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1함대 / 선봉대 / 동해항
1946년 8월 22일부터 시작된 동해 수호의 역사, 해군 제1함대사령부.
동해안 경비를 위해 50명의 장병으로 구성된 ‘조선해안경비대 묵호기지’가 창설되었고, 1949년 6월 묵호경비부로 승격되었다.
묵호경비부는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경, 옥계지역 해안으로 상륙을 시도하던 북한 함정과 교전을 벌여 특수부대원 33명을 사살하였고, 상륙성 및 발동선 각 1척을 나포하는 등 국군 최초의 승전을 기록하기도 했다.
1973년 7월 1일 제1해상경비사령부와 통합하여 제1해역사령부가 되었고, 1986년에는 해군 제1함대사령부로 승격되었다.
현재 강원도 고성에서부터 경상북도 감포까지 총 528km에 이르는 해안선과 남한 전체 면적에 해당하는 동해를 지키고 있으며, 그 책임 해역 내에는 국가전략도서인 울릉도와 독도를 비롯하여 주요 항구, 포항제철, 원자력발전소 등 국가 주요 시설이 있다.
동해 수호 선봉함대로서 적의 위협을 조기에 탐지하는 첨단 레이더 시스템과 적 잠수함, 함정 지상군 등을 정밀 탐지할 수 있는 해상초계기를 운영함으로써 조기경보작전을 빈틈없이 수행하고 있으며, 주변국과 수색 및 구조훈련, 함정 상호 방문 등 동북아 평화와 안정 유지에도 기여하고 있다.
ㅁ 기지방호전대
해군이나 공군은 육군처럼 진지를 옮겨 가며 싸울 수가 없어서 존재하는 조직으로 참모실, 군사경찰대대, 공병대대(수송), 화생방지원대, 항만방어대대로 편재되어 있다.
ㅇ 동해시 동해항(민항, 군항)에서 2023 UFS(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 일환으로 ‘동해항 통합항만 방호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통합항만 방호훈련은 동해항에 침투하거나 항내 주요시설을 공격하는 가상의 적에 대응해 지역내 군ㆍ관ㆍ경 전력이 신속하고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 통합항만방호작전 수행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에 이번 훈련은 해군 1함대와 육군 23경비여단을 비롯 동해시, 동해지방해양수산청, 동해해양경찰서, 동해송유관공사 등 지역내 군ㆍ관ㆍ경 전력이 함께 참가한 가운데 전시 동해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숙달했다. / 강원타임즈 2023.8
ㅁ 화생방지원대
ㅇ 해군1함대와 공군18전투비행단(18전비)이 적의 화학탄 공격에 오염된 항만을 함께 제독하며 신속하고 완벽한 공조체계를 확인했다.
1함대는 8일 동해군항 일대에서 18전비와 함께 합동 화생방 종합훈련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화생방 위협상황 발생 시 해·공군 합동전력의 공조체계를 점검하고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에는 1함대 항만방어대대 화생방지원대와 18전비 화생방지원대 장병 30여 명이 참가했다.
화생방지원대는 화생방작용제를 탐지하고, 경계구역을 설정한 뒤 오염원 제독 작업을 수행했다. 또 간이 인체 제독소와 장비 제독소를 설치하고 오염표지판을 부착하는 등 정찰·제독작전을 전개했다. / 국방일보 2025.5 조수연기자
'군사일반 > 해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함대 2군수전대 무기지원대대 (0) | 2025.05.14 |
---|---|
기동함대사 73기동전대 류성룡함 강감찬함 최영함 (2) | 2025.05.13 |
3함대 3군수지원전대 3공병대대 (2) | 2025.04.29 |
해작사 기동함대사령부 (1) | 2025.03.01 |
7기동전단 기동함대 72기동전대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