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서울 한강

서대문구 홍제천 - 백사실계곡 - 북악스카이웨이

by 구석구석 2022. 7. 22.
728x90

 

백사실 계곡과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 / 12.2km / 5시간내외

구불거리는 숲길에서 길의 소실점은 찾아낼 수 없다. 북악 스카이웨이에서는 직선으로만 뻗을 것 같은 자동차 길도 예외가 아니어서 커브의 뒤태를 감추는 은근함을 내포한다. 이러한 은근함은 찻길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에서도 그대로 접목된다. 삭막할 것 같은 찻길 옆 산책로는 길 찾기의 부담감 없이 산보객들을 종로구 숲길에서 성북구 숲길로 옮겨다 놓는다. 그 전에 걷는 백사실 계곡은 짧으면서도 도심 속 비밀정원다운 아련함을 풀어낸다. 또 그보다 전에 지나는 홍제천은 고려시대의 걸작인 보도각백불과 홍지문, 세검정을 보며 나아가는 역사의 길이기도 하다.

홍제역~홍제천길(홍지문) 50분/2.7km

지하철 3호선이 지나는 홍제역에서 첫발을 내딛는다. 1번 출입구를 나서면 가뜩이나 좁은 인도에 여러 시설물이 들어서면서 더 번잡해진 거리로 나오게 된다. 나온 방향 그대로 3분 정도 가다 유진상가 전 작은 찻길을 건너지 말고 오른쪽으로 방향을 튼다. 5분 정도 걸으면 만나는 효제약국 앞에서 길을 건너면 홍제교 옆으로 홍제천 물줄기를 따라 걸을 수 있는 천변길로 내려갈 수 있다. 그곳부터 맑은 물이 눈을 시원하게 닦아내는 홍제천길이 시작된다. 하지만 홍제천길은 다른 천변길보다 도회적이다.

물줄기 양옆으로 석축이 직각으로 섰고 그 위로는 찻길까지 놓였다. 심지어는 물길 위로 교각을 세워 닦아놓은 내부순환 고가도로에 하늘 조망권을 침해받기도 한다. 이런 주변 환경 때문에 홍제천길 옆으로 관목을 심고 야생화도 식재했지만 이 구간만큼은 걷기 코스로 후한 점수를 받기 어려울 것 같다.

홍제천에서는 고려시대 석불인 보도각백불 앞에서 멋진 풍광을 맞닥뜨린다.

물줄기와 수평을 이루던 홍제천길은 15분 정도 지나면 물줄기를 위에서 내려다보며 걷게 만든다. 그리고 곧 천변 너머 절벽 밑으로 신비로운 자태의 누각과 그 안에 모셔진 백불(白佛)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백불 앞을 흐르는 홍제천은 지금까지 걸으며 보았던 팍팍한 도심의 물줄기가 아니다. 백불 앞 홍제천은 천연덕스럽게도 자연계곡의 멋들어진 모습으로 순식간에 바뀌어 있다. 절벽을 이루는 탕춘대 능선의 끝자락과 옥천암 암자의 전각들이 만나면서 자연과 인공이 어우러지는 한국적인 공간미가 볼 만하다.

보도각백불 쪽으로 건너가는 다리를 지나 백불을 보고 다시 나와 홍제천길을 계속 걷는다. 10분 만에 탕춘대성의 성문인 홍지문(弘智門에 다다른다. 숙종 45년에 탕춘대성과 함께 세워진 홍지문은 1921년에 허물어진 것을 1977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한북문이라고도 불렸던 홍지문의 편액은 숙종이 친필로 직접 하사한 것으로 알려진다.

백사실 계곡~북악 스카이웨이 입구 50분/2.4km

홍지문을 지나면 곧 상명대학교로 향하는 입구이기도 한 세검정사거리다. 세검정 방향으로 길을 건너 5분만 가면 인조반정에서 이름의 유래를 찾는 세검정(洗劍亭) 정자가 있다. 칼을 씻는다는 뜻의 이 정자는 인조반정 때 이곳에서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그 앞 바위에서 칼을 갈아 날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 인조반정에 성공한 몇몇 공신이 피 묻은 칼을 이곳에서 씻었다는 말도 있다. 그랬거나 말거나 이곳은 예부터 경치가 아름다워 인조반정이 있기 오래전부터 정자를 세워 풍류를 즐기던 명소였다고 한다. 지금도 정자 앞의 너럭바위를 돌아 떨어지는 계류의 유려한 흐름이 지나는 이들의 마음을 시원하게 적셔준다.

세검정 정자를 지나면서 정자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면 앙증맞게 좁은 산책로를 몇십 미터 걷게 된다. 그리고 개천 옆에 조성된 체육공원 쉼터를 따라 걷다 천을 건너는 다리를 지나 계속해서 상류로 향한다. 왼쪽으로 휘어지는 물길 옆을 5분 정도 걷다 오른쪽에 ‘패밀리마트’ 편의점이 나오면 그곳을 끼고 오른쪽 골목으로 들어간다. 이후로 백사실 계곡까지 가는 길은 골목길 갈림길마다 안내판이 안내를 한다. 혜문사라는 절 이정표도 같은 방향이니 참조하자.

