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전차는 오랜 기간 국가의 지상 전투력을 상징하는 존재였다. 강력한 포와 기관총을 탑재하고 강철의 장갑까지 지닌 전차는 적 보병들이 쏘는 총과 수류탄을 무력화했고, 보병들은 공포에 빠진 채 도주했다.
전차의 공격에 속수무책이었던 보병을 위해 등장한 무기가 대전차미사일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군은 미국산 재블린 등의 대전차미사일로 러시아군 기갑부대 진격을 저지했다.
능동방호장치나 전장관리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러시아군 전차의 노후화도 한몫 했지만, 재블린은 ‘전차 무용론’이 나올 정도로 러시아군 전차와 장갑차를 대거 파괴, 우크라이나에서 위력을 떨치고 있다.
한반도에서도 대전차미사일은 상당한 중요성을 지닌다. 북한군은 대규모 기계화군단을 운용하고 있으며, 전차 성능 개선도 이뤄지는 모양새다. 강력한 위력을 갖춘 대전차미사일이 필요한 이유다.
◆1m 장갑도 뚫는 현궁 미사일
한국군은 6.25 전쟁 이후로 다양한 대전차화기를 운용해왔다. 베트남전쟁 당시 쓰였던 미국산 M72 로켓과 90/106㎜ 무반동총, 토우 대전차미사일과 독일산 판저파우스트3 등을 도입했다,
러시아에 제공한 경제협력 차관 상환 차원에서 진행된 불곰 사업을 통해 들여온 러시아산 메티스M도 있다.
하지만 90/106㎜ 무반동총, 토우 대전차미사일 등의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이를 대체할 무기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MRIM) 현궁은 이같은 소요를 충족하기 위해 개발됐다. 2002년 소요결정이 이뤄진 직후 2007년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 아래 1500억 원을 들여 연구개발을 진행, 2015년 개발을 완료했다. LIG넥스원은 미사일과 체계종합을 맡았다. 2017년부터 육군 전방부대와 서북도서 해병대에 실전배치가 이뤄졌다.
현궁은 유효 사거리 2㎞ 수준인 대대급 대전차미사일이다. 미사일과 발사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2~3명이 대전차 공격조로 구성돼 운용한다. 소형전술차량에도 탑재할 수 있다.
현궁의 가장 큰 특징은 관통력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활약한 재블린 미사일보다 20년 후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재블린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갖춰야 했다.
특히 전차 외부에 반응장갑을 추가하는 등 전차의 방호력이 향상되고 있어서 관통력 증가는 필수적인 요소다.
이를 위해 ADD는 탄두의 형상설계에 새로운 개념을 적용했다. 성형작약탄두 2개를 직렬로 배치하는 탠덤(Tandem) 방식을 채택했다.
발사기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적 전차에 근접하면, 미사일 앞에 있는 소형 탄두가 먼저 폭파되어 반응장갑을 무력화한다. 이후 주탄두가 전차의 본체를 타격한다. 이는 대전차미사일을 가로막는 반응장갑의 효용성을 없애고, 전차의 관통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같은 기술에 힘입어 현궁의 관통력은 1000㎜에 달한다. 세계 최고 수준이다. 현재 운용중인 대부분의 전차 장갑을 정면에서 관통할 수 있다. 정면 외에도 장갑이 상대적으로 얇은 전차 상부 공격도 가능하다.
적외선영상탐색기와 탄두를 비롯해 미사일 측면에서 작동하는 추진기관 등 주요 구성품을 국산화해 국산화율이 90% 수준에 달한다.
비용절감 효과도 크다. 미국산 재블린과 이스라엘산 스파이크MR 미사일은 단가가 3억~6억원 수준이다. 현궁의 단가는 2억8000만원. 수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충분히 갖춰진 셈이다.
현궁은 사수가 전차의 열을 탐지해 조준·발사하면 미사일 스스로 적외선 이미지를 이용해 표적을 찾아가서 타격한다.
운용요원들은 미사일 발사 후 신속히 이동해 적의 반격을 피할 수 있다. 유도기능이 없는 90/106㎜ 무반동총, 사수가 계속 조준해야 하는 토우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숙련된 사수는 정상사격은 3분 이내, 급속사격은 1분 이내에 할 수 있다.
◆신형 전차 만든 북한…현궁 성능개량 필요
북한은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신형 전차를 공개했다. 기존 러시아산 전차의 영향을 받은 천마호는 냉전 시절 제작된 T62 전차를 개량한 것이었다.
하지만 신형 전차는 미군 M1 전차나 이란의 줄피카르 전차와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다. 단기간 내 놀라울 정도로 기술적 도약이 이뤄진 셈이다.
