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경상남도

밀양 내동-남천강 영남루 밀양아리랑길

by 구석구석 2008. 10. 28.
728x90

 

영남루는 추화산을 등지고 남천강 맑은 물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절벽 위에 좌우 익루를 끼고 날아갈 듯 서있는 누각이다. 그 모습은 주위의 경승(景勝)과 더불어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그렇기에 영남루는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3대 명루다. 

영남루(보물 제147호)는 밀양강 절벽의 아름다운 경관과 조선시대 후반기 화려하고 뛰어난 건축미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원래 신라 법흥왕 때 세워진 영남사(嶺南寺)의 작은 누각 자리에 1365년(공민왕 14) 김주(金湊)가 창건한 것이다. 그 후 여러 차례 소실과 재건이 거듭되었는데, 밀양도호부의 객사 소속으로 된 것은 1611년(광해군 3) 객사를 영남루 북쪽에 새로 지으면서부터이다. 지금의 건물은 1844년(헌종 10)에 부사 이인재(李寅在)에 의해 재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백 개의 계단을 올라야만 아름다운 자태를 볼 수 있다(좌),  영남루에서 밀양강을 내려다보면 詩 한 수가 절로 나올 만큼 경치가 빼어나다./월간조선

영남루는 정면 5칸,·옆면 4칸의 중층누각이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내부 모습은 무척 크다. 건물의 기둥이 높고, 기둥과 기둥 사이를 넓게 잡아 매우 웅장하고 당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루에 올라가 처연하게 휴식을 취하며 보는 밀양강의 전경은 참 아름답다. 그 감흥은 진주 남강의 촉석루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728x90

영남루 / 박종국

정면 5칸,·옆면 4칸의 중층누각이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내부 모습은 무척 크다. 건물의 기둥이 높고, 기둥과 기둥 사이를 넓게 잡아 매우 웅장하고 당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루에 올라가 처연하게 휴식을 취하며 보는 밀양강의 전경은 참 아름답다. 그 감흥은 진주 남강의 촉석루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기둥의 간격이 넓고 마룻바닥을 높여 시원한 강바람을 즐길 수 있다/월간조선

건물 서쪽 면에서 침류각으로 내려가는 지붕은 높이차를 조정하여 층을 이루고 있는데, 그 구성이 특이하다. 천장은 지붕 밑이 그대로 보이는 연등천장에 겹처마 형식으로 처리해 꾸며졌다. 또한 건물 안쪽 윗부분에서 용 조각으로 장식한 건축 부재를 볼 수 있고, 천장은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이다.

 

본루는 조선 후반기의 우리나라 건축미를 대표할 만한 국내 제일의 누각이다. 부속 건물로는 능파당(陵波堂)과 침류각(枕流閣)의 양익루(兩翼樓)를 비롯하여 사주문(四柱門), 일주문(一柱門), 객사(客舍)인 천진궁(天鎭宮)이 있으며 뜰에는 유명한 석화(石花)가 깔려 있다.  

 

‘영남루’의 현판 글씨는 추사체의 대가 구한말 송파 하동주의 글이다. 송파의 글은 이곳뿐만 아니라 진주의 촉석루, 양산 통도사, 고성의 옥천사, 통영의 안정사, 용화사, 부산 범어사에서도 볼 수 있다.

 

영남루의 동쪽에는 능파각(凌波閣), 서쪽에는 침류각(枕流閣)이라는 2채의 부속건물이 있으며, 그 중 낮게 위치한 침류각은 3단계로 낮아지는 계단 건물로 연결되어 있어 전체 외관에 변화와 조화를 추구한 점이 주목된다. 또한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고 편액된 누각답게 밀양강을 끼고 절벽 위에서 굽어보는 주변 경관이 뛰어나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평양의 부벽루(浮碧樓)와 함께 조선시대 3대 누각으로, 누각 부근의 풍광은 조선 16경의 하나로 손꼽힌다. 

영남루 뒤편에 ‘애수의 소야곡‘ ’이별의 정거장‘ ’신라의 달밤‘ ’‘고향만리’ ‘럭키서울’ 등 민족의 애환과 희망을 담은 주옥같은 대중가요 3천여 곡을 작곡하여 한국가요사의 금자탑을 세운 작곡가 박시춘 선생의 생가와 ‘애수의 소야곡’ 노래비, 그리고 선생의 흉상이 있다.

 

밀양에는 많은 예술인들이 있다. 박시춘 선생은 밀양사람이기 이전에 우리 민족의 애환과 희망을 노래했던 예술인이다.  

영남루 주변에는 유서 깊은 곳이 몇 군데 있다. 남천강 쪽의 돌계단을 오르면 오른편에 조금 남은 옛 성터를 볼 수 있고, 사주문을 들어서면 일주문과 객사(현재 천진궁)와 밀성대군단전 등의 건물이 있다. 또한 영남루를 비껴나 밀양이라면 또 하나 빼어놓을 수 없는 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오소. 그 유명한 ’밀양 아리랑비'가 있다. 

 

그 곳에서 조금더 내려가면 아랑각으로 들어가는 ‘정순문’에 이른다. 이곳에 ‘아랑유지비’가 있다. 아랑각에는 고 육영수 여사께서 기증한 미당 김은호 화백의 아랑 영정이 모셔져 있다. 전설의 고향이나 납량특집에 자주 등장했던 아랑의 전설, 그 아랑의 혼(정절)이 살아 있는 곳이다. 

 

지금도 밀양에서는 아랑이 지킨 순결의 정신을 기리어 아랑사당을 짓고 지금까지도 매년 모범된 규수들을 뽑아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한다. 

  

아랑각의 정순문과 아랑각내부 / 박종국 자료 - 오마이뉴스 2008.10 박종국

내일동376-1 밀양관아

내일동사무소 7110평방미터의 부지에 옛 밀양의 행정과 사법을 관장하던 밀양관아를 8년여의 공사를 거쳐 복원하였다. 

중앙건물이 근민헌 / 밀양시

지역민들의 애환이 스린 밀양아리랑에서 이름을 따 지은 밀양아리랑길

이 길은 3개코스로 총길이 16km로 1코스는 밀양관아~삼문동~영남루로 이어지는 6km, 2코스는 밀양향교~추화산성~충혼탑 4,2km, 3코스는 용두목~금시당~월연정~추화산성으로 이어지는 5,6km 이다.  

보물 147호로 지정된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목조건물인 영남루를 중심으로 해서 사방으로 펼쳐지는 밀양아리랑길은 밀양강변에서 소나무숲을 만난다. 서울에 여의도가 있다면 육지속의 섬인 삼문동이 있는 셈이다.

 

밀양아리랑길을 걷다보면 수많은 옛집, 고택, 고가 들과 만나 여행의 새로운 재미를 느끼게 된다. 교동 손 씨 고가, 부북면 퇴로리 이 씨 고가, 청운리 안 씨 고가, 단장면 단장리 허 씨 고가, 산외면 다죽리 손 씨 고가 등은 조선 후기 주택건축 양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건축물 들이다.

 

고가는 구한말의 혼란기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이라는 격변기를 이겨낸 세월의 흔적과 가풍이 살아있는 공간이다.

 

 

밀양-아리랑길 3코스-금시당 월연정

1코스는 밀양읍성~삼문송림~아랑각~영남루(6.2㎞ 3시간), 2코스는 밀양향교~추화산성~밀양시립박물관(4.2㎞ 3시간), 3코스는 용두목~금시당~월연정~추화산성~섬벌마을(5.6㎞ 3시간). 여유 있게 걷는

choogal.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