비 온 직후에 찾은 백사실 계곡.

백사실 계곡은 현통사라는 사찰 앞을 지나면 물줄기와 함께 길을 내어주기 시작한다. 비가 내린 직후에 찾으면 위풍당당한 계곡 물줄기에 속이 다 후련해질 것이다. 특히 현통사 앞은 낙차가 큰 폭포가 형성되어 일부러 수량이 많을 때 찾아오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필자는 우렁차게 흐르는 물보다는 부끄럽다는 듯 졸졸졸 흐르는 물줄기가 백사실 계곡과는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이곳은 은밀한 비밀정원의 느낌이 강하다.

물줄기를 따라 닦여 있는 길을 오르면 백사 이항복 대감의 별장터였다는 넓은 연못 공터에 다다른다. 이곳에서 잠시 쉬었다 다시 물줄기를 왼쪽에 두고 큰길을 따라간다. 그럼 얼마 가지 않아 부암동 주택가가 나오며 백사실 계곡의 비밀스런 숲길은 마무리된다. 부암동 골목길을 만나면 왼쪽 담뱃가게가 있는 쪽으로 나아간다. 포장된 골목길을 따라 10분 못 미쳐 가면 노란 폴크스바겐 자동차가 있는 산모퉁이 카페 앞을 지난다. 
 

한양에서 경치 좋은 두 곳 중의 하나로 꼽혔던 백사실 계곡의 백석동천 표지석.

산모퉁이 카페를 지난 지 3분 만에 왼쪽으로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로 향하는 중요한 갈림길을 만나니 갈림길에 신경을 바짝 써야 한다. 이 갈림길에 특별한 이정표는 없고 왼쪽으로 조그만 주차장과 함께 가정집으로 올라가는 작은 계단이 있다는 정도만 설명할 수 있다. 또 입구 전봇대에 ‘art for Life’라는 보라색 이정표가 붙어 있기도 하다. 이 골목은 포장길이지만 곧 양옆으로 우거진 숲이 그늘을 드리운다. 잠깐 오르막을 오르다가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북악 스카이웨이 찻길이다.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한성대입구역 2시간30분/7.1km

 
북악 스카이웨이 찻길에서 오른쪽으로 가다 왼쪽으로 건널목을 건너면 곧바로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의 종로구 구간입구가 시작된다. 이곳에 화장실과 벤치 등이 있으니 잠시 쉬어가는 게 좋겠다. 여기부터 북악 스카이웨이 찻길을 오른쪽에 두고 걷는 산책로는 온전히 숲길이라 할 수 있다. 아주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차츰차츰 고지를 향하는 이 길은 걷기를 막 시작한 입문자에게 적당한 수준이다. 아까시나무가 식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참나무가 조금씩 아까시를 밀어내며 영토를 확장하는 형국이다. 곳곳에 식재된 소나무와 잣나무는 바람결에 향긋한 솔향을 선사하기도 한다. 
 

이제 막 걷기를 시작한 입문자가 걷기에 좋은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에 진입한 지 30분 만에 북악산과 북한산이 바라보이는 팔각정 휴게소에 닿는다. 잠시 다리쉼을 하고 20여 분을 더 걸으면 북악 스카이웨이의 종로구 구간이 끝나고 성북구 구역이 기다린다. 성북구의 시작은 나무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만나는 하늘마루 쉼터이다. 하늘마루는 북악하늘길 2코스인 일명 김신조 루트의 들머리가 되기도 한다. 특히 김신조 루트 입구의 하늘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북한산 보현봉 모습이 압권이어서 하늘전망대만큼은 들렀다 가길 권한다. 

하늘전망대를 다녀온 후 다시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 걷기를 잇는다. 여전히 찻길을 오른쪽에 두고 걷는다는 느낌을 그대로 갖는다면 길 찾기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다모정 정자가 있는 쉼터를 지나 25분 정도 더 가면 길이 끊어지지만 찻길 너머로 산책로가 다시 이어진다. 이곳에는 보행신호등이 있으므로 안전하게 건널 수 있다. 건널목을 건너 10분 정도 더 가면 북악하늘길의 시작과 끝이 되는 하늘한마당이다. 

북악 스카이웨이 산책로에서는 찻길 옆에 조성됐다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울창한 숲길을 만난다.

성북구민회관 쪽으로 내려가면 15분 만에 코스가 마무리되는 한성대입구역(6)에 도착할 수 있다. 단, 이 길은 찻길 옆 인도가 좁고, 일부 구간은 인도가 없으므로 주의해서 걸어가야 한다.

/ 월간조선 윤문기  (사)한국의길과문화 사무총장ㆍ도보여행전문가 

 

서울 종로-북악스카이웨이 성락원 (tistory.com)

 

서울 종로-북악스카이웨이 성락원

한성대입구역~북악스카이웨이~부암동 ●거리: 8.3㎞ ●시간: 약 3시간 ●출발점: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입구 ●도착점: 종로구 부암동 부암동 주민센터. 주민센터 앞 버스정거장에선 0

choogal.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