125㎜ 주포를 장착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전차미사일 2발과 30㎜ 기관포를 장착했다. 적외선 차폐 연막탄과 레이저 경보 수신기, 전차장 조준경 등을 갖춰 3세대 전차의 기술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북한이 경제난 속에서도 신형 전차를 개발했다는 것은 북한군 기갑 전력 향상에 상당한 관심과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신형 전차가 순차적으로 생산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머무는 평양 일대를 지키는 수도방어부대에 우선적으로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 해당 부대가 갖고 있던 전차는 전방 부대로 이관될 전망이다. 이른바 ‘밀어내기’다. 이를 통해 기계화부대의 전력은 한 단계 상승하게 된다.
북한군 기계화부대의 질적 향상에 맞서려면 현궁도 성능개량이 필요하다. 보병이 북한군 전차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미사일을 쏠 수 있도록 사거리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보병의 생존성과도 직결된 문제다.
단가를 더욱 낮추는 노력도 필요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재블린은 단기간 내 수천발이 사용될 정도로 대전차미사일은 소모율이 높다. 사전에 충분한 수량을 비축해야 유사시 재고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단가를 낮춰서 대량생산이 쉽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발사 후 적 전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미사일 속도를 더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사일 속도가 더 빨라지면, 적 전차 승무원들은 그만큼 대응할 시간이 줄어든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서 대전차미사일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진 만큼 현궁은 한국군에서 핵심 장비로 사용될 전망이다. 또한 해외 시장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전망돼 수출 가능성도 제기된다.
6.25 전쟁 직후 한국군은 ‘전차 공포증’에 시달렸다. 대전차포를 계속 쏴도 거침없이 내달리며 전선을 돌파하던 북한군 T-34 전차는 한국군을 무력감에 빠지게 했다.
미군의 지원으로 북한군 전차를 제압하기는 했으나, 이때의 트라우마는 오늘날에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무반동총에 독일산 대전차 로켓, 국산 대전차 미사일 등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북한이 신형 전차를 잇따라 개발하면서 육군 보병이 쓰는 기존 장비 중 북한군 신형 전차 파괴가 어려운 것들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바주카에서 현궁까지…“안 써본 게 없다”
6.25 전쟁 초기 한국군과 미군은 M9 바주카포를 썼으나 북한군 T-34 전차를 뚫지 못해 고전했다. 이에 미군은 개발 중단 상태였던 M20을 급히 제작해 전장에 투입했다.
3.5인치 바주카포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M20은 6.25 전쟁 당시 한국군과 미군에게 든든한 화력을 지원했다. 포신 등을 강철에서 알루미늄으로 교체하고 부품을 단순화하는 등의 개량이 이뤄졌다.
200m 거리에서 전차를 격파할 수 있었으며, 신뢰성이 좋아 베트남전쟁에서 벙커나 참호 파괴용으로도 쓰였다. 1970년대 초에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국산화하기도 했다.
1960년대 등장한 M72는 1회용이지만 저렴하고 가벼우며 크기가 작아 미군과 한국군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쓰였다. 200~550㎜ 두께의 장갑을 뚫을 수 있다.
전차의 방어력이 높아지면서 대전차화기로는 위력을 잃었지만, 값이 비싸고 수량도 적은 대전차미사일로 공격하기 어려운 보병부대 제압이나 벙커 파괴 등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아 이라크 전쟁 등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육군에서 복무한 사람이라면 한번은 봤을 90㎜ 무반동총은 M20 바주카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됐다. 무반동총은 포탄 발사 시 배출되는 가스를 뒤쪽으로 분출해 반동을 낮추는 무기다. 크기는 작지만 대위력 포탄을 쏠 수 있다.
사수의 어깨에 올린 채 발사할 수도 있지만, 무반동총에 양각대를 설치, 지면에 대고 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지프에 탑재해 사용하는 106㎜ 무반동총도 한국군에서 쓰인다.
1995년 한국군에 도입된 독일산 판저파우스트3는 한국 육군 보병의 화력을 한층 끌어올린 장비다. 발사기 구경(60㎜)보다 더 큰 110㎜탄두를 사용, 500m 거리에서 700㎜ 이상의 장갑을 관통한다. 발사기 1대로 3회까지 사격이 가능하다.
발사 반동과 소음이 낮고 연기 발생도 거의 없다. 후방 안전거리도 10m에 불과해 시가전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광학조준장치가 있어 M72보다 명중률이 높다.
2015년 ADD가 개발한 현궁 대전차미사일은 보병용 유도무기로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것이다. 2.5㎞ 떨어진 전차의 900㎜ 장갑을 뚫을 수 있다. 개인 휴대 또는 소형전술차량에 탑재해 전차의 상부나 정면 공격이 가능하다.
