감시대 (욕지도), 232전진기지대 부산항만방어전대는 부대 이름 그대로 .. 2023. 9. 2.
3함대 / 군사경찰대 화생방대 ㅁ 3함대 /20만㎢로 우리나라 해역의 54%에 달하는 남쪽의 광활한 해역을 맡고 있는 해군 제3함대는 해상전투(1~2함대)보다는 대침투작전(북의 간첩선)을 위주로 하는 함대이다.부산 용호동 신선대로 작전사가 들어오면서 목포해역방어사령부를 해체하고 2함대가 이곳으로 이전하였고 3함대는 목포기지로 이전함.ㅁ 군사경찰대대 ㅇ 항만방호 및 해상교통로 훈련적의 잠수함(정)이 우리 항만을 봉쇄할 것을 대비해, 항만을 방호하고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훈련을 동시에 실시한다. 3함대는 이 훈련에서 적의 잠수함(정)을 이용한 도발을 응징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해, 언제든지 우리 항만을 안정적으로 지켜낼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전시에 적이 대량살상무기(WMD, Weapon of Mass Destruc.. 2021. 4. 18.
3함대 상승함대 목포기지 3함대 Republic of Korea Navy 3rd Fleet/ 영암 목포기지20만㎢로 우리나라 해역의 54%에 달하는 남쪽의 광활한 해역을 맡고 있는 해군 제3함대는 해상전투(1~2함대)보다는 대침투작전(북의 간첩선)을 위주로 하는 함대이다.부산 용호동 신선대로 작전사가 들어오면서 목포해역방어사령부를 해체하고 2함대가 이곳으로 이전하였고 3함대는 목포기지로 이전함.ㅇ직할대/ 근무지원대대 부산항만방어전대 지휘통신대대ㅇ제3해상전투단/ 제31전투전대 제32전투전대제31전투전대는 1함대 11전대, 2함대 21전대와 달리, 구축함은 없고 호위함도 울산함 서울함이 퇴역하고 충남함이 남았다가 퇴역한후에는 인천급 호위함인 전북함이 기함으로 배치되었다. 2018년 울산급 6번함인 전남함이 2함대에서 옮겨왔다 퇴역했.. 2021. 4. 15.
제3함대 UDT/SEAL 8구조작전중대(SSU) 3함대 Republic of Korea Navy 3rd Fleet3함대 기동훈련중 대테러훈련을 하는 UDT/SEAL 3함대, 서해서 대량살상무기 해양확산차단 훈련 실시…‘자유의 방패’ 한미연합연습 일환 자유의 방패(FS·Freedom Shield) 한미연합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훈련에는 호위함 전북함과 광주함(FFG-Ⅰ, 2500t급), 고속정(PKMR, 230t급) 등 해군 함정 3척과 해상기동헬기 UH-60 1대, 특수임무대(특임대) 장병들이 참가했으며, 3000t급 해경함 1척도 투입돼 합동작전 능력을 강화했다. 훈련은 정·첩보를 통해 WMD 확산물질 적재 의심 선박을 전북함이 레이더로 식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전북함은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을 대상으로 식별을 위한 통신 검색를 .. 2019. 2.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