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방곡곡/전라남도

구례 방광리 시암재~천은사 초가원 매천사

by 구석구석 2007. 11. 22.
728x90

 

 

 

 

지리산 천은사는 화엄사,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명찰의 하나로서 결코 작지 않은 규모와 위용을 가지고 있는 사찰이다. 지리산 다른 기슭에 있었으면 충분히 더 많은 관심을 끌었을 텐데 천은사는 화엄사 때문에 그 이름처럼 숨은 절이 되고 말았다. 덕분에 그 주위는 더 깨끗하게 보전되고 있는 듯했지만.

일주문을 지나 경내로 들어가는데 상수원으로 조성되었다는 천은지가 나타나더니 그 위를 지나는 다리 위에는 수홍루라는 누각이 서 있다. 천은지 자체가 최근에 지어진 터라 누각 역시 오래되지는 않았을 텐데 저수지에 비친 누각의 그림자는 그럭저럭 아름다움을 자아내고, 오고 가는 사람들은 이를 배경으로 사진 찍기에 바빴다.

수홍루 너머에는 감로수라는 샘물이 있어 몇몇 사람들이 목을 축이고 있었다. 전설에 의하면 이곳 천은사는 그 샘물이 예전부터 만병에 특효라고 하여 처음 감로사라고 칭해졌다가, 임진왜란 이후 중건 당시 스님 한 분이 샘물가의 구렁이를 죽은 이후 물이 솟아나지 않는다 하여 천은사, 즉 샘이 숨은 절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지리산 천은사 극락보전/오마이뉴스

 

전설은 또한 이 구렁이가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주는 뱀이었기에 그 뒤로 사찰에 화재가 빈번했다고 전하는데, 조선시대 명필 중 하나인 이광사의 수체(水體)로 물 흐르듯이 쓴 '지리산 천은사' 현판이 걸리자 화재는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아마도 중건 당시 사찰의 맥을 채 파악하지 못한 인부들이 샘물의 길을 막은 이후, 이광사가 썼다는 현판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설이리라. 부석사 등에서도 그렇듯이 구렁이는 꾸불꾸불한 수맥을 의미하는 법이다.

 

감로수를 지나 계단을 오르니 그곳 중앙에 극락보전이 자리하고 있었다. 살아 움직이는 듯한 필체는 천은사를 감싸고 있는 지리산의 그 웅장함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다. 

오마이뉴스 이희동

 

■ 천은사 '상생의 길'

 

 

 

 연잎대통밥사찰음식_초가원

 

굵은 대나무에 찹쌀과 밤, 대추, 은행, 연잎, 연분을 넣고 한지로 봉해 압력솥에 1시간 찐다. 밥에 밴 대나무향이 그윽하다. 갓 지어 따끈한 밥을 내준다면 더 좋았을 뻔 했다.

 

대통밥에 고기를 뺀 각종 나물과 산채가 곁들여진 ‘연잎대통밥사찰음식’(1만2000원·2인분부터 주문 가능)이 대표 메뉴. ‘섬진강재첩국’(7000원), ‘돌솥비빔밥’(7000원)도 있다. 직접 담그는 ‘솔잎주’(5000원)가 은근히 취한다. 천은사 가는 길에 있다. (061)781-2222


 

 

 광의면 수월리 672 매천사(梅泉祠)

 

 황현(黃鉉 1855∼1910) 선생은 영상 황희의 후손으로 자는 운경, 호는 매천이며,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간전면 만수동으로 이사를 한 후 다시 친구의 권유로 광의면 수월리 월곡으로 다시 옮겨 순절하실때까지 살았던 곳이 지금의 매천사로 현재까지 사랑채가 남아 있다.

매천선생은 어려서부터 시를 잘 짓고 재질이 뛰어나 이건창, 김택영과 함께 한말 3재라 불렀으며 고종 20년(1883)에 특별보거과에 응시하여 문장으로는 장원이었지만 시골선비라 하여 2등이 되었다. 다시 고종 25년(1888)에 생원회시에서 장원하였으나, 시국은 혼란하고 벼슬아치들은 썩을대로 썩어 당시의 세태를 개탄한 나머지 벼슬을 단념하고 내려와 초가 3칸을 짓고 구안실(苟安室)이라 이름하여 학문연구와 후배교육으로 세월을 보냈다.

1899년 나라가 기울어져 가는 것을 보다 못한 매천은 상소를 올린 바 있고 기울어진 나라를 바로 잡는 것은 오직 젊은이들을 교육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1908년 광의면 방광리에 근대식 학교인 호양학교을 세웠으나 매천이 죽은 뒤 일제 탄압에 못이겨 문을 닫았다. 한일합방을 알리는 양국조서가 전해진 이틀뒤인 1910년 9월 8일 저녁 술 석잔을 마신 후 식구들을 물리치고 나서 절명시(絶命詩) 4수와 유서를 남기고 음독 순절하셨다.

매천사우는 1955년 유림들이 건립하였으며 한말 야사를 엮은 매천야록과 매천비 등 많은 고서와 선생의 유품이 보존되어 있다.

-ⓒ 마운틴월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