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경상북도

포항 오덕리 덕동문화마을 애은당 사우정 용계정

by 구석구석 2009. 6. 24.
728x90

 

■마을 전체가 하나의 문화재

인공연못인 호산지당

포항의 북부, 바로 옆은 청송이다. 비학산과 침곡산, 운주산과 성법령이 동서남북으로 둘러싼 기북면 오덕리에 덕동문화마을이 있다. 덕동문화마을의 초입에 들어서자 이 마을의 상징인 소나무들이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이라는 명성을 유감없이 확인해줬다. 촘촘하지 않게, 그러면서도 메마른 듯한 느낌은 나지 않게 들어선 소나무들이 용계천을 따라 군락을 이뤘다. 이 때문인지 덕동의 옛 지명은 ‘송을곡(松乙谷)’이다. 임진왜란 때 왜병이 ‘송’자가 들어간 지명에서는 반드시 패전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실제로 이곳은 ‘여강 이씨’ 집성촌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농포 정문부가 피란을 왔다가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이곳의 모든 재산을 손녀사위인 이강에게 물려준 뒤 마을이 형성됐다. 입구에는 포항전통문화체험관이 있다. 옛 덕동초등학교 자리다. 주차는 건물 뒤편에 하면 되고, 건물 앞 넓은 뜰에서 널뛰기 등 간단한 전통놀이를 할 수 있다.

 

용계정(경북 유형문화재 제243호)은 정문부선생의 별장으로 조선 명종 원년(1546년)에 건립하였으며 숙종 12년(1686년)에 증축하였다. 정조 이후에는 세덕사의 부속 건물인 강당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고종 5년(1868년) 서원 철폐시에 용계정을 세덕사지와 분리하기 위해, 밤새도록 담을 쌓아 세덕사만 철폐되고 용계정은 화를 면하였다고 한다.

 

명승81호 용계정

건물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목조기와 건물로 방 4칸, 마루 6칸으로 되어 있다. 건물 뒷편은 후원에 연결되고 앞쪽은 계곡의 기암절벽과 마주하고 있으며, 현재 정문부의 손서인 이강의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다. 용계정 부속건물로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포사가 있으며 수백년 된 은행나무, 향나무, 백일홍 등이 용계정을 둘러싸고 있다.

 

용계정에서 조금 더 내려가면 덕동문화마을 최고의 절경을 자랑하는 ‘호산지당’이 나온다. 마을의 지형을 보면 산세는 강하나 물이 적어 인재가 배출되지 않는다고 전해져 물을 가둬 만든 연못이다. 이곳을 소개하는 한시가 압권이다. ‘산이 강하고 물은 적어서 못을 만드니, 동리의 경치가 다시 또 기이하구나. 오랜 세월 경영한 뜻을 이루니, 장래 남은 경사를 또한 기약하리라’. 무엇보다 연못 주변에는 덱과 전망대, 보행로가 깔끔하게 정비돼 있어 걷기에 좋다. 아담한 마을 속 아담하고 정겨운 연못인데, 덕동문화마을 최고의 출사지로 손색없는 명소였다. 얼마 지나지 않으면 이곳의 비경에 정점을 찍을 연꽃이 연못을 수놓을 것이다.

 

■고택과 유물… ‘명상의 길’도 걸어야

덕동문화마을은 옛 가옥, 고택이 즐비하다. 농포 정문부가 거처했던 애은당고택을 시작으로, 사우정고택과 여연당고택이 있다. 물론 주민이 거주하는 곳이라 사전 동의 등 협조를 구하지 않으면 가내 관람은 엄격히 제한된다. 다만 겉에서 본 고택도 마을의 정취를 더하기엔 충분했다. 사우정고택 바로 옆에는 초가지붕의 전통 한옥과 근대의 한옥이 공존한 ‘오덕리 근대한옥’이 있다. 마을 초입에 있는 덕동민속전시관도 400년 집성촌이 자랑하는 곳이다. 이곳에는 수백 년 전 의복과 식기는 물론 엽전부터 현재 지폐까지 200여 점의 유물이 전시됐다. 덕동문화마을은 국가기록원의 전국 4호 기록사랑마을로, 전국 10곳의 기록사랑마을 중 가장 오래전인 400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덕동문화마을에는 고택 사이로 마을 길을 잇는 감사나눔 둘레길과 호산지당 옆 명상의 길 등 아기자기한 걷기 코스가 있다. 감사나눔 둘레길에서는 한적한 시골 마을에 고택의 정취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호산지당 옆 명상의 길은 멋진 경치를 따라 이어져 있어 이름 대로 명상을 하기가 쉽지는 않다. 다만 명상의 길 알림판만은 꼭 읽고 걷자. ‘감사하는 태도는 정말로 우리에게 선물을 안겨준다. 우리는 물론 주변 사람 모두를 행복하게 해준다. 우리는 감사하는 태도를 통해 더욱 사려 깊은 사람으로 거듭나게 된다’.

 

애은당고택(경북 민속자료 제 80호)은 조선시대 북평사 전주부윤 전주진병마절제사를 지낸 바 있고 임진왜란 당시 많은 공을 세운 농포 정문부 선생이 살았던 집이다. 선생은 식솔들의 피난처로 사용하다가 임진왜란 후 고향인 전주로 이사하면서 그의 사위인 사의당 이강에게 재산 일체와 함께 양여하였다. 그 후 이 집은 1695년 3월 이강의 7남매의 자녀들이 분가하면서 4남 이덕소가 관리해 오다가 현재의 소유주인 이동우의 5대조 이재급이 매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애은당고택이 위치한 지형은 거북형으로 건배치를 거북형으로 축조하여 거북 앞발 위치에 각각 별당과 방앗간을 두었고 머리부분에 속하는 앞면엔 잠실이 있었으며, 꼬리부분에는 변소가 있다. 정면 사랑채와 붙은 대문을 들어서면 5칸의 곡자형 안채가 자리하며 좌측에는 창고와 방이 딸린 부속사(고방채)가 있고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반, 측면 3칸 반이며,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의 목조기와집으로 이 건물은 조선시대 주택의 평면구성상 ㅁ자형으로, 당시 상류층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다.

 

사우정고택(경북 민속자료 제 81호)은 농포 정문부 선생의 조부 정언각이 청송부사로 재직 당시 지리에 밝은 청지기가 일러준 길지의 땅을 점유하여 건축한 집이다. 임진왜란 당시 피난지로 삼았다고 전한다. 정문부 선생의 사위인 이강에게 양여하였고 이강은 3남 이덕삼에게 다시 물려주었으며 그 후 이헌만이 그의 호를 따서 사우정을 당호로 정했다 한다.

 

 

 

방형의 담장으로 둘러싸인 바깥마당으로 들어서면 일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대문을 들어서면 ㅁ자형의 안채가 있으며 우측 담장 모서리에 사당지가 있다. 안채는 정면 5칸에 측면 4칸, 사랑채는 정면 7칸에 측면 1칸 반의 목조 기와집으로 1600년대 조선중기 상류계층의 생활상을 짐작케 하는 고택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