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기동군단4

7기동군단 북진역사관 ㅁ 제7기동군단 / 7th Maneuver Corps 북진선봉 7군단은 전쟁시에 지역방어를 하는 부대가 아니고 북으로 올라가는 진격부대이다. 이런 이유로 훈련도 방어가 아닌 북진훈련을 한다. 그래서 7군단장은 대장진급에 요지이다. 기보사가 지역방어가 아니고 진격을 하기에 전쟁이 일어나면 주둔지를 버려야 하는 문제로 군단시설은 별로다. 전차는 독자적으로 활동할 때보다 보병, 포병, 항공 등 지원화력이 있을 때 그 위력이 몇 배가 된다. 이는 2차 대전 때 '기보전술'로 이미 확인된 바 있다. 육군 7군단은 우리 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으로 제대로 된 '창' 역할을 한다.  7군단의 가장 큰 특징은 전시에 주한미군 제2사단도 함께 지휘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기동군단'은 그 자체를 전.. 2024. 8. 16.
2신속대응사단 노도부대 에어본부대 제2신속대응사단 / 양평 사단의 지역방어가 아닌 지역구분없이 임무수행하는 특전사와 구분되는 공중강습부대로 국방개혁에 따라 2019.12월에 해체된 2사단 사령부가 11기보사와 통합된 양평의 20기보사 주둔지에서 창설작업을 했는데 준비단이 사령부가 되었고 2작사 예하의 특공여단을 배속받아 2021년 1월 창설되었다. 소속은 7기동군단이며 명령은 지작사가 아니라 2작전사령부에서 받는 것으로 보아 병력의 이동은 없을 것 같다. 창설준비단장이었던 신희연소장이 초대 사단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예하의 여단장은 대령이다. 현재 정비가 진행되고 있기에 공정사단의 임무수행은 어렵고 대테러작전이나 대민지원을 하는데 전시에는 일부지역의 점령 및 북한으로 진로확보가 임무이다. 초기에는 미군의 101공중강습사단이나 82공수사단같은.. 2023. 9. 16.
7공병여단 도하단 자주도하장비 수룡 ■ 7공병여단 ㅇ 이천 장호원일대에 주둔하고 있는 7기동군단 직할부대로 기동군단에 맞게 기계화공병여단으로 여단규모가 커서 여단장이 준장급으로 훈련이 많으며 내무생활은 그런대로 편하다.ㅇ 1983년 12월 군단 공병부가 창설되고 1985년 8월 증편 이후 1990년 11월 제7공병여단으로 재창설됐다. 제7공병여단의 임무는 적의 대규모 기계화 부대와 고속 기동을 저지하기 위한 장애물을 운용하고, 아군 기계화부대의 전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뢰전, 장애물 극복과 기동로 개설, 다양한 하천 장애물 극복(도하 작전)에 있다. 전·평시 시설 피해를 복구하고 군 시설을 건설하며 유지하는 임무도 맡고 있다.ㅇ 도하단2023년 6월 기존의 도하대대를 하나로 묶어 도하단이 창설되었다.도하단가관악산 정기바른 웅비의 터전 전투의.. 2023. 9. 9.
7기동군단/ 군사경찰대대 ■군사경찰대 7군단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기동군단으로 방어가 아닌 공격을 임무로 하는 부대로 예하 사단 또한 기계화되어 있다. ㅇ군단 초동조치팀은 10주 동안 헌병 특임대를 모체로 양성교육을 추진, 기초체력 단련에서부터 저격수·즉각 조치사격·침투기술·특경무술·경호 및 대테러 상황조치 훈련을 받는다. 2021. 11.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