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구축함4 1함대 1해상전투단 양만춘함 ㅁ 1함대 / 선봉대 / 동해시동해가 파도가 높고 대잠활동을 하기에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척중에 광개토대왕함과 양만춘함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함정은 청해부대에 배치되고 있다.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 묵호기지로 처음 창설되어 1986년 1함대로 개편되었다. 모항은 동해항이며 사령부는 송정동에 있으며 고성 양양 삼척 울진 울릉도 포항 등에 전진기지나 방어전대가 있다.1함대는 소수의 대형 함정을 멀리 내보내서 오랜 시간을 맷집으로 버티는 구조이고, 2함대는 다수의 중소형 함정들을 교대로 투입해서 빠른 기동성으로 경계를 한다.1함대는 북한 러시아 일본의 잠수함을 상대하기에 대잠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음탐사들이 많이 배치되어 있고 특수전전단의 3특전대대, 해난구조전대의 6구조작전중대가 파견되어.. 2024. 6. 5. 이순신급 구축함 문무대왕함 [조종원기자의 국군무기도감]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문무대왕함4400톤급 한국형 구축함, 대양해군 발돋움 선도 ‘2004 환태평양 훈련’서 함대공 미사일 SM2 명중세계에 대한민국 해군·조선산업 우수성 알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인 문무대왕함은 4400톤급 구축함으로 그동안 제한됐던 원해작전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한국 해군이 대양해군으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 구축함은 길이 150m, 폭 17.4m이고, 가스터빈과 디젤엔진 각 2대로 선체를 추진시킨다. 최대 속도는 29노트이며 항속거리가 4000마일 이상으로 먼바다에서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현대 해전의 양상이 함포전보다는 유도탄전·전자전·대공전 위주로 발전함에 따라 함대공유도무기체계(SAM·Surface-to-Air Missile)와 대.. 2024. 5. 9. 7기동전단 7전단 기동함대 ㅁ 해군작전사령부 / 부산 해군기지ㅇ 해작사의 사령관은 중장이며 한미연합사의 평시 해군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한다. 부산기지는 좁아 여전히 주력함들은 진해에 정박하고 있다.ㅇ 1함대(동해) / 2함대(평택) / 3함대(영암) / 잠수함사령부 / 해군항공사령부 / 5기뢰전단 / 7기동전단 / 8전투훈련다 / 특수전전단 / 해양정보단 ㅁ 7기동전단 / 제주 강정기지 기동함대사령부로 증편 ㅇ 해군7기동전단(7전단)은 변화하는 동북아 안보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전투력을 갖춘 신속대응 전력 운용을 위해 지난 2010년 2월 1일 부산 해군작전사령부에서 창설됐다. 이후 2015년 12월 22일, 제주민군복합항으로 이전했고, 2018년 9월 1일부로 77기동군수전대가 예속되면서 남방 해상교통로 보호를 위한 본격적인 .. 2024. 2. 6. 세종대왕급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 지난 22일은 해군 최초의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이 정식으로 취역한 지 10주년이 되는 날이다. 세종대왕함은 지난 10년간 우수한 작전능력을 인정받으며 국가안보의 핵심전력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이지스구축함은 1985년 한국형 구축함 사업의 일환으로 처음 소요가 제기, 2004년 11월 1번함인 세종대왕함 건조가 시작됐다. 세종대왕함은 2007년 5월 25일 진수식을 거쳐 2008년 12월 22일 취역했다. 세종대왕함의 취역으로 우리나라는 세계 5번째 이지스함 보유국이 됐다. 세종대왕함은 미국 록히드마틴의 SPY-1D 레이더를 중심으로 한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 공중 표적을 최대 1000km 밖에서 탐지하고, 100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추적해 2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다. 이같은 .. 2023. 2.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