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군사 안보/해군

고속상륙정대 솔개 LSF-Ⅱ

by 구석구석 2025. 3. 22.
728x90

ㅁ 고속상륙정대

고속상륙정 LSF-Ⅱ / 고속상륙정 교육훈련반, 고속상륙정 지원반

고속상륙정은 가스터빈을 사용해 고속으로 기동할 수 있으며, 스커트(공기주머니)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함정을 띄우는 공기부양 방식을 적용, 해상은 물론 저수심이나 갯벌 지역에서도 고속 기동할 수 있다.

고속상륙정은 길이 약 28m, 폭 약 14m, 높이 약 8m 크기로서 해병대의 완전무장병력을 비롯해 전차·장갑차 등을 탑재한 채 대형 수송함과 함께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고속상륙정엔 기관총이 주요 무장으로 탑재된다.

고속상륙정대 코인

해군은 속력이 빠른 특성을 고려해 날렵한 조류의 이름을 고속상륙정 함명으로 쓰고 있다.

제1·2호정인 '솔개-631·632호정'는 2007년 해군에 인도됐고, 솔개-633·635호정은 2023년에 인도됐고 636/637호는 전력화과정을 마치고 2025년에 실전배치되고 추가로 2척이 건조중이다.

 

LSF-II는 길이 28m, 경하 배수량 95톤의 LCAC형 공기부양정으로, 전차 1대와 병력 24명 또는 병력 150명을 태우고 최대 40노트(시속 74km)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추가 연료 보급 없이 최대 185km까지 항해할 수 있다.

2007년 4월 진수된 선도함은 공기부양정을 솔개로 부르는 전통에 따라 '솔개 631'로 명명됐다.

솔개631호가 독도함 도크에서 상륙작전을 위해 출발하고 있다.

정장은 갑판 혹은 조타준위, 편대장은 함정(항해) 병과 대위가 보직된다.

 ㅇ 해군 고속상륙정(LSF-Ⅱ) 5·6호정인 '솔개-636·637정'의 진수식이 2023년 5월 17일 오후 부산 영도구 HJ중공업에서 열렸다. 길이 28m, 폭 14m, 높이 8m인 솔개(100t급)는 공기부양 방식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해상은 물론 저수심이나 갯벌 지역에서도 고속기동이 가능하다. 부산=뉴시스

고속상륙정은 상륙군의 병력과 장비를 탑재하여 지형적인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신속하게 초수평선 상륙작전에 투입할 수 있는 핵심적인 상륙전력으로 해군과 해병대의 작전적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합동전력이다.

728x90

 

고속상륙정은 소음이 크지만 다수의 장비와 병력을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운항 거리도 길어 현대 상륙전에서 필수인 초수평선상륙작전에 적합하다. 상륙작전이 시작되면 함포사격, 공중 공격 등으로 매우 시끄러운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고속상륙정의 소음은 군사용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게 군의 평가다.

고속상륙정 솔개코인

ㅇ(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방위사업청은 5일 고속상륙정(LSF-II) 조종 훈련을 위한 3차원(3D) 시뮬레이터를 해군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고속상륙정은 고압의 공기를 내뿜어 바다와 육지를 오가는 수륙양용 공기부양선으로, 해상은 물론 저수심이나 갯벌, 하천, 해안가 등 지형에서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상륙작전의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고중량의 전차와 상륙군을 싣고 시속 70㎞ 속력으로 빠르게 기동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고강도 조종 훈련이 필요하다.

이번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는 지난 4년간 체계개발과 군 시험평가를 거쳐 개발됐다. 실제 조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악천후와 야간 등 다양한 해상·기상 조건에서의 기동을 모의 구현할 수 있다.

모함인 독도함과 마라도함에서의 입·출거 숙달 훈련뿐 아니라 원거리 초고속 상륙작전, 긴급 회피기동 등 실전과 같은 훈련도 가능하다. 시뮬레이터 내부는 함정 조종실과 동일하게 구현했고, 운용 환경음과 통신체계도 실제와 유사하게 적용됐다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해병1사단 고속상륙정 호버크래프트

■해병1사단 / 포항 / 상륙전부대1974년 이동용사단장에 의해 주특기별로 대대편성ㅇ2여단 '황룡선봉'/ 21공정대대 '기습공정'/ 22상륙기습대대 '황금박쥐'/ 23유격대대ㅇ3여단 '킹콩'/ 31공정대대/ 32

choogal.tistory.com

 

728x90

'군사 안보 > 해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동함대사령부  (1) 2025.03.01
해병특수수색대대  (0) 2025.01.13
7기동전단 기동함대 72기동전대  (0) 2024.12.26
해군항공사 62해상항공전대 625정비대대  (0) 2024.12.21
연평부대 공룡부대 직할대  (2)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