이중성형작약탄두를 사용해 반응장갑을 파괴하고 주 장갑을 관통할 수 있다. 외국의 동급 무기인 미국 재블린이나 이스라엘 스파이크에 뒤지지 않아 외국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
한국군은 미국산 토우와 러시아산 메티스M 대전차미사일도 사용한다. 1970년대와 1990년대에 도입된 토우는 관통력은 우수하나 유선유도 방식을 사용, 현대의 추세인 발사 후 망각(Fire & Forget)보다 뒤떨어진다.
1990년대 메티스M은 러시아에 대한 차관 상환 차원에서 실시된 ‘불곰사업’으로 도입, 기계화부대에서는 K200A1 장갑차에 탑재하는 형태로 운용한다.
◆수량은 많으나 효과는 미지수, 신형 교체 필요
문제는 북한군 전차 공격에 효과가 있는 장비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북한은 사거리와 속도 등이 향상된 선군호 전차를 배치했으며, 지난해 10월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는 이란의 즐피카 전차와 유사한 외형을 갖춘 새 전차를 선보였다.
정확한 성능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북한군이 오랜 기간 사용해온 러시아산 T-62 계열보다는 우수할 것으로 보인다.
수㎞ 거리에서 적 전차를 파괴할 때는 현궁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근거리 전투에서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 무반동총은 발사 시 많은 연기가 발생해 위치가 쉽게 드러나고 관통력도 약하다. M72도 1회용인데다 관통력도 부족하고 노후했다.
군도 이같은 문제를 인식, 신형 대전차 화기 도입을 추진했다.
처음에는 해병대, 특전사처럼 화력 지원을 제때 받기 힘든 부대에 칼 구스타프 무반동총처럼 휴대가 쉽고 화력은 강한 장비를 지급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여기에 노후한 대전차 화기를 대체하는 것과 맞물려 2010년대 초부터 국내 개발이 추진됐다.
하지만 현궁과 120㎜ 자주박격포 등이 잇따라 전력화된 것과 달리 신형 대전차 화기는 방위산업 전시회에 모형이 등장한 것 외에는 별다른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
육군은 근거리에서 전차를 파괴하는데 초점을 맞추면서 무게는 판저파우스트3보다 가볍고 관통력은 판저파우스트3와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수준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개발 난이도를 높였다는 지적이다.
외국 제품 중에서는 스웨덴 사브의 칼 구스타프와 독일 DND의 RGW-110이 거론된다. 하지만 두 기종 모두 중량이나 관통력 측면에서 육군의 요구를 완벽하게 충족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경량화에 치중하면 관통력이 낮아지고, 관통력을 높이면 중량이 증가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북한군 전차의 장갑 최대치를 관통하는 능력을 우선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관통하면 좋지만, 무기 개발이나 배치, 운용 편의를 저해한다면 어느 정도 양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부족한 부분은 새로운 전술 개발이나 탄종 확보 등을 통한 대안으로 대체할 수 있다.
현대전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병부대가 쓰는 단거리 대전차 화기의 공격 목표는 전차 외에 벙커, 건물, 지휘소 등 다양해지고 있다. 1회용보다는 여러 차례 쓸 수 있는 화기가 더 많이 쓰이고 있다. 보병들이 많이 이용하는 헬기, 장갑차, 소형전술차량 내부 공간을 고려한 소형화와 경량화 추세도 여전하다.
실제로 미국과 일본 등 50여개 국에서 쓰는 칼 구스타프는 분당 발사속도가 5발로 연속발사가 가능하다. 독일산 판저파우스트3와 달리 1000발 이상 사격할 수 있다. 무게도 최신형인 M4가 7㎏으로 K-3 경기관총 수준이다.
인마살상용 고폭탄, 벙커를 겨냥한 이중목적탄, 건물을 파괴하는 다용도탄, 구조물 파괴탄, 조명탄, 연막탄, 화살탄 등 9가지 탄을 발사한다. 전차 외에도 다양한 표적을 공격해야 하는 현대 보병에게 적합하다는 평가다.
미군은 1990년대부터 칼 구스타프와 AT4를 도입, 성능개량을 거듭하면서 보병의 화력을 높이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반면 한국군은 대전차 화기 국내 개발을 추진했던 지난 10년간 별다른 발전이 없었다.
한미 연합훈련을 실시할 때 미군은 칼 구스타프나 AT4를 갖고 나오지만, 한국군은 미군이 퇴역시킨 지 오래인 90㎜ 무반동총을 여전히 쓴다.
한미 육군 보병들이 연합작전을 벌일 때 미군과 유사한 장비를 갖추지 못한 한국군 보병부대가 미군 전술을 따라가게 되면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다.
적지에 침투해 다수의 적군과 싸우는 특전사나 적 해안에 상륙하는 해병대는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북한군이 RPG 로켓과 박격포 등으로 공격해오면 화력이 부족한 특전사와 해병대는 위기에 몰릴 위험이 있다.
