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해병 2사단 / 김포
군사분계선을 둘러싼 육지의 비무장지대처럼 이 지역에서는 남북한 상호 접근이 금지되고 강변을 따라 철책선이 쳐져 있다. 육상의 휴전선이 강안(江岸)으로 연장된 것이다. 경기 김포와 강화에 걸친 강안 휴전선은 베트남전쟁에서 맹활약한 청룡부대의 후신인 해병대 2사단이 경비한다.
ㅁ 5여단 / 상승여단 / 강화도
ㅇ 51대대 (불사조대대) / 52대대 / 53대대 (기습특공대대)
ㅇ 1959년 2월 26일에 해병대 제1사단 1연대를 근간으로 한 제1임시여단이 새로 창설되어 김포 지역에 남아서 주둔하며 서부전선 경계와 방어를 맡게 되었고, 나머지 1사단 병력은 포항으로 이전하였다.
1966년 11월 23일에 해병대 1사단에서 모집한 인원으로 제5여단을 창설하였고, 1967년 1월 23일에 김포의 제1임시여단과 김포 경비 임무를 교대하였다.
이때부터 김포엔 신설된 해병대 5여단이 주둔했고, 그때까지 김포에 있던 1임시여단의 병력은 해병대 1사단으로 돌아와서 1사단의 각 부대로 배치되었고 1임시여단이라는 부대는 사라졌다.
ㅁ 외포리기동대(지휘관 대위)
외포리선착장은 석모도 등 서쪽 도서로 들어가기 위한 중간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겉보기에는 평화롭지만 늘 적의 도발에 대비해야 하는 요충지다. 이곳을 지키는 외포리기동대는 800톤급 바지선을 개조한 해군 해상전진기지(YPK)에 주둔하고 있다. 외포리기동대원 20여 명은 이 곳에서 해군 장병 10여 명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
외포리기동대는 적 침투 차단 및 도주 시 추적 격멸, 귀순자 대응, 월북·월선 차단이라는 해병대 경계작전부대의 공통 임무와 함께 서쪽 도서 작전지속지원을 위한 수송이라는 고유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ㅇ 해병대2사단은 지난 25일 작전지역 일대에서 월선·월북 차단작전 시범식 교육을 했다. 작전대비태세 확립에 중점을 둔 시범식 교육에는 경계작전부대 지휘관·참모 및 관계 부대·부서 관계관들이 참여했다. 시범식 교육 소개, 대응 절차 행동화 시범 순으로 진행됐다.
교육 소개에서는 적 해상침투, 귀순, 월선·월북 활동이 증가하는 작전 취약 시기를 고려한 △교육 목적 △작전 운용 개념 △상황별 조치사항 등을 토의했다. 대응 절차 행동화 시범에선 실제 선박을 활용해 월선·월북 상황에 대한 단계별 대응을 공유하고 작전계획의 효율성을 검증했다.
특히 미상 선박의 월북을 가정한 경계초소 최초 관측, 상황전파·추적, 경고방송·사격 등 실시간 대응 작전을 펼쳤다. 해·강안 기동대는 조업 한계선을 이탈한 미상 선박에 접근해 철수를 유도했다.
미상 선박이 이에 응하지 않고 경고·차단구역에 진입하자 근접기동 및 차단사격으로 선박을 퇴거 조치했다. 국방일보 2025. 4 서현우기자
해병2사단 민정경찰대
ㅁ 해병2사단ㅁ 2수색대대 민정경찰대ㅇ 2015년 이후 한강하구 중립수역 내에서 불법 조업 중국어선이 급증에 따라 민정경찰대는 2016년 편성됐다. ㅇ 수산자원 고갈, 어장 황폐화, 남북 간 군사적
choogal.tistory.com
'군사일반 > 해병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병6여단 흑룡부대 61대대 (3) | 2025.05.20 |
---|---|
해병1사단 3여단 33대대 (3) | 2025.05.16 |
해병1사단 해룡부대 1수색대대 (1) | 2025.05.16 |
해병2사단 스나이퍼 저격수 (4) | 2025.05.16 |
해병1사단 7여단 73대대 (0) | 2025.05.15 |