하지만 특전사나 해병대원이 17㎏짜리 90㎜ 무반동총을 휴대하고 적 후방에서 교전하는 것은 체력적으로 상당한 부담이다.
적군의 추격을 피하려면 화력을 단시간 내 집중적으로 퍼붓고 신속하게 움직여야 하는데, 무반동총과 탄약, 군장 등을 지참한 상태에서는 불가능하다.
반면 북한군 RPG는 명중률과 관통력은 부족하지만, 무게가 7㎏에 불과할 정도로 가볍고 구조가 단순하며 가격도 저렴하다. 북한군은 RPG를 분대까지 배치, 소부대 전투화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군에도 현궁처럼 명중률과 화력, 유효사거리가 뛰어난 대전차 무기가 있지만,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탄종으로 소부대에 강력한 화력을 제공하는 무기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해병대나 특전사에 칼 구스타프를 시급히 배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군 당국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된다.
/ 세계일보 2022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ㅁ 발사 후 알아서 표적 타격…‘재블린’ 종횡무진 활약
러시아의 무력 침공 이후 연일 격전이 벌어지는 우크라이나에서 ‘우크라이나의 수호자’로 추앙받고 있는 무기가 있다. 바로 미국이 제공한 FGM-148 재블린 대전차미사일이다. 원거리에서 은밀한 공격이 가능하고, 치명적인 파괴력을 갖춰 일단 표적이 되면 중장갑을 자랑하는 러시아군 주력 전차조차 생존을 보장할 수 없다.
실제로 속전속결을 노렸던 러시아군은 곳곳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재블린 공격을 받고 진격이 중단된 것은 물론 전차를 포함한 기계화부대가 막대한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다양한 대전차무기의 대량 사용과 ‘전차 무용론’이 대두할 정도로 전황에 미치고 있는 영향이다.
지난 16일 기준, 미국과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등의 국가에서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각종 대전차무기는 1만 발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미국이 제공한 FGM-148 재블린(Javelin) 대전차미사일과 영국이 제공한 차세대 경량 대전차무기(Next generation Light Anti-tank Weapon, 이하 NLAW), 그리고 RPG-7과 PZF-3(Panzerfaust 3) 대전차로켓이 있다.
우크라이나의 성자, FGM-148
현재 우크라이나군이 운용 중인 다양한 대전차무기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무기가 있다. 우크라이나 결사 항전의 상징이자 우크라이나 국민 사이에서 성자 재블린(Saint Javelin)으로 불리는 재블린 대전차미사일이다. 러시아의 무력 침공 초기, 주요 도로를 이용해 진격하는 러시아군의 기동을 차단하고 피해를 누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쟁 초기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약 300발의 재블린으로 최소 280대 이상의 러시아군 기갑차량을 파괴했다고 SNS를 통해 선전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가 2018년부터 조준기 37대와 미사일 210발을 처음 미국에서 인수한 이후 2020년 추가로 조준기 10대와 미사일 150발을 거의 모두 소진한 결과다. 참고로 미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조준기 377대와 미사일 2600발을 지원했으며 재블린 미사일 2000발을 추가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우크라이나 정보부는 열세에 놓인 우크라이나군의 전황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재블린의 활약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우크라이나 국민도 이에 호응해 2월 말, 우크라이나 키이우 주(州) 상징 문장인 마리아 막달레나 성화와 재블린을 조합한 성자 재블린 인터넷 밈(Internet meme)까지 등장했다. 현재 성자 재블린은 우크라이나 저항의 상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파생상품까지 판매되고 있다. 이들 상품의 판매금액은 우크라이나 구호에 사용될 예정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새롭게 주목받고 있지만 사실 군사 분야에서 재블린은 검증된 성능과 엄청난 가격으로 이미 대전차무기의 끝판왕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계속된 테러와의 전쟁 기간 중 미군에 의해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5000회 이상 실전에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성능개량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재블린은 M98A1/2 CLU(Command Launch Unit)로 불리는 조준기와 LTA(Launch Tube Assembly)로 불리는 재블린 대전차미사일 발사관, 발사관 상단 부분의 BCU(Battery Coolant Unit)로 구성돼 있다. 참고로 BCU는 미사일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배터리와 냉각을 위한 압축 아르곤(Argon) 가스가 든 배터리 냉각재로 구성돼 있다. 길이는 1.2m, 중량은 22.3㎏이며 크기와 중량 때문에 보통 2인 1조로 운용한다. / 국방일보 2022 계동혁
'군사 안보 > 무기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대공미사일 요격미사일 해궁 (0) | 2023.02.11 |
---|---|
전술지대지유도무기 벙커버스터 (0) | 2023.02.11 |
정밀타격용 신형 자폭드론 (0) | 2023.02.11 |
한국형 전투기 KF-21 (0) | 2023.02.11 |
국산기관총 K3 K16 